2007. 3. 8.나무날. 무지 춥네요.

조회 수 1121 추천 수 0 2007.03.21 20:03:00

2007. 3. 8.나무날. 무지 춥네요.


한 주제를 놓고 심화시켜나가는 과정이
자유학교 물꼬는 크게 둘 있습니다.
흔히 프로젝트수업이라 일컫는 이 통화교과형 공부는
한 해 동안 집단이 수행하는 것과 개인이 수행하는 과정으로 나뉩니다.
학기마다 한 주제를 놓고 전 교과를 아울러 전방위적으로 공부해나가는 집단형은
한 해 끝에 그것을 예술형태로 표현하여 발표를 하는 ‘매듭잔치’로 총화되지요.
개인형인 ‘스스로 공부’는
1년 동안 자기가 정한 주제를 스스로 연구해 나가는 과정으로
마지막에 ‘학술제’를 통해 그간의 결과를 발표합니다.
그래서 ‘학술제가 있는 매듭잔치’가 아이들 한 해 공부 갈무리가 되는 셈이지요.

상설학교로 출발하고 지난 세 해 동안
스스로공부는 주에 반나절동안 이루어졌습니다.
물론 꼭 그 시간이 아니어도
아이들은 자기 관심이 있는 분야를 다루었으므로
틈틈이 자료를 모으고 관찰하고 조사하고 연구하였지요.
자기 연구과제만이 아니라
곁에 있는 아이들의 주제를 알고 있어 관련된 자료를 발견하면 공유해서
마치 열의 아이들이 열 가지 주제를 다 공부해나가는 효과가 있었습니다.
올해는 하루를 온전하게 아이들 스스로공부시간으로 주었습니다.
오늘이지요.
노닥거리다 화들짝 놀라기도 할 테고
다른 분야를 기웃거리며 관심을 확장할 수도 있을 테고
그러면서 스스로 진리를 향해가는 즐거움을 찾아나갈 테지요.
올해는 어떤 학술제가 될지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sort 조회 수
1214 2020.11. 2.달날. 흐림 옥영경 2020-12-03 329
1213 2020.11. 3.불날. 맑음. 와, 바람! 옥영경 2020-12-03 426
1212 2020.11. 4.물날. 맑음 옥영경 2020-12-03 397
1211 2020.11. 5.나무날. 맑음 / 그대에게 옥영경 2020-12-03 434
1210 2020.11. 6.쇠날. 해와 비가 번갈아 드는 옥영경 2020-12-03 439
1209 2020.11. 7.흙날. 맑음 / 땔감 옥영경 2020-12-15 347
1208 2020.11. 8.해날. 흐림 / 일어나라! 옥영경 2020-12-15 370
1207 2020.11. 9.달날. 맑음 옥영경 2020-12-15 376
1206 2020.11.10.불날. 맑음 / 흙벽 보수 닷새째 옥영경 2020-12-15 713
1205 2020.11.11.물날. 맑음 / 흙벽에 목천 붙이다 옥영경 2020-12-15 537
1204 2020.11.12.나무날. 맑음 / 우뭇가사리 옥영경 2020-12-16 419
1203 2020.11.13.쇠날. 맑음 옥영경 2020-12-16 419
1202 2020.11.14.흙날. 맑음 / 나는 기록한다. 왜? 옥영경 2020-12-16 410
1201 2020.11.15.해날. 맑음 옥영경 2020-12-16 369
1200 2020.11.16.달날. 맑음 / 나도 예쁜 거 좋아한다 옥영경 2020-12-16 357
1199 2020.11.17.불날. 흐리다 비 / 신 앞에 엎드리기는 또 얼마나 쉬운가 옥영경 2020-12-17 397
1198 2020.11.18.물날. 흐리고 바람, 밤새 주룩거린 비 / 청년기본소득, 누가 지지하는가? 옥영경 2020-12-17 335
1197 2020.11.19.나무날. 비 옥영경 2020-12-17 382
1196 2020.11.20.쇠날. 살짝 살짝 해 / 밝은 불을 확신하지 말 것 옥영경 2020-12-23 365
1195 2020.11.21.흙날. 가끔 햇살 / 꽃과 탱크 옥영경 2020-12-23 423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