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 3. 8.나무날. 무지 춥네요.

조회 수 1123 추천 수 0 2007.03.21 20:03:00

2007. 3. 8.나무날. 무지 춥네요.


한 주제를 놓고 심화시켜나가는 과정이
자유학교 물꼬는 크게 둘 있습니다.
흔히 프로젝트수업이라 일컫는 이 통화교과형 공부는
한 해 동안 집단이 수행하는 것과 개인이 수행하는 과정으로 나뉩니다.
학기마다 한 주제를 놓고 전 교과를 아울러 전방위적으로 공부해나가는 집단형은
한 해 끝에 그것을 예술형태로 표현하여 발표를 하는 ‘매듭잔치’로 총화되지요.
개인형인 ‘스스로 공부’는
1년 동안 자기가 정한 주제를 스스로 연구해 나가는 과정으로
마지막에 ‘학술제’를 통해 그간의 결과를 발표합니다.
그래서 ‘학술제가 있는 매듭잔치’가 아이들 한 해 공부 갈무리가 되는 셈이지요.

상설학교로 출발하고 지난 세 해 동안
스스로공부는 주에 반나절동안 이루어졌습니다.
물론 꼭 그 시간이 아니어도
아이들은 자기 관심이 있는 분야를 다루었으므로
틈틈이 자료를 모으고 관찰하고 조사하고 연구하였지요.
자기 연구과제만이 아니라
곁에 있는 아이들의 주제를 알고 있어 관련된 자료를 발견하면 공유해서
마치 열의 아이들이 열 가지 주제를 다 공부해나가는 효과가 있었습니다.
올해는 하루를 온전하게 아이들 스스로공부시간으로 주었습니다.
오늘이지요.
노닥거리다 화들짝 놀라기도 할 테고
다른 분야를 기웃거리며 관심을 확장할 수도 있을 테고
그러면서 스스로 진리를 향해가는 즐거움을 찾아나갈 테지요.
올해는 어떤 학술제가 될지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1194 2006.4.19.물날. 비바람 옥영경 2006-04-21 1298
1193 2006.11.14.불날. 큰 바람 옥영경 2006-11-20 1298
1192 2007. 5. 9.물날. 먹구름 좀, 그리고 비 옥영경 2007-05-21 1298
1191 2008. 5.29.나무날. 갬 옥영경 2008-06-09 1298
1190 2008. 7.21.달날. 갬 옥영경 2008-07-30 1298
1189 2011. 6.29.물날. 볕 쨍쨍 옥영경 2011-07-11 1298
1188 12월 24일 나무날 흐리다 눈 옥영경 2005-01-02 1299
1187 지금, 당장, 평화롭기, 정작 나도 자주 잊어버리지만! (2005.10) 옥영경 2005-12-28 1299
1186 2006.4.15.흙날. 흐림 옥영경 2006-04-18 1299
1185 2009. 1.31.흙날. 맑음 옥영경 2009-02-06 1299
1184 2011 봄 몽당계자(4.22~24) 갈무리글 옥영경 2011-05-05 1299
1183 2011. 7. 7.나무날. 아침 비 옥영경 2011-07-18 1299
1182 2012.12. 3.달날. 푹하다 바람과 비 흩뿌리는 오후 옥영경 2012-12-17 1299
1181 4월 2일 흙날 맑음 옥영경 2005-04-07 1300
1180 2007.10. 6.흙날. 찌푸둥한 하늘 옥영경 2007-10-17 1300
1179 2008. 7. 3. 나무날. 아침비 옥영경 2008-07-21 1300
1178 4월 몽당계자(130 계자) 닫는 날, 2009. 4.12.해날. 맑음 옥영경 2009-04-19 1300
1177 2006.10.30.달날. 맑음 옥영경 2006-10-31 1301
1176 2007. 4.12.나무날. 맑음 / 난계국악단 봄맞이음악회 옥영경 2007-04-20 1301
1175 2007. 9.26.물날. 맑음 옥영경 2007-10-09 1301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