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 3. 8.나무날. 무지 춥네요.

조회 수 1116 추천 수 0 2007.03.21 20:03:00

2007. 3. 8.나무날. 무지 춥네요.


한 주제를 놓고 심화시켜나가는 과정이
자유학교 물꼬는 크게 둘 있습니다.
흔히 프로젝트수업이라 일컫는 이 통화교과형 공부는
한 해 동안 집단이 수행하는 것과 개인이 수행하는 과정으로 나뉩니다.
학기마다 한 주제를 놓고 전 교과를 아울러 전방위적으로 공부해나가는 집단형은
한 해 끝에 그것을 예술형태로 표현하여 발표를 하는 ‘매듭잔치’로 총화되지요.
개인형인 ‘스스로 공부’는
1년 동안 자기가 정한 주제를 스스로 연구해 나가는 과정으로
마지막에 ‘학술제’를 통해 그간의 결과를 발표합니다.
그래서 ‘학술제가 있는 매듭잔치’가 아이들 한 해 공부 갈무리가 되는 셈이지요.

상설학교로 출발하고 지난 세 해 동안
스스로공부는 주에 반나절동안 이루어졌습니다.
물론 꼭 그 시간이 아니어도
아이들은 자기 관심이 있는 분야를 다루었으므로
틈틈이 자료를 모으고 관찰하고 조사하고 연구하였지요.
자기 연구과제만이 아니라
곁에 있는 아이들의 주제를 알고 있어 관련된 자료를 발견하면 공유해서
마치 열의 아이들이 열 가지 주제를 다 공부해나가는 효과가 있었습니다.
올해는 하루를 온전하게 아이들 스스로공부시간으로 주었습니다.
오늘이지요.
노닥거리다 화들짝 놀라기도 할 테고
다른 분야를 기웃거리며 관심을 확장할 수도 있을 테고
그러면서 스스로 진리를 향해가는 즐거움을 찾아나갈 테지요.
올해는 어떤 학술제가 될지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sort 조회 수
1194 2020.11.22.해날. 흐림 / 아직도 겨울계자 공지를 올리지 못하고 옥영경 2020-12-23 355
1193 2020.11.23.달날. 맑음 / 논두렁 명단 정리 옥영경 2020-12-23 429
1192 2020.11.24.불날. 맑음 옥영경 2020-12-24 313
1191 2020.11.25.물날. 맑음 옥영경 2020-12-24 356
1190 2020.11.26.나무날. 차는 달이 훤한 멧골 옥영경 2020-12-24 385
1189 2020.11.27.쇠날. 흐림 옥영경 2020-12-24 471
1188 2020.11.28.흙날. 대체로 맑음 옥영경 2020-12-24 395
1187 2020.11.29.해날. 맑음 / 올해도 겨울이 있고, 겨울에는 겨울계자가 있다 옥영경 2020-12-24 371
1186 2020.11.30.달날. 맑음 / 그가 새벽에 가장 먼저 한 일은 옥영경 2020-12-24 389
1185 2020.12. 1.불날. 맑음 / 은행나무와 공룡과 같이 살았던 나무 옥영경 2020-12-24 436
1184 2020.12. 2.물날. 해 / 그대에게 옥영경 2021-01-08 353
1183 2020.12. 3.나무날. 흐림 / 블루스크린 옥영경 2021-01-09 391
1182 2020.12. 4.쇠날. 맑음 / 배추 절이다 옥영경 2021-01-09 375
1181 2020.12. 5.흙날. 흐림, 그래도 볕과 바람이 드나든 / 김장, 그리고 ‘씨 할 사람!’ 옥영경 2021-01-09 370
1180 2020.12. 6.해날. 맑음 / 인연이 인연을 불렀다 옥영경 2021-01-09 375
1179 2020.12. 7.달날. 흐림, 절기 대설 옥영경 2021-01-09 413
1178 2020.12. 8.불날. 흐림 옥영경 2021-01-10 373
1177 2020.12. 9.물날. 흐림 옥영경 2021-01-10 491
1176 2020.12.10.나무날. 맑음 / “맘만 가끔 물꼬에 가요...” 옥영경 2021-01-10 361
1175 2020.12.11.쇠날. 뿌연, 미세먼지 심해 그렇다는 옥영경 2021-01-10 377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