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 3.15.나무날. 흐림

조회 수 1203 추천 수 0 2007.04.02 22:14:00

2007. 3.15.나무날. 흐림


거름 하나를 만드는 것에도 서툽니다.
도대체 뭘로 살았더란 말입니까.
“조정환샘께 연락 한 번 해보지?”
영동 한살림생산자모임에서 회장을 맡고 있는 황간의 어르신께
남자 어른들이 전화를 넣었고,
길을 잡아주셨더랍니다.
학교 뒤쪽 호두나무아래 허드렛 땅으로 옮겨진 거름장은
다시 스스로를 썩힐 채비를 서두르게 되었네요.

아침을 여는 노래로 시작한 아이들의 아침은
‘아침고요’ 시간 명상을 하고 동화를 읽고,
오늘은 초등학교 음악책으로 피아노 앞에 앉았습니다.
또래 아이들이 익히는 노래가 낯설지 않게
이번 학기는 거기 있는 곡들도 불러보려지요.
좋은 노래도 많습디다.

아이들은 종일 ‘스스로공부’를 합니다.
하나는 한 해 중심생각이 사람이고
다른 하나는 우리가 돌보는 짐승입니다.
“대해리에 어떤 사람들이 사나 알아보려구요...”
한 녀석은 보건소에 들러
대해리 인구에 대한 전반적 안내를 받겠다고 나섰고,
다른 녀석은 닭장 앞으로 갔지요.
“무서워요!”
닭이 무서운 종훈이는 망설이고 또 망설였는데,
올 해 한 번 연구해보겠다 도전합니다.
다른 존재를 알고 이해해가는 과정이
지레 가지게 된 무서움을 뛰어넘는 시간이 되기를 바래봅니다.
몰라서 가지는 두려움을 인간은 얼마나 많이 가지고 살아가던가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1214 2024. 3.16.흙날. 맑음 옥영경 2024-04-03 455
1213 2022. 5.20.쇠날. 살짝 흐리게 시작해도 맑았던 / 5월 집중수행 1차 옥영경 2022-06-18 455
1212 2021.10.30.흙날. 맑음 / 대왕참나무 한 그루 옥영경 2021-12-15 455
1211 2021. 8.21.흙날. 비 / ‘도이체보넨 몰수(Deutsche Wohnen & Co enteignen)’ 운동 옥영경 2021-08-29 455
1210 167계자 사흗날, 2021. 1.19.불날. 맑음 옥영경 2021-02-07 454
1209 2020. 4.14.불날. 맑음 옥영경 2020-06-15 454
1208 2019.12. 4.물날. 볕 옥영경 2020-01-13 454
1207 2020.10.19.달날. 맑음 / 대안교육백서에서 옥영경 2020-11-22 453
1206 2019.12.11.물날. 맑음 / 대체로 희망 쪽이기로 옥영경 2020-01-13 453
1205 2019.11.16.흙날. 맑음 / 오늘은 ‘내’ 눈치를 보겠다 옥영경 2020-01-08 453
1204 2023.11. 1.물날. 맑음 옥영경 2023-11-12 452
1203 2023.10.18.물날. 맑음 옥영경 2023-10-30 452
1202 2023. 9.20.물날. 비 옥영경 2023-10-01 452
1201 2019.12.24.불날. 맑음 / 그대에게-그의 쌍수에 대하여 옥영경 2020-01-17 452
1200 2023.10.11.물날. 맑음 옥영경 2023-10-24 451
1199 171계자 나흗날, 2023. 1.11.물날. 맑음 옥영경 2023-01-15 451
1198 9월 집중수행(9.3~4) 갈무리글 옥영경 2022-09-17 451
1197 2022. 3.16.물날. 맑음 / 그리고 그대에게 옥영경 2022-04-05 451
1196 2020. 2.15.흙날. 맑다가 갑자기 온 손님처럼 비, 그리고 굵은 비 / 암트스프라헤 옥영경 2020-03-13 451
1195 2019.11.18.달날. 비가 긋고 흐린 옥영경 2020-01-08 451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