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 3.25.해날. 맑음

조회 수 1216 추천 수 0 2007.04.09 00:07:00

2007. 3.25.해날. 맑음


국선도 청년회모임에서 농활을 온다 했더랬습니다.
학교 큰마당 가장자리에 종균을 넣은 뒤 한 해 동안 쌓여있던 표고목을
오늘 지어놓은 표고장하우스로 옮기겠다 별렀지요.
폐가 될까 도시락까지 싸들고 온다던 그들이었습니다.
그런데 그 편에서 일이 생겨버렸네요.
다른 날을 기약합니다.

아이들이야 주중이고 주말이고가 없습니다.
학교는 늘 놀이터이지요.
“뭐하는 거야?”
종훈이가 홀로 배움방에서 크레파스를 늘여놓고
커다란 도화지 앞에 있었습니다.
"하다형이 하라 그랬어요."
못다 그렸던 속틀을 마저 그리고 있었던 겁니다.
아이들이 사는 이야기를 들여다보는 것 만한 즐거움이 또 어디 있을라구요.

저녁 7시, 경건의 시간이자 깊은 명상의 시간인 ‘호숫가나무’가 있었고
이어서 마을식구가 다 모이는 ‘두레상’이 있었습니다.
따스한 노래들을 부르고
그간의 생활을 돌아보며 ‘거울보기’도 하고
‘감사와 불평의 시간’(아직 이름을 붙이지 못했지만)도 있었네요.
불평의 시간은 짜증이나 화를 발산하는 자리가 아니라
내가 그런 생각을 했구나,
내 생각을 바라보는 것입니다.
한편, 네가 그런 생각을 했구나 하고 타인의 생각을 보는 시간이지요.
그런데 그렇게 바라보는데 시간이 걸릴 테지요.
째째하고 쪼잔하고 쫀쫀한 서로를 확인하는 게 아니라
깊은 성찰을 자아내는 시간이기를 기대합니다.
“이 공간에 감사해요. 단지 두 명을 위해 샘들이 애쓰는 것 보면 참 고마워요.
어떻게 이런 걸 누릴 수 있을까, 이런 곳이 만들어지기까지 애쓰셨을 시간이 고맙고...”
감사는 또 감사를 낳지요.
호숫가 나무에서 왜 백배서원 절을 해야 하는지 아직 모르겠다는 이도 있는 반면
넘쳐나는 감사함을 전하는 이도 있습니다.
그 편차들이 심하나 이런 시작이 즐겁습니다.
우리는 영적훈련을 통해 잘 성장할 테니까요.
다가오는 학교 세 돌잔치를 어찌 할까 의논도 하였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sort 조회 수
4974 2008. 9. 6.흙날. 흐림 옥영경 2008-09-21 1088
4973 2008. 9. 7.해날. 맑음 옥영경 2008-09-21 1293
4972 2008. 9. 8.달날. 맑음 옥영경 2008-09-26 1084
4971 2008. 9. 9.불날. 맑음 옥영경 2008-09-26 1274
4970 2008. 9.10.물날. 맑음 옥영경 2008-09-26 1172
4969 2008. 9.11.나무날. 맑음 옥영경 2008-09-26 1104
4968 2008. 9.12.쇠날. 맑음 옥영경 2008-09-26 1195
4967 2008. 9. 13-15. 흙-달날. 가끔 구름도 있던 한가위 연휴 옥영경 2008-09-26 1371
4966 2008. 9.16.불날. 맑음 옥영경 2008-10-04 1081
4965 2008. 9.17.물날. 맑음 옥영경 2008-10-04 1126
4964 2008. 9.18.나무날. 맑음 옥영경 2008-10-04 1170
4963 2008. 9.19.쇠날. 맑음 옥영경 2008-10-04 1111
4962 2008. 9.20.흙날. 비 옥영경 2008-10-04 1279
4961 2008. 9.21.해날. 흐린 아침 옥영경 2008-10-04 1103
4960 2008. 9.22.달날. 맑음 옥영경 2008-10-04 1191
4959 2008. 9.23.불날. 맑음 옥영경 2008-10-04 1500
4958 2008. 9.24.물날. 비 내린 뒤 흐림 옥영경 2008-10-10 1147
4957 2008. 9.25.나무날. 쑥 내려간 기온 옥영경 2008-10-10 1165
4956 2008. 9.26.쇠날. 맑음 옥영경 2008-10-10 1229
4955 2008. 9.27.흙날. 맑음 / 한살림 강연 옥영경 2008-10-10 1425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