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 3.25.해날. 맑음

조회 수 1239 추천 수 0 2007.04.09 00:07:00

2007. 3.25.해날. 맑음


국선도 청년회모임에서 농활을 온다 했더랬습니다.
학교 큰마당 가장자리에 종균을 넣은 뒤 한 해 동안 쌓여있던 표고목을
오늘 지어놓은 표고장하우스로 옮기겠다 별렀지요.
폐가 될까 도시락까지 싸들고 온다던 그들이었습니다.
그런데 그 편에서 일이 생겨버렸네요.
다른 날을 기약합니다.

아이들이야 주중이고 주말이고가 없습니다.
학교는 늘 놀이터이지요.
“뭐하는 거야?”
종훈이가 홀로 배움방에서 크레파스를 늘여놓고
커다란 도화지 앞에 있었습니다.
"하다형이 하라 그랬어요."
못다 그렸던 속틀을 마저 그리고 있었던 겁니다.
아이들이 사는 이야기를 들여다보는 것 만한 즐거움이 또 어디 있을라구요.

저녁 7시, 경건의 시간이자 깊은 명상의 시간인 ‘호숫가나무’가 있었고
이어서 마을식구가 다 모이는 ‘두레상’이 있었습니다.
따스한 노래들을 부르고
그간의 생활을 돌아보며 ‘거울보기’도 하고
‘감사와 불평의 시간’(아직 이름을 붙이지 못했지만)도 있었네요.
불평의 시간은 짜증이나 화를 발산하는 자리가 아니라
내가 그런 생각을 했구나,
내 생각을 바라보는 것입니다.
한편, 네가 그런 생각을 했구나 하고 타인의 생각을 보는 시간이지요.
그런데 그렇게 바라보는데 시간이 걸릴 테지요.
째째하고 쪼잔하고 쫀쫀한 서로를 확인하는 게 아니라
깊은 성찰을 자아내는 시간이기를 기대합니다.
“이 공간에 감사해요. 단지 두 명을 위해 샘들이 애쓰는 것 보면 참 고마워요.
어떻게 이런 걸 누릴 수 있을까, 이런 곳이 만들어지기까지 애쓰셨을 시간이 고맙고...”
감사는 또 감사를 낳지요.
호숫가 나무에서 왜 백배서원 절을 해야 하는지 아직 모르겠다는 이도 있는 반면
넘쳐나는 감사함을 전하는 이도 있습니다.
그 편차들이 심하나 이런 시작이 즐겁습니다.
우리는 영적훈련을 통해 잘 성장할 테니까요.
다가오는 학교 세 돌잔치를 어찌 할까 의논도 하였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4974 2015. 5. 7.나무날. 구름 조금 / 자유학기제 간담회 옥영경 2015-06-24 670
4973 2019. 5.16.나무날. 맑음 / 버들치 마을 옥영경 2019-07-19 672
4972 2015. 4. 5.해날. 부슬비 옥영경 2015-04-29 673
4971 2015. 8.25.불날. 비 옥영경 2015-09-16 673
4970 2019. 7. 1.달날. 아주 잠깐 빗방울 두엇 / 풀매기 원정 옥영경 2019-08-14 673
4969 2013.10.15.불날. 흐리고 비 좀 옥영경 2013-11-06 674
4968 2015. 3. 2.달날. 흐림 옥영경 2015-03-29 674
4967 2015. 4.23.나무날. 맑음 옥영경 2015-05-30 674
4966 2014. 9.16.불날. 맑음 옥영경 2014-10-15 675
4965 2015. 5.11.달날. 흐릿한 하늘, 저녁, 먼 태풍, 그리고 비 옥영경 2015-06-25 675
4964 2015. 6. 2.불날. 맑음 옥영경 2015-07-08 675
4963 2015.10. 3.흙날. 맑음 옥영경 2015-10-31 675
4962 2013.12.20.쇠날. 해도 띄엄띄엄 가끔 눈도 날리고 옥영경 2013-12-31 676
4961 2014. 3.10.달날. 맑음 옥영경 2014-04-05 676
4960 2014. 5.10.흙날. 맑음 옥영경 2014-06-04 676
4959 2014. 9.15.달날. 맑음 옥영경 2014-10-15 676
4958 2015. 1.20~21.불~물날. 맑고, 이튿날 흐리다 비 옥영경 2015-02-23 676
4957 2015. 5.15.쇠날. 흐림 옥영경 2015-07-01 676
4956 2015. 7.10.쇠날. 흐린 아침, 갠 하루 / 달골 공사 첫 삽 옥영경 2015-07-31 676
4955 2015. 9.10.나무날. 흐림 옥영경 2015-10-07 676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