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 4. 7.흙날. 흐리다 맑음

조회 수 1293 추천 수 0 2007.04.16 01:00:00

2007. 4. 7.흙날. 흐리다 맑음


댓마의 김희정엄마가 건너와
학교문연날 잔치를 알리는 현수막을 만들었습니다.
영동 읍내에 하나, 황간에도, 매곡은 빼지 뭐, 상촌에도 걸고...
다섯 장의 광목천을 주욱 늘여놓고
척척 잘도 씁니다.
물꼬가 지난 94년부터의 모든 행사에 그렇게 하던 방식입니다.
작년에 여러 엄마들이 붙어 그렸던 그 꽃을 그려도 넣습니다.
어디랄 것 없이 지천일 봄꽃입니다.
참 좋은 봄날입니다...

굳이 사람 손으로 농사를 짓지 않아도
무엇을 먹을까 걱정하지 않아도
산에 들에 먹을 것 넘치는 골짝입니다.
식구들과 언덕에 머위를 캐러나갔습니다.
벌써 머위꽃도 한창이던 걸요.
살짝 데쳐 쓴 기를 빼고 두부를 으깨고 된장을 넣어 무쳐먹었지요.
쑥국도 끓이고 냉이튀김도 냈습니다.
작년에 베어 먹던 자리에 다시 솟은 부추도 잘라
겉절이를 해서 밥상을 차렸지요.
어제 월남쌈을 먹고 남은 재료와 생선소스도 꺼내놓았습니다.
“배부른데 너무 맛있어서 그만 먹을 수가 없어요.”
저녁은 집에 와서 먹으라는 엄마 아빠 말을
번번이 무시하는 종훈이의 찬탄입니다.
우르르 쏟아져 나온 표고를 따와
삼시 세 때 잘 먹고도 있지요.
표고장에서 일하는 남정네들을 위해
묵은 김치로 부친 전과 막걸리를 새참으로 내고,
얼려두었던 떡을 구워
포도밭에서 어른 일손을 돕는 아이들에게 내기도 하였댔습니다.
이러자고 들어온 산골에서
걸음은 늘 바빴고, 흙 한번 묻히지 못하고 지나는 일이 흔했더랬지요.
이 봄이 고맙고,
이 삶이 복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5458 2009. 2. 9.달날. 맑음 / 정월대보름 옥영경 2009-02-24 1303
5457 2007. 9.26.물날. 맑음 옥영경 2007-10-09 1303
5456 2007. 4. 2.달날. 옅어진 황사 옥영경 2007-04-16 1303
5455 2006.12. 4.달날. 맑음 옥영경 2006-12-07 1303
5454 2006.5.11.나무날. 흐림 옥영경 2006-05-13 1303
5453 12월 24일 나무날 흐리다 눈 옥영경 2005-01-02 1303
5452 10월 15일 쇠날 맑음 옥영경 2004-10-28 1303
5451 2008. 8.21.나무날. 종일 비 옥영경 2008-09-13 1302
5450 2007. 9.13.나무날. 맑음 / 남도에서 온 택배 옥영경 2007-09-25 1302
5449 2007. 6. 5.불날. 맑음 옥영경 2007-06-22 1302
5448 2007. 5. 6.해날. 맑음 옥영경 2007-05-21 1302
5447 2006.12.23.흙날. 맑음 옥영경 2006-12-26 1302
5446 2006.11.14.불날. 큰 바람 옥영경 2006-11-20 1302
5445 2006.4.19.물날. 비바람 옥영경 2006-04-21 1302
5444 지금, 당장, 평화롭기, 정작 나도 자주 잊어버리지만! (2005.10) 옥영경 2005-12-28 1302
5443 10월 4일 달날 흐림 옥영경 2004-10-12 1302
5442 2008.12.12.쇠날. 맑음 옥영경 2008-12-26 1301
5441 2008.11. 2.해날. 꾸물럭 옥영경 2008-11-14 1301
5440 2008. 7.21.달날. 갬 옥영경 2008-07-30 1301
5439 2008. 7.17.나무날. 더위 옥영경 2008-07-27 1301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