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 6. 4.달날. 맑음

조회 수 1180 추천 수 0 2007.06.22 23:09:00

2007. 6. 4.달날. 맑음


학교 큰대문 앞집 할머니댁 마루에 동네 할머니들 다 걸터앉으셨는데,
여름날 오후 볕은 길기도 한데,
감자밭 풀을 매고 논에 든 어른한테 효소를 내가던 우리 아이들,
거기도 나눠드렸겠지요.
할머니들은 이제 그 아이들을 데리고 무료한 오후를 달래시다가
나중에는 논에 든 상범샘도 불러 술도 한 잔 건네십니다.
그리고 이야기는 뻔하지요.
두렁이 저래서 되겠느냐,
구석까지 써래질을 잘 했어야지,
웃거름을 잘 해주었느냐,
모가 좀 어떠하네,
이것저것 코치시랍니다.
그때 달골에서는 종대샘이 포도밭 아래 풀을 베고
젊은할아버지는 포도나무 마지막 줄 순을 따고 계셨지요.

“지붕 있는 주차장이 있어야...”
말이야 오래전부터 있었지요.
결국 농기계가 일을 다 하더라는 늦은 깨달음이 있고 나니
이래저래 미뤄지던 일이 이제 되려는 모양입니다.
그들을 더는 빗속에 둘 수 없다는 게지요.
그예 농기계들 들어가는 집(덤으로 지붕 있는 주차장까지)을 만들자고
아이들이랑 김천에 장보러도 갔습니다.
아무래도 목수샘이 머물 때 붙들고 하면 좋을 테니까요.

달마다 한 차례 와서 하룻밤을 묵어가는 야마기시마을의 최창호님과
오늘밤도 수지침공부가 있었습니다.
상범샘 종대샘 젊은할아버지, 그리고 제가 함께 하였지요.
책방에 있던 류옥하다도 가끔 와서 기웃거렸습니다.
서로에게 침도 놔보고
몇 종류의 맥이 흐르는 길도 익혔네요.
한 사람이 안아내야 할 일의 범주가 많은 요즘의 물꼬라
서로 쳐다보고 웃을 일이 드물다가
환하게 웃고 떠들어보는 시간이었더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5394 2008. 4.19.흙날. 맑음 옥영경 2008-05-11 1290
5393 2007. 4.11.물날. 맑음 옥영경 2007-04-20 1290
5392 2007. 3.23.쇠날. 맑음 옥영경 2007-04-09 1290
5391 2007. 2. 25.해날. 비 지나다 옥영경 2007-03-06 1290
5390 2007. 1. 6.흙날. 눈, 눈 / 116 계자 미리모임 옥영경 2007-01-10 1290
5389 2011. 6. 9.나무날. 흐린 하늘 / 단식 4일째 옥영경 2011-06-18 1289
5388 2008.12.12.쇠날. 맑음 옥영경 2008-12-26 1289
5387 2008. 8.24.해날. 맑음 옥영경 2008-09-13 1289
5386 2007.10.26.쇠날. 맑음 옥영경 2007-11-06 1289
5385 2007. 5.24.나무날. 오후 비 / 못밥 옥영경 2007-06-13 1289
5384 2007. 4.17.불날. 맑음 옥영경 2007-04-27 1289
5383 2005.11.12.흙날.맑음 / 김장 옥영경 2005-11-14 1289
5382 11월 7일 해날 맑음 옥영경 2004-11-19 1289
5381 8월 30일 불날 빗방울 휘익 지나다 옥영경 2005-09-12 1288
5380 2012. 2. 4.흙날. 맑음 옥영경 2012-02-17 1287
5379 2008.12. 1.달날. 맑음 옥영경 2008-12-21 1287
5378 2007. 4. 7.흙날. 흐리다 맑음 옥영경 2007-04-16 1287
5377 2007. 4. 5.나무날. 맑음 옥영경 2007-04-16 1287
5376 2007. 2.28.물날. 맑음 옥영경 2007-03-10 1287
5375 2006.12.23.흙날. 맑음 옥영경 2006-12-26 1287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