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 6. 5.불날. 맑음

조회 수 1304 추천 수 0 2007.06.22 23:09:00

2007. 6. 5.불날. 맑음


“늘 옆에 놔두고 읽으면서 외워.”
셈놀이 시간입니다.
형아가 동생에게 구구단 잘 외는 법을 가르쳐주기도 합니다.
8학년까지 한 교실에서 공부하겠다는 까닭 가운데 하나도
이런 것이라지요.
예전 마을 안에서 후배가 선배들을 통해 배운 것들이
어른들이 가르친 것보다 더 선명하게 남아있던 경험들이 컸습니다.
그런 마을 문화를 만들어보려는 것도
학년통합교실의 장점 한 자리를 차지하는 거지요.

달골 포도밭은 한참 줄을 묶고 있습니다.
리본을 묶는다고 하지요.
알맹이가 무거워지면 축축 늘어질 걸 대비하는,
줄기가 그 무게를 이기도록 돕는 겁니다.
종대샘은 상시적으로 머물고 있지 않으니 특정일을 집중적으로 하기보다
포도밭일, 소사일, 그리고 가마솥방일을 손 되는대로 찾아 하고 있지요,
가끔 고기로 우리들을 몸보신도 시키고.
오늘도 점심 저녁 밥상을 그가 차렸답니다.
참 신기하지요, 별로 홀로 밥을 지어먹은 경험이 없는 이들도
공동체에 오면 자기를 이렇게 필요한 일에 쓰게 됩니다.
그게 또 공동체의 매력이다 싶어요.

몇 해 다른 나라에 나가있다 들어왔던 2003년,
한 대학의 영어과에 청강을 다녔습니다,
앞으로도 외국 공동체하고 교류를 계속하자 하고
언어감각이 떨어질까 공부를 하겠다고.
그때 만난 연으로 2004년과 2005년
일어과 영어과 외국어교수들이 주에 한 차례 물꼬에 자원봉사를 오기도 했지요.
그때 중국어과 조교도 알게 되었는데,
오늘 영동대에서 하는 공연 하나를 보다가 만났습니다.
물꼬 소식을 물어왔고,
그 사이 당신은 중국어전임강사가 되었다지요.
“저도 마이클과 스미코처럼 자원봉사를 가고 싶은데...”
이제 우리 아이들 중국어도 배우겠습니다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1365 2007. 2. 6.불날. 시원찮게 맑은 옥영경 2007-02-08 1281
1364 2007. 5.29.불날. 맑음 옥영경 2007-06-15 1281
1363 2008. 5.19.달날. 맑음 옥영경 2008-05-31 1281
1362 2008. 5.24.흙날. 맑음 옥영경 2008-06-01 1281
1361 2009.11.28.흙날. 날 푹하다 / 김장 이틀째 옥영경 2009-12-06 1281
1360 2012. 2. 5.해날. 흐리다 맑다 / '발해 1300호' 14주기 추모제 옥영경 2012-02-17 1281
1359 8월 29일-9월 12일, 밥알 모남순님 옥영경 2004-09-17 1282
1358 3월 11일 쇠날 살짜기 오는 비 옥영경 2005-03-13 1282
1357 2006.9.5.불날. 흐리다 비 옥영경 2006-09-16 1282
1356 2007. 9.12.물날. 맑음 옥영경 2007-09-25 1282
1355 2011. 4. 6.물날. 맑음 옥영경 2011-04-15 1282
1354 9월 6일 달날, 포도 다 팔았지요 옥영경 2004-09-16 1283
1353 107 계자, 8월 15-20일, 아이들 아이들 옥영경 2005-09-08 1283
1352 2005.12.22.나무날.밤새 눈 내린 뒤 맑은 아침 / "너나 잘하세요." 옥영경 2005-12-26 1283
1351 2007. 9.28.쇠날. 맑음 옥영경 2007-10-09 1283
1350 2009. 7.16.나무날. 어찌 저리 줄기차게 내리누 옥영경 2009-07-30 1283
1349 5월 4일 물날 맑음 옥영경 2005-05-08 1284
1348 6월 11-2일, 밥알 모임 옥영경 2005-06-17 1284
1347 2005.12.23.쇠날.하염없이 눈 / 매듭잔치 옥영경 2005-12-26 1284
1346 2006.2.13.달날. 죙일 맑다 야삼경에 비 / 잠시 지난 두 해를 거슬러 오르다 옥영경 2006-02-15 1284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