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 6. 5.불날. 맑음

조회 수 1296 추천 수 0 2007.06.22 23:09:00

2007. 6. 5.불날. 맑음


“늘 옆에 놔두고 읽으면서 외워.”
셈놀이 시간입니다.
형아가 동생에게 구구단 잘 외는 법을 가르쳐주기도 합니다.
8학년까지 한 교실에서 공부하겠다는 까닭 가운데 하나도
이런 것이라지요.
예전 마을 안에서 후배가 선배들을 통해 배운 것들이
어른들이 가르친 것보다 더 선명하게 남아있던 경험들이 컸습니다.
그런 마을 문화를 만들어보려는 것도
학년통합교실의 장점 한 자리를 차지하는 거지요.

달골 포도밭은 한참 줄을 묶고 있습니다.
리본을 묶는다고 하지요.
알맹이가 무거워지면 축축 늘어질 걸 대비하는,
줄기가 그 무게를 이기도록 돕는 겁니다.
종대샘은 상시적으로 머물고 있지 않으니 특정일을 집중적으로 하기보다
포도밭일, 소사일, 그리고 가마솥방일을 손 되는대로 찾아 하고 있지요,
가끔 고기로 우리들을 몸보신도 시키고.
오늘도 점심 저녁 밥상을 그가 차렸답니다.
참 신기하지요, 별로 홀로 밥을 지어먹은 경험이 없는 이들도
공동체에 오면 자기를 이렇게 필요한 일에 쓰게 됩니다.
그게 또 공동체의 매력이다 싶어요.

몇 해 다른 나라에 나가있다 들어왔던 2003년,
한 대학의 영어과에 청강을 다녔습니다,
앞으로도 외국 공동체하고 교류를 계속하자 하고
언어감각이 떨어질까 공부를 하겠다고.
그때 만난 연으로 2004년과 2005년
일어과 영어과 외국어교수들이 주에 한 차례 물꼬에 자원봉사를 오기도 했지요.
그때 중국어과 조교도 알게 되었는데,
오늘 영동대에서 하는 공연 하나를 보다가 만났습니다.
물꼬 소식을 물어왔고,
그 사이 당신은 중국어전임강사가 되었다지요.
“저도 마이클과 스미코처럼 자원봉사를 가고 싶은데...”
이제 우리 아이들 중국어도 배우겠습니다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sort 조회 수
5314 2007. 9. 19. 물날. 갬 옥영경 2007-10-05 882
5313 2007. 9.19. 물날. 갬 옥영경 2007-10-05 1235
5312 2007. 9.20.나무날. 맑음 옥영경 2007-10-05 1095
5311 2007. 9.21.쇠날. 갬 옥영경 2007-10-05 1278
5310 2007. 9.22. 흙날. 흐리다 빗방울 옥영경 2007-10-05 1263
5309 2007. 9.23-24.해-달날. 비 내린 다음날 개다 옥영경 2007-10-05 1466
5308 2007. 9.25.불날. 휘영청 달 오른 한가위 옥영경 2007-10-05 1266
5307 2007. 9.26.물날. 맑음 옥영경 2007-10-09 1302
5306 2007. 9.27.나무날. 맑음 옥영경 2007-10-09 1181
5305 2007. 9.28.쇠날. 맑음 옥영경 2007-10-09 1279
5304 2007. 9.29-30.흙-해날. 쨍 하더니 눅진해지다 / <안티쿠스> 휴간에 부쳐 옥영경 2007-10-09 1380
5303 2007.10. 1.달날. 먹구름 지나다 옥영경 2007-10-13 1193
5302 2007.10. 2.불날. 맑음 옥영경 2007-10-13 1167
5301 2007.10. 3.물날. 해 없는 옥영경 2007-10-13 1168
5300 2007.10. 4.나무날. 비 내리다 갬 옥영경 2007-10-13 1314
5299 2007.10. 5.쇠날. 흐릿하더니 걷히다 / 대전 시립미술관과 이응노미술관 옥영경 2007-10-13 1491
5298 2007.10. 6.흙날. 찌푸둥한 하늘 옥영경 2007-10-17 1305
5297 2007.10. 7.해날. 비 옥영경 2007-10-17 1250
5296 2007.10. 8.달날. 젖어있던 아침이더니 해에 마르다 옥영경 2007-10-17 1294
5295 2007.10. 9.불날. 맑음 옥영경 2007-10-17 1252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