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 8.28.불날. 비

조회 수 1232 추천 수 0 2007.09.21 07:16:00

2007. 8.28.불날. 비


“말려 두고 두고 먹어도 해를 넘기겠네.”
나오는 것들 가운데 좋은 것들을
두루 보내기로 합니다.
버섯 말입니다.
이럴 땐 아주 신바람이 나지요.
산골 가난한 살림에서도 이렇게 나눌 것 있어 얼마나 좋은지요.
그런데 이 날씨에 괜찮을려나 모르겠습니다.
보내는 것도 걱정입니다요.



세상의 가슴 가운데 시리지 않은 가슴 있더냐.
모두 빈 가슴
안아 주어라.
안기고 싶을 때 네가 먼저 안아라.
너를 안는 건
네 속의 나를 안는 것.

네 가슴 속
겁먹고 수줍던 아이
허기져 외롭던 아이를.

무엇이 옳다
누가 그르다
어디에도 우리가 던질 돌은 없다.

포용이란 포옹이다.
닭이 알을 품듯
다만 가슴을 열어 그렇게 품어 안는 것.

가슴에 가슴을 맞대고
심장에 심장을 포개고
깊은 저 강물 소리 듣는 것.

저 간절한 눈동자
묻어둔 저 그리움
가슴으로 품어 환히 꽃피우는 것.

; 이병철님의 ‘안기기, 안아주기’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4994 2019. 7.31.물날. 맑음 / 날마다 하늘을 밟고 사는 이 옥영경 2019-08-22 625
4993 2019. 6. 7.쇠날. 종일 비 / 그의 편지를 읽다 옥영경 2019-08-04 626
4992 2015. 2. 6.쇠날. 맑음 옥영경 2015-03-10 629
4991 5월 물꼬stay 여는 날, 2019. 5.17.쇠날. 흐려가는 하늘 옥영경 2019-07-19 629
4990 2019. 6.26.물날. 흐리고 비 / 물꼬 해우소는 더럽다? 옥영경 2019-08-13 630
4989 2019. 2.25.달날. 맑음 / 특강 옥영경 2019-04-04 631
4988 2015. 7.13.달날. 갬 옥영경 2015-07-31 632
4987 165 계자 사흗날, 2020. 1.14.불날. 맑음 옥영경 2020-01-26 633
4986 169계자 닫는 날, 2022. 1.14.쇠날. 맑음 / 잊지 않았다 [1] 옥영경 2022-01-15 633
4985 2021. 3. 6.흙날. 흐려가는 하늘, 는개비 다녀간 오후 옥영경 2021-03-26 635
4984 2019. 5.16.나무날. 맑음 / 버들치 마을 옥영경 2019-07-19 636
4983 2019. 7. 1.달날. 아주 잠깐 빗방울 두엇 / 풀매기 원정 옥영경 2019-08-14 636
4982 2014. 5.21.물날. 맑음 옥영경 2014-06-13 637
4981 2015. 9.14.달날. 맑음 옥영경 2015-10-12 638
4980 2015. 1.31.흙날. 흐리다 눈 옥영경 2015-02-26 639
4979 2019. 6.20.나무날. 좀 흐린 / 책 <내 삶은 내가 살게 네 삶은 네가 살아> 출간 옥영경 2019-08-07 640
4978 171계자 이튿날, 2023. 1. 9.달날. 푹하고 흐린 옥영경 2023-01-11 640
4977 2019 여름 청소년 계자(2019.7.20~21) 갈무리글 옥영경 2019-08-17 643
4976 2019. 9. 2.달날. 흐리다 비 많은 옥영경 2019-10-16 643
4975 2020. 4.21.불날. 화창하지는 않은 옥영경 2020-07-07 643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