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 9. 4.불날. 비

조회 수 1115 추천 수 0 2007.09.23 16:57:00

2007. 9. 4.불날. 비


셈놀이가 있는 불날입니다.
집중교과는 학기마다 과목이 달라지지만
학교사정으로 이번학기는 지난 학기에 이어 합니다.
상범샘이 아이들과 복습을 하고 있었지요.
두어 차례 되짚기가 끝나면
도량형과 도형을 다뤄보려 합니다.

학기가 시작되긴 했나봅니다.
고요하게 바라보기도 하고
피아노에 맞춰 노래 부르는 소리도 들리고
장편동화를 읽어주는 샘의 목소리가 학교를 채우고 있습니다.

저녁은 종훈네서 기락샘 맞이 상이 차려졌습니다.
원님 덕에 나팔이지요,
공동체식구들이 몸보신하였지요.
“종훈이아빠가 차린 게 없다고 어찌나 뭐라 그러는지...”
박진숙엄마의 겸연쩍은 인사입니다.
상에 빈자리가 나지도 않았거니와
그가 잘 먹는 요리 하나만 있으면 최고의 상이지요.
저만 하더라도 고구마줄기무침을 어찌나 맛나게 먹었던지요.
마지막에 나온 누룽지는
비오는 밤에 차처럼 마시기에 얼마나 좋았던지요.

임시 두레상이 있었습니다.
종훈네서 밥을 먹은 뒤끝이었지요.
두레상을 가을 학기에는 쉬기로 합니다.
사람이 많지 않으니 서로 연락이 어려운 것도 아니고
의논체계가 복잡할 것도 없고
외려 구성원들 각자가 시간을 잘 쓸 수 있도록 하는 게
지혜롭지 않겠냐는 것이었지요.
같이 명상할 자리가 없어 아쉬우나
공동체에서도 아침모임을 하고
종훈네서도 국선도 수련을 하고 있으니
영성훈련의 장이 아주 없는 것도 아니지요.
어른들에겐 스스로를 잘 다듬는 한 학기가 될 겝니다.
다가오는 겨울 긴 긴 밤은
우리를 더욱 영적으로 성장시킬 시간이지 않겠는지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sort 조회 수
5334 2020. 7.19.해날. 반짝 해, 흐림 옥영경 2020-08-13 313
5333 2020. 7.18.흙날. 흐림 옥영경 2020-08-13 320
5332 2020. 7.17.쇠날. 옥영경 2020-08-13 312
5331 2020. 7.16.나무날. 옥영경 2020-08-13 317
5330 2020. 7.15. 오후 갬 옥영경 2020-08-13 315
5329 2020. 7.14.불날. 장맛비 옥영경 2020-08-13 317
5328 2020. 7.13.달날. 비 옥영경 2020-08-13 314
5327 2020. 7.12.해날. 정오부터 비 옥영경 2020-08-13 325
5326 2020. 7.11.흙날. 옥영경 2020-08-13 309
5325 2020. 7.10.쇠날. 비 내리다 갬 옥영경 2020-08-13 317
5324 2020. 7. 9.나무날. 뿌연 해 옥영경 2020-08-13 315
5323 2020. 7. 8.물날. 갬 옥영경 2020-08-13 312
5322 2020. 7. 7.불날. 몇 방울 떨어지다 말다 옥영경 2020-08-13 349
5321 2020. 7. 6.달날. 흐리다 오후 소나기 옥영경 2020-08-13 314
5320 2020. 7. 5.해날. 흐린 속에 안타까운 듯 두어 방울 비 옥영경 2020-08-13 308
5319 2020. 7. 4.흙날. 흐리다 겨우 두어 방울 비 옥영경 2020-08-13 315
5318 2020. 7. 3.쇠날. 흐리다 비 옥영경 2020-08-13 303
5317 2020. 7. 2.나무날. 흐림 / 학교를 다시 묻는다 옥영경 2020-08-13 315
5316 2020. 7. 1.물날. 종일 흐리다 아주 잠깐 해 옥영경 2020-08-13 301
5315 2020. 6.30.불날. 장맛비 옥영경 2020-08-13 308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