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 上: 역행을 짧게하면 점이되고 길게하면 한일자가 된다는 것을 표현한 것이다.
下: 글획과 글획이 두번 중첩되어도 어색하지 않고 아귀가 꼭 맞아야 한다.



팔점서법의 4번째는 역행(力行)이다.
역행이란 손목으로 붓을 밀고가면 역행이고 손이 먼저나가면 순류(順流)가 되는 것이다.
물론 붓 털을 돈(頓)에서 잘 펴서 힘있게 가야 역행(力行)이지
아무리 힘있게 간다 하더라도 붓털이 펴지지 않고 가면 역행이 아니다.
역행(力行)은 붓이 힘있게 가서 글이 쓰여진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 역행(力行)의 기능은 힘차게 글을 쓰는 이외에 또 한가지는 글씨의 장단을 설정하는 것이다.
가령 점(点)을 찍을 때는 역행을 조금 가게 하고
한 일(一)자를 쓸 때는 옆으로 길게 역행을 해야 하고.
뚫을 곤(곤)자를 쓸 때는 밑으로 역행을 길게 해야 한다.

이 때 붓 잡는 법(執筆法)도 관직(管直)으로 해서 역행을 해야 한다
원래 붓은 관직(管直:붓대구멍을 곧게)을 해서 글씨를 쓰야 하지만 이 역행만은 손목으로 붓을 밀고 가야 하기 때문에 붓을 가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조금 기울여 쓰도 상관없다.
다시 말해서 처음(역기逆起, 육落, 돈頓)시작에서는 반드시 붓을 곧게 세워서(관직:管直) 글을 쓰야하고
역행에서는 조금 기울이다가 마무리 단계(주住, 최, 돈頓, 제수齊收)에서 다시 붓을 곧게 세우기 때문에 붓을 기울게 해도 관직(管直)이라고 볼 수 있다.
無耘(토수)sowoozee@hanmail.net
삼륜(三輪)구들연구소ⓒ http://www.gudeul.net/
자료 이동시 위의 주소와 함께 옮겨주셔야 저작권법에
저촉이 되지 않습니다.

창포
갑자기 붓을 들어 마음 心자를 써보고 싶어집니다^^ 08·10·18 10:17


산다람쥐
머리속에선 가능할 것도 같은데 손이 말을 들을 지 모르겠네요.
문외한인 제가 바라 봐도 글씨체가 힘이 들어가 보입니다. 08·10·18 10:53


구들장이
힘을 주지 않아도 팔점서법으로 쓰면 모든 글 씨가 힘 있게 보입니다. 08·10·18 13:09
수정 삭제

나비나라
붓끝이 두번가면서도 흐트러짐이 없이 글자가 완성되니...
그래서 글자가 명확해지고 힘이 들어가는가 봅니다...
문제는 그 흐트러짐을 없애는 수련과정이 끝없이 필요할 듯 합니다..
강도 아니고 약도 아닌 고른 힘의 분배로 손목을 일정하게 밀고 나가야 하니...
엄청난 수련과정이 필요하겠습니다...
진도가 나갈수록 피나는 연습이 필요하다는 걸 절실히 느낍니다.. 08·10·18 22:16


구들장이
처음 붓가는 법을 배울 때는 팔굼치나 손묵을 책상이나 왼손으로 고정시켜서 배우면 초보자에게는 효과가 있습니다.
기초가 끝나면 필력을 얻기 위해서는 피나는 노력이 필요 하겠지요
서예 대가가 되지않을 생각이라면 기초만 알고 몇 개월만 체본을 보고 연습하면 저가 쓴 상량문 정도는 쓰게 됩니다.
기초 8가지를 다 게시하고 자상하게 설명하겠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물꼬를 다녀간 박상규님의 10일간의 기록 [5] 박상규 2003-12-23 123845
5897 누구나 확진자가 될 수 있는 상황이 되어버렸다 20220304 물꼬 2022-03-05 33200
5896 171번째 계절자유학교 사진 올렸습니다 한단 2023-01-21 32712
5895 바르셀로나, 2018. 2. 7.물날. 맑음 / You'll never walk alone file 옥영경 2018-02-08 31255
5894 [펌] 가장 명확한 기후위기 대응법엔 아무도 관심이 없다 물꼬 2021-09-14 29899
5893 어느 블로그에서 본 물꼬 이야기 [3] 졸업생 2009-04-11 23370
5892 어엇~? 이제 되는건가여? [2] 혜이니 2001-03-01 18145
5891 우이도를 다녀와서 류옥하다 2012-10-09 16727
5890 165 계자 사진 보는 법 관리자 2020-01-16 15691
5889 [11월 2일] 혼례소식: 김아람 그리고 마영호 [1] 물꼬 2019-11-01 15040
5888 물꼬를 찾아오시는 분들께(2003년판) [19] 물꼬 2003-09-22 13035
5887 [펌] 재활용 안 되는데 그냥 버려? 그래도 씻어서 분리배출하는 이유 물꼬 2021-02-21 11972
5886 [펌] 의대 증원? 이런 생각도 있다 물꼬 2023-12-23 11872
5885 164번째 계절 자유학교 사진 류옥하다 2019-08-25 9740
5884 학교를 고발한다! - PRINCE EA 물꼬 2018-06-13 9586
5883 '폭력에 대한 감수성'이 필요한! [펌] [1] 물꼬 2018-03-19 9291
5882 스무 살 의대생이 제안하는 의료정책 함께걷는강철 2017-08-23 9201
5881 한국 학생들의 진로 image [1] 갈색병 2018-05-31 9194
5880 옥쌤~ 부산대 국어교육과 잘다녀갑니다. ^^ imagefile [1] 이승훈 2014-06-02 9192
5879 황유미법은 어디만큼 와 있을까요... [1] 옥영경 2018-09-03 8841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