八點書法/ 주(住)에 대하여

조회 수 1396 추천 수 0 2008.10.27 06:40:00
그림/ 上 : 한일(一)자에 있어서 주(住)의 위치와 운필
下 : 땅지(地)자에 있어서 주(住)의 위치


⑤주(住)는 앞에서 열거한 한 일(一)자 쓰기에 있어서 처음 역기(逆起)를 해서 육락(육落)하기 전에 붓끝이 위에 머문형태와 똑같은 것을 말한다.
앞에서 열거한 ①역기 ②육락 ③돈 ④역행은 모든 글자의 앞 부분이 된다.
예를 들면 한일(一)자의 앞 부분인 마제(馬蹄 :말발꿉)를 만들 때 사용하고
지금부터 연재되는 ⑤주(住) ⑥좌(꺽을 촤) ⑦돈(頓) ⑧제수(齊收)의 4가지는 한 일(一)자의 끝 부분인 잠두(蠶頭: 누에머리)를 만드는데 사용된다.
이렇게 마제와 잠두를 합치면 하나의 점(点)이 되고 옆으로 길게 늘리면 한일(一)자가 되고 밑으로 길게 늘리면 뚫을 곤(ㅣ)자가 된다.
이것이 내가 연제하는 팔점서법(八點書法)이다.
지금 게시하는 ⑤주(住)는 살주, 머물주, 주할주...여기에 사용될 때는 '머물주'의 뜻이 가장 적합하다.
⑤주(住)는 역행(力行:힘차게 가서)으로 힘 있게 손목으로 붓을 밀어서,
내가 쓰고자 하는 글씨의 크기와 방향에 맞게 적당한 곳에 와서 멈춘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 주(住)는 머무는 것 이외에 또 하나 중요한 역활이 있는데 다음으로 이어지는 글씨쓰기의 방향을 설정한다.
다시 말해서 한 일(一)자나 점이나 어떠한 글씨의 마지막에 이르러서는 글씨의 마무리를 하는데 이 주(住)의 역활이 글씨의 크기와 모양을 낼수 있는 것이고
글씨 중간의 연결 되어지는 부분에서 주(住)의 역활은 다음 획으로 연결되어지는 역활과 깃점을 정하는 역활을 담당하게 되는 것이다.
한일(一)자 일 경우에는 가장 윗 부분에다 주(住)를 해서 ⑥촤(꺽을 촤) ⑦돈(頓) ⑧제수(齊收)를 해서 잠두(蠶頭:누에머리)를 만들어야 하고
뚫을 곤(ㅣ)자와 같이 밑으로 다시 글씨 획이 연결되게 진행할려면 왼쪽 가장 높은 곳에다 주를 해서 깃점을 정하고 다시 옆으로 ②육락(육落) ③돈(頓) 을 해서 다시 밑으로 ④역행(力行)을 하여 밑으로 글씨를 써 내려가야 한다.
갓머리(冠)일 경우에는 좌측에서 글씨휙을 연결하여 오다가 가장 위쪽에 ⑤주(住)를 했다가 옆으로 길게 내려서 ⑥촤(꺽을 촤) ⑦돈(頓) 했다가 밑으로 ⑧제수를 길게 하면 자연히 갓머리가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한 일(一)자를 예를 들면 ①역기 ②육낙 ③돈 ④역행에서 이어지는 ⑤주(住)를 짧게하면 점(點)이 되고
옆으로 길게하면 한일(一)자가 되고 밑으로 내려하면 뚫을 곤(ㅣ)자가 되고 올려 머물면 잠두(蠶頭)가 된다.
無耘(토수)sowoozee@hanmail.net
삼륜(三輪)구들연구소ⓒ http://www.gudeul.net/
자료 이동시 위의 주소와 함께 옮겨주셔야 저작권법에
저촉이 되지 않습니다.




강물처럼
선배님 글 정독하고 있습니다.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있지만
나중에 서예 공부할때 많은 도움이 될것 같습니다. 내년에는
시골생활 기초닦고 내후년부터는 몇가지 해보려고 합니다.
강원도쪽은 딴나라처럼 느껴졌는데 이곳에 들어오면서 가깝게
느껴집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물꼬를 다녀간 박상규님의 10일간의 기록 [5] 박상규 2003-12-23 124168
» 八點書法/ 주(住)에 대하여 file 無耘/토수 2008-10-27 1396
3977 八點書法/ 팔점서법으로 쓴 한일(一)자를 뚫을 곤(ㅣ)자로 세워 보았습니다. file 無耘/토수 2008-10-27 1900
3976 八點書法/ 팔점서법의 음양구분을 횡적으로 표시해 본 것 file 無耘/토수 2008-10-27 1367
3975 八點書法/ 역행(力行)에 대하여 file 無耘/토수 2008-10-27 1278
3974 八點書法/ 돈(頓)에 대하여 file 無耘/토수 2008-10-27 1519
3973 八點書法/ 육낙(육血+刀 落)에 대하여 file 無耘/토수 2008-10-27 3201
3972 八點書法/ 역기(逆起)에 대하여 file 無耘/토수 2008-10-27 2100
3971 八點書法/ 영자팔법과 팔점서법의 비교는 구조와 기능의 차이 imagefile [1] 無耘/토수 2008-10-27 4042
3970 八點書法/ 팔점서법의 비법을 공개하면서 file [2] 無耘/토수 2008-10-27 4099
3969 물꼬♡ [2] 백진주 2008-10-26 941
3968 태석샘 다녀갔어요 [5] 류옥하다 2008-10-26 994
3967 11월 29일 대안교육학부모연대가 출범합니다... 대안교육학부모연대 2008-10-24 918
3966 한빈이엄마 최소나님께 물꼬 2008-10-22 1027
3965 옥샘의 가을에게... [1] 문저온 2008-10-21 928
3964 오랜만에 글 쓰네요^^ [3] 김소희 2008-10-21 973
3963 2008년 논두렁이 된 새 얼굴들 물꼬 2008-10-19 948
3962 허새미님께 물꼬 2008-10-19 1067
3961 성남의 양아형님, 고맙습니다! 물꼬 2008-10-19 879
3960 안녕하세요~ [3] 배기표 2008-10-18 975
3959 가을걷이에 새까맣게 타시겠지요.. [3] 함형길 2008-10-17 1010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