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 上 : 마음심(心)자 점의 제수한 모습
下 : 한 일(一)자의 제수한 모습


팔점서법의 마지막 법수는 ⑧재수(齋收:가지런히 거두다)인데 마지막 붓을 거두고 글씨를 마무리 한다는 뜻이다.
붓털도 가지런히 거두지만 마음도 가지런하면서 엄숙히 마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처음 붓을 대는 마음과 마지막 붓을 놓는 그 순간까지 한 마음으로 정성드려 쓰라는 의미가 내포된 것이다.
이 제수(齊收)는 몇 가지 유형이 있는데
하나는 길 영(永)자의 윗 점(点)이나 마음 심(心)자의 점과 같이 붓 끝을 숨기는 형식이고
둘은 한 일(一)자나 송나라 송(宋)자의 점(点)과 같이 붓을 눌려 마무리 짓는 형식이고
셋은 길영(永)자나 나라송(송)자의 파임과 같이 ⑧제수(齋收:파임)를 길게 늘어지게 하여 모양을 짓는 형식이고
넷은 갈고리 궐(궐)자나 마칠 요(了)자와 같이 마지막에 끝이 뾰쪽하게 보이게 하는 형식이 있다.

대개 여러가지의 글자를 쓰고 마지막 ⑧재수(齋收)를 했을 때 붓털의 모양은 어떻게 나오는가 하면
길 영(永)자의 점(点)을 쓰고 나면 점 왼쪽 중간에서 붙끝이 모아지고
마음 심(心)자의 점을 쓰고 나면 점 오른쪽 중간에 붓끝이 모아지고
한 일(一)자를 쓰고나면 오른쪽 아래 음선(陰線)에 가로로 붓 털이 칼날같이 일직선으로 펴서 끝나고
송나라 송(宋)자의 점(点)을 쓰고 나면 점 아랫부분에서 오른 편 음선(陰線)에서 세로로 칼날같이 얇게 펴진상태로 끝이나고
갈고리 궐(궐)자나 마칠 요(了)자를 쓰고나면 마지막 아랫부분에서 왼쪽으로 갈고리모양을 이루면서 붓끝이 뾰쪽하게 모아지게 되고
새 을(乙)자를 쓰고 나면 마지막엔 새입(鳥口)모양을 이루고는 붓 끝이 마지막 위에서 뾰쪽하게 모아지게 된다.
無耘(토수)sowoozee@hanmail.net
삼륜(三輪)구들연구소ⓒ(www.gudeul.net)
이동시 위의 주소와 함께 옮겨주셔야 저작권법에
저촉이 되지 않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물꼬를 다녀간 박상규님의 10일간의 기록 [5] 박상규 2003-12-23 112838
4018 주절주절 [1] sUmiN 2008-11-12 1053
4017 ‘장애아동 통합지원’ 자원교사 양성과정 file 무지개 2008-11-11 863
4016 잘 지내시죠?^^ [4] 유설 2008-11-10 886
4015 원미선샘... [2] 물꼬 2008-11-05 999
4014 같이 읽고 싶은 책 - 십대, 지금 이 순간도 삶이다 file 이영미 2008-11-05 867
4013 전현정님, 정병옥님... 물꼬 2008-11-02 863
4012 11월 14일(금) 2시 아시아의 친구들 "제노포비아와 한국사회" 의 토론회에 초대합니다 image 아시아의 친구들 2008-11-02 1008
4011 겨울계자못가요..ㅜㅜ [5] 석경이 2008-11-01 865
4010 옥쌤! [7] 최지윤 2008-10-31 1229
4009 안녕하세요 쌤! [2] 오디 2008-10-30 874
4008 八點書法/ 팔접서법으로 써 본 우리집 상량문 file 無耘/토수 2008-10-29 1077
» 八點書法/ 제수(齊收)에 대하여 file 無耘/토수 2008-10-29 1297
4006 옥샘께 [1] 이재창 2008-10-28 859
4005 안녕 하세요 저 재호에요 [1] 장지은 2008-10-28 892
4004 게시판의 댓거리 꼭지에 대하여 물꼬 2008-10-28 927
4003 ㅋㅋㅋ [4] 민우비누a 2008-10-27 1040
4002 八點書法/ 마음 심(心)자의 파임은 3개의 획이 합쳐져서 이루어 진다. file [1] 無耘/토수 2008-10-27 1351
4001 八點書法/ 두번째 돈(頓)에 대하여 file 無耘/토수 2008-10-27 1314
4000 八點書法/ 촤(꺽을촤)에 대하여 file 無耘/토수 2008-10-27 3047
3999 八點書法/ 주(住)에 대하여 file 無耘/토수 2008-10-27 1391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