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10.16.불날. 맑음

조회 수 1285 추천 수 0 2007.10.26 07:06:00

2007.10.16.불날. 맑음


콤바인으로 벼를 거둔다 해도
논 가장자리는 기계가 닿지 못합니다.
해서 가 쪽은 손으로 베주어야 하지요.
아이들이랑 벼를 벴습니다.
할머니들은 마지막 메뚜기를 잡고 계셨지요.
“이 논만 메뚜기가 들어.”
그럴 밖에요,
마을 젤 웃다랑이인 물꼬 논엔 농약을 치지 않으니까요.
올해도 우렁이농법으로 지었더랬습니다.
할머니들은 이 가을
틈만 나면 논두렁에서 손으로 휘익 휘익 훑고 계셨지요.
볶아 먹으면 그게 그리 맛나답니다.

아놀드 로벨의 <길을 가는 메뚜기>였지요, 아마.
그 왜, 개구리와 두꺼비 이야기로 우리를 즐겁게 하던 작가 말입니다.
어느 날 메뚜기는 느닷없이 여행이 가고 싶어서 길을 떠납니다.
길 위에서 딱정벌레도 만나고 모기도 만나고
나비와 잠자리떼도 만나지요.
모두 늘 똑같은 생각을 하고, 늘 똑같은 삶을 살아가고 있었지요.
자신들이 갈 수 있는 길이 얼마나 많은지,
그 길을 어떻게 가야하는지,
먼지가 자욱하고 길게 뻗은 길을 따라 여행을 가는 메뚜기를 따라가다 보면
우리도 얼마쯤 그걸 알 수 있게 될까요?
누군가 햇살처럼 빛나고 아침 이슬처럼 영롱한 삽화라고 했더랬습니다.
낼은 아이들에게 그 얘기를 들려주어야겠습니다,
논에 나가 마지막 메뚜기를 좇아다니면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sort 조회 수
6594 39 계자 사흘째 1월 28일 옥영경 2004-01-30 1749
6593 39 계자 나흘째 1월 29일 옥영경 2004-01-31 2007
6592 39 계자 닷새째 1월 30일 옥영경 2004-02-01 2023
6591 39 계자 엿새째 1월 31일 옥영경 2004-02-01 1989
6590 물꼬 홈페이지를 위해 오셨던 분들 옥영경 2004-02-02 1574
6589 39 계자 이레째 2월 1일 옥영경 2004-02-02 1762
6588 39 계자 여드레째 2월 2일 옥영경 2004-02-03 1787
6587 39 계자 아흐레째 2월 3일 옥영경 2004-02-04 2004
6586 39 계자 열흘째 2월 4일 옥영경 2004-02-05 1859
6585 계자 39 열 하루째 2월 5일 옥영경 2004-02-07 1788
6584 계자 39 열 이틀째 2월 6일 옥영경 2004-02-07 1723
6583 39 계자 열 사흘째 2월 7일 옥영경 2004-02-08 1725
6582 자유학교 물꼬 2004학년도 입학 절차 2차 과정 - 가족 들살이 신상범 2004-02-10 2102
6581 39 계자 열 나흘째 2월 8일 옥영경 2004-02-11 2048
6580 39 계자 마지막 날 2월 9일 옥영경 2004-02-12 1677
6579 2월 9-10일 옥영경 2004-02-12 2103
6578 '밥 끊기'를 앞둔 공동체 식구들 옥영경 2004-02-12 2227
6577 가족 들살이 하다 옥영경 2004-02-20 1814
6576 품앗이 여은주샘 옥영경 2004-02-20 2058
6575 불쑥 찾아온 두 가정 2월 19일 옥영경 2004-02-20 1977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