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10.22.달날. 맑음

조회 수 1243 추천 수 0 2007.10.29 04:53:00

2007.10.22.달날. 맑음


‘2007 충주 생명평화대회’ 소식을 듣습니다.
더러 물꼬 근황을 물어왔더랍니다.
잊히지 않으니 고마울 일이겠습니다.
아이들은 은행을 주웠습니다.
어제 사람들이 털었고,
아래에 깐 천막 안으로 들어가지 못했던 녀석들이거나
밤새 내려앉는 이들이겠습니다.

저녁에 행사 하나가 있었습니다.
‘2007 영동 명사 시낭송회’.
한 고교와 어느 중학교에서 동원된 아이들이 있었고
(예, 여전히 동원되는 불쌍한 아이들입니다.)
시 낭송 하는데 시상식처럼 꽃다발이 쏟아집니다.
사회자가 은근히, 별스럽다는 투의 반응을 보이기도 하였지요.
교육관련 일을 하는 모 인사는 자작시를 읽었습니다.
그런데 시적 감동은 좀, 아니 사실은 아주 팍 떨어졌는데,
참 좋은 시도 많은데 꼭 저래야 하나 싶기도 했고,
그렇게 하게 된 사연이야 없지 않겠지요,
조금만 찾는 노력을 기울였더라면
아이들도 시를 즐기는 한 계기가 될 수 있잖을까,
더 귀한 시간이 되잖았을까 아쉬웠습니다.
그래도 낭송회인데 어떤 경우엔 음악도 좀 써주면 좋았을 걸,
시 읽는 마음을 키우고프다는 주체측(동양일보)의 의도와는 달리
무성의해보여서도 안타까웠습니다.
“가을밤이 아름다워지고 있습니다.”
끊임없이 가을밤이 아름다워지라고 지라고 윽박지르는 것 같은
사회자도 안쓰러웠지요,
분위기를 전혀 타지 못하는 관객석이었는데.
오히려 빛난 것은 낭송과 낭송 사이에 나왔던
대금과 피아노의 만남이었더이다.
우리의 대금 샘 김정훈 샘이 연주를 하셨지요.
아는 이라고 객관성을 잃어서가 아니라
사람들의 한결 높아진 박수소리가 그 감동을 짐작케 했습니다.
여전히 자기 차례가 끝나면 바로 나가버리는 행태는 다르지 않데요.
참말 참석하고 싶지 않은 행사들입니다요.
관에서 주도하는 일만 그러한 줄 알았더니...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1394 173계자 사흗날, 2024. 1. 9.불날. 흐림 옥영경 2024-01-11 494
1393 2020. 3.10.불날. 비 옥영경 2020-04-12 494
1392 2020. 2.10.달날. 대체로 맑음 옥영경 2020-03-06 494
1391 2019.11. 7.나무날. 오후 흐림 / 내가 내가 되는 용기! 옥영경 2019-12-29 494
1390 2020. 4.15.물날. 맑음 / 총선 옥영경 2020-06-15 493
1389 2020. 1.22.물날. 오후 짤끔거리다 저녁비 옥영경 2020-02-21 493
1388 2019.11.20.물날. 맑음 / 서울 북토크: <내 삶은 내가 살게 네 삶은 네가 살아> 옥영경 2020-01-09 493
1387 2022. 1. 8.흙날. 맑음 / 169계자 샘들 미리모임 옥영경 2022-01-12 492
1386 2021.11.19.쇠날. 맑음 옥영경 2021-12-23 492
1385 2020. 2.26.물날. 갬 옥영경 2020-04-01 492
1384 2021. 9.13.달날. 가끔 구름 / 밤에 만난 벌, 그리고 물꼬의 자생성에 대한 몇 자 옥영경 2021-10-28 491
1383 2020.12. 9.물날. 흐림 옥영경 2021-01-10 491
1382 2020. 3.11.물날. 갬 옥영경 2020-04-12 491
1381 2023.10.16.달날. 살짝 흐린 옥영경 2023-10-24 490
1380 2023. 8.29.불날. 비 옥영경 2023-09-06 490
1379 2023. 8.26.흙날. 맑음 / ‘멧골 책방·2’ 여는 날 옥영경 2023-09-03 489
1378 2019.11. 4.달날. 맑음 옥영경 2019-12-27 489
1377 2월 어른의 학교 사흗날, 2022. 2.27.해날. 밤 눈싸라기 폴폴 옥영경 2022-03-24 488
1376 2022. 1.23.해날. 흐림 옥영경 2022-01-31 488
1375 2월 어른의 학교 여는 날, 2020. 2.21.쇠날. 밤비 옥영경 2020-03-28 487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