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12. 4.불날. 눈

조회 수 1494 추천 수 0 2007.12.27 00:16:00

2007.12. 4.불날. 눈


“저녁은 어디에서 오는가?”
누군가 물었습니다.
“노을을 보고 선 너로부터...”
그가 대답했습니다.
“이 산골 저녁은 어디로부터 왔는가?”
그리 묻는다면 이리 대답하겠습니다.
“눈 털고 산 너머로 달아난 바람 꼬랑지로부터...”
오늘 하루도 애쓰셨습니다!
누구에겐들 고단치 않았을 라나요.
또 하루가 갑니다.

오후에 아이들은 연탄아궁이 바람구멍을 만들었습니다.
사택 고추장집 난로구멍이 셋인데,
죄 망가졌지요.
종이를 구겨 쑤셔놓아도 불구멍 조절이야 되지만
아무렴 제 짝만 할까요.
치수를 재고 종이상자를 오리고...
미술시간이 되었더랍니다.

긴긴 산골의 겨울밤은
묵상하기에도 책을 읽기에도 얼마나 고마운 선물인지요.
한 아이의 성장사가 담긴 사진집을 들추는데
문득 발터 벤야민(walter benjamin)의 말이 생각켰습니다.
“시간은 신성하다. 왜냐하면 매 순간순간이 메시아가 들어가는 좁디좁은 문일 수도 있으니까.”
볼프강 베르크만은 <아이 사랑도 기술이다>(지향/2007)에서
이리 이어 쓰고 있었지요.

“아이의 체험에서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매 순간순간 아이의 삶은 각인되고, 특별한 의미를 갖는 것이다. 미래에 끼칠 그 영향은 너무도 중요해서 어느 누구도 평가내릴 수 없다. 시간은 귀중하고, 정말로 신성한 것이다.
지금 이 순간과 다음 순간, 모든 순간은 중요하다. 모든 순간은 과거이고 미래이며, 모든 순간은 과거와 미래를 비추는 참된 현재이다. 그렇게 산다는 것은 아이들에게 알맞은 삶이다. 우리는 그것을 배워야 한다.”

그래요, 그래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5254 6월 10일 쇠날 비 옥영경 2005-06-12 1267
5253 3월 27일 해날 저녁에 비 옥영경 2005-04-02 1267
5252 10월 19일 불날 맑음 옥영경 2004-10-28 1267
5251 133 계자 사흗날, 2009. 8.11.불날. 비 오다가다 옥영경 2009-08-25 1266
5250 2009. 4.27.달날. 날 차다 옥영경 2009-05-12 1266
5249 2009. 1.20.불날. 봄날 같은 볕 옥영경 2009-01-31 1266
5248 2007. 9. 6.나무날. 비 옥영경 2007-09-23 1266
5247 116 계자 닫는날, 2007. 1.12.쇠날. 흐려지는 저녁 옥영경 2007-01-16 1266
5246 2006.12.29.쇠날. 맑음 옥영경 2007-01-01 1266
5245 2005.12.13.불날.맑음 / 노천가마 옥영경 2005-12-16 1266
5244 2007. 6.16.흙날. 맑음 옥영경 2007-06-28 1265
5243 2007. 4. 6.쇠날. 맑음 옥영경 2007-04-16 1265
5242 2006.3.11-12.흙-해날. 맑음 옥영경 2006-03-14 1265
5241 5월 12일 나무날 맑음 옥영경 2005-05-16 1265
5240 7월 22일, 샘이 젤 만만해요 옥영경 2004-07-30 1265
5239 유설샘 미루샘의 혼례 주례사 file 옥영경 2009-03-07 1264
5238 2008.11.27.나무날. 비 옥영경 2008-12-21 1264
5237 2008.10.18.흙날. 맑음 옥영경 2008-10-28 1264
5236 2007. 5. 1.불날. 비 옥영경 2007-05-14 1264
5235 2007. 2. 6.불날. 시원찮게 맑은 옥영경 2007-02-08 1264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