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12. 4.불날. 눈

조회 수 1493 추천 수 0 2007.12.27 00:16:00

2007.12. 4.불날. 눈


“저녁은 어디에서 오는가?”
누군가 물었습니다.
“노을을 보고 선 너로부터...”
그가 대답했습니다.
“이 산골 저녁은 어디로부터 왔는가?”
그리 묻는다면 이리 대답하겠습니다.
“눈 털고 산 너머로 달아난 바람 꼬랑지로부터...”
오늘 하루도 애쓰셨습니다!
누구에겐들 고단치 않았을 라나요.
또 하루가 갑니다.

오후에 아이들은 연탄아궁이 바람구멍을 만들었습니다.
사택 고추장집 난로구멍이 셋인데,
죄 망가졌지요.
종이를 구겨 쑤셔놓아도 불구멍 조절이야 되지만
아무렴 제 짝만 할까요.
치수를 재고 종이상자를 오리고...
미술시간이 되었더랍니다.

긴긴 산골의 겨울밤은
묵상하기에도 책을 읽기에도 얼마나 고마운 선물인지요.
한 아이의 성장사가 담긴 사진집을 들추는데
문득 발터 벤야민(walter benjamin)의 말이 생각켰습니다.
“시간은 신성하다. 왜냐하면 매 순간순간이 메시아가 들어가는 좁디좁은 문일 수도 있으니까.”
볼프강 베르크만은 <아이 사랑도 기술이다>(지향/2007)에서
이리 이어 쓰고 있었지요.

“아이의 체험에서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매 순간순간 아이의 삶은 각인되고, 특별한 의미를 갖는 것이다. 미래에 끼칠 그 영향은 너무도 중요해서 어느 누구도 평가내릴 수 없다. 시간은 귀중하고, 정말로 신성한 것이다.
지금 이 순간과 다음 순간, 모든 순간은 중요하다. 모든 순간은 과거이고 미래이며, 모든 순간은 과거와 미래를 비추는 참된 현재이다. 그렇게 산다는 것은 아이들에게 알맞은 삶이다. 우리는 그것을 배워야 한다.”

그래요, 그래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sort 조회 수
5254 2020. 4.30.나무날. 맑음 옥영경 2020-08-06 335
5253 2020. 4.29.물날. 맑음 옥영경 2020-08-06 386
5252 2020. 4.28.불날. 맑음 옥영경 2020-08-06 333
5251 2020. 4.27.달날. 잠깐 빗방울 몇 옥영경 2020-08-06 341
5250 4월 빈들모임(2020. 4.25~26) 갈무리글 옥영경 2020-08-04 346
5249 빈들 닫는 날, 2020. 4.26.해날. 맑음 옥영경 2020-08-04 348
5248 빈들 여는 날, 2020. 4.25.흙날. 맑음 옥영경 2020-08-04 364
5247 2020. 4.24.쇠날. 맑음 옥영경 2020-08-04 370
5246 2020. 4.23.나무날. 맑음 옥영경 2020-08-04 357
5245 2020. 4.22.물날. 가끔 해를 덮는 구름 옥영경 2020-08-04 355
5244 2020. 4.21.불날. 화창하지는 않은 옥영경 2020-07-07 655
5243 2020. 4.20.달날. 맑음 옥영경 2020-07-07 470
5242 2020. 4.19.해날. 비, 비, 비, 가끔 바람도 옥영경 2020-07-07 450
5241 2020. 4.18.흙날. 갬 옥영경 2020-07-07 511
5240 2020. 4.17.쇠날. 천둥과 함께 소나기 옥영경 2020-07-06 404
5239 2020. 4.16.나무날. 맑음 옥영경 2020-06-15 612
5238 2020. 4.15.물날. 맑음 / 총선 옥영경 2020-06-15 508
5237 2020. 4.14.불날. 맑음 옥영경 2020-06-15 460
5236 2020. 4.13.달날. 맑음 옥영경 2020-06-15 2633
5235 2020. 4.12.해날. 소나기와 우박 옥영경 2020-06-15 494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