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12.18.불날. 오후 진눈깨비

조회 수 1509 추천 수 0 2007.12.31 17:49:00

2007.12.18.불날. 오후 진눈깨비


진안의 박한용샘과 만났습니다.
지난 3월 도법스님이랑 하는 영동탁발순례에
함께 걷고 사람들과 예서 하룻밤을 묵었던 인연입니다.
‘생명평화결사’에서 ‘생명평화아쉬람’을 만드는 의견에 대해
누구는 새로이 땅을 사들이고 건물을 세우고 하는 식으로 접근하는가 하면
또 다른 이는 굳이 그럴 게 뭐 있냐
있는 곳들에 깃들어 시작하는 게 더 생태적인 것 아니겠냐 하는데
샘은 후자인 듯하고,
그 일을 주관하진 않으시나
물꼬 같은 공간도 그렇게 잘 쓰일 수 있지 않느냐는 뜻도 전하셨지요.
그거 아니라도 <녹색평론>을 중심으로 대구랑 예가 멀지 않으니
‘녹색시민대학’같은 걸 만들어보는 건 어떨까 제안도 하셨고,
물꼬의 역할에서 도시대안학교의 산골분교는 어떠냐 묻기도 하셨습니다.
자식들 다 키우고 후배들에게 자리도 물리시고
이제 좋은 공간들의 연대에 당신을 잘 쓰고자 하시는 듯했지요.
물꼬로서는 얼마나 큰 힘인지요.
“이제 독기가 빠져서...”
귀농하는 일이며 대안학교며
얼마나 독기(자기 고집?)들이 많냐시며
그 독기가 빠진 세대가 뭐 좀 해야잖을까
생각 많으신 요즘이라셨습니다.
물꼬도 어른들 프로그램에 대해 가늠해보고 있던 터라
시민대학 같은 일에야 긍정적인데,
산골분교역할에 대해서는 아직 잘 모르겠습니다.
물꼬의 정체성과 얼마나 맞을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sort 조회 수
1494 2020. 1.30.나무날. 맑음 옥영경 2020-03-04 458
1493 2020. 1.31.쇠날. 뿌연 옥영경 2020-03-04 519
1492 2020. 2. 1.흙날. 흐려지는 오후 옥영경 2020-03-04 1255
1491 2020. 2. 2.해날. 맑음 옥영경 2020-03-05 431
1490 2020. 2. 3.달날. 맑음 옥영경 2020-03-05 472
1489 2020. 2. 4.불날. 갬 옥영경 2020-03-05 617
1488 2020. 2. 5.물날. 맑음 옥영경 2020-03-05 702
1487 2020. 2. 6.나무날. 맑음 옥영경 2020-03-05 502
1486 2020. 2. 7.쇠날. 맑음 옥영경 2020-03-05 569
1485 2020. 2. 8.흙날. 흐리게 시작하더니 맑아진 옥영경 2020-03-06 438
1484 2020. 2. 9.해날. 맑음 옥영경 2020-03-06 452
1483 2020. 2.10.달날. 대체로 맑음 옥영경 2020-03-06 506
1482 2020. 2.11.불날. 맑음 옥영경 2020-03-12 1666
1481 2020. 2.12.물날. 비 / There is time! 옥영경 2020-03-12 602
1480 2020. 2.13.나무날. 비 옥영경 2020-03-12 514
1479 2020. 2.14.쇠날. 갬 옥영경 2020-03-13 474
1478 2020. 2.15.흙날. 맑다가 갑자기 온 손님처럼 비, 그리고 굵은 비 / 암트스프라헤 옥영경 2020-03-13 456
1477 2020. 2.16.해날. 눈 옥영경 2020-03-13 583
1476 2020. 2.17.달날. 눈 옥영경 2020-03-13 468
1475 2020. 2.18.불날. 갬 옥영경 2020-03-18 522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