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12.26.물날. 맑음

조회 수 1374 추천 수 0 2007.12.31 17:52:00

2007.12.26.물날. 맑음


이맘 때 망태를 들고 칡을 캐러 다니는 이들이 있지요.
산촌 풍경입니다.
이웃 철수아저씨에게도 한창 일입니다.
해마다 칡을 캐서 즙을 내지요.
뿌리고 거두는 것보다 돈 사는 게 낫다 합니다.
“조수도 있어.”
아마 귀농을 준비하는 이가 와서 머물며
손을 보태고 있나 보지요.
“점심은?”
“굶지.”
늦은 아침을 먹고 점심을 건넌 뒤
햇살이 누그러지면 내려와 저녁을 먹는다데요.
먹는 밥에 와서 한술 뜨라 했지요.
밥이 귀한 노총각이니까요.
점심을 잘 나누었습니다.
늘 공양 가운데 밥공양이 제일이다 싶습니다,
사실 이곳에서 달래 해줄 수 있는 것도 별반 없지만.

‘꽃이 저를 흔드는 바람의 뜻을 모르듯
사람은 사람이 곁에 서 있는 뜻을 모르’지요.
‘흔들흔들 흔들리며 꽃이 살아있듯
부대끼는 슬픔으로 사람은 사는’ 거라며
‘사람이 사람과 사는 이것이 얼마나 아름다운지’를
“소곡”이란 시로 노래한 최명학이란 시인이 있었습니다.
사는 게 무엇이냐 많이도 물었던 그였는데
“칡의 노래”도 그런 시 한 편이었지요.
‘푸석푸석 마른 모래땅 무른 뿌리로
줄차게 뻗어 허이옇게 꽃도 피우는’ 칡이
‘강산의 꽃들도 죽은 한겨울
꽝꽝 얼은 민둥산을 아름 안고 잠자는 게 아니’랍니다.

시퍼렇게 눈을 뜨고
기다려라 봄이 오면
잎 잎도 푸르르이 덩치 큰
뫼 하나야
휘덮는 넌출넌출
- “칡의 노래” 가운데서

사는 게 무엇이더이까.
시퍼렇게 눈뜨고 겨울을 난 뒤
봄 오면 온 삶을 넌출넌출 휘덮을 일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5834 10월 6일 물날 맑음 옥영경 2004-10-12 1369
5833 2007.12.28.쇠날. 비 옥영경 2007-12-31 1368
5832 2007.10.27.흙날. 맑음 / 작은 잔치 옥영경 2007-11-06 1368
5831 115 계자 이튿날, 2007. 1. 1.달날. 흐림 옥영경 2007-01-04 1368
5830 2008. 1.23.물날. 싸락눈 옥영경 2008-02-20 1367
5829 2007.12.15.흙날. 눈발 옥영경 2007-12-31 1367
5828 2007. 6.17. 해날. 맑음 / ‘전원생활’, 취재 옥영경 2007-06-28 1367
5827 11월 30일-12월 1일, 양상현샘 오시다 옥영경 2004-12-03 1367
5826 9월 1일, 공동체 새식구 옥영경 2004-09-14 1367
5825 2011.10.25.불날. 갠 뒤 가을하늘 바로 그 하늘 옥영경 2011-11-09 1366
5824 147 계자 닷샛날, 2011. 8.18.나무날. 비 갬 / 산오름 옥영경 2011-09-06 1366
5823 2008. 5.23.쇠날. 흐림 옥영경 2008-06-01 1366
5822 109 계자 여는 날, 2006.1.20.쇠날. 마르다 만 빨래 같은 하늘 옥영경 2006-01-21 1366
5821 4월 22일 쇠날 맑되 지치지 않는 바람 옥영경 2005-04-24 1366
5820 4월 16일 흙날 텁텁해 뵈는 하늘 옥영경 2005-04-19 1366
5819 10월 12일 불날 맑음 옥영경 2004-10-14 1366
5818 2012. 5. 1.불날. 맑음이라고 계속 쓰는 날들 옥영경 2012-05-12 1365
5817 128 계자 나흗날, 2008.12.31.물날. 맑음 옥영경 2009-01-07 1365
5816 2008.10.20.달날. 맑음 옥영경 2008-10-28 1365
5815 2008. 5. 1.나무날. 맑음 옥영경 2008-05-16 1365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