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 2. 8.쇠날. 맑은데도 눈 나풀나풀

조회 수 1217 추천 수 0 2008.03.05 10:41:00

2008. 2. 8.쇠날. 맑은데도 눈 나풀나풀


산골 오니 맑은데도 눈 나풀거리고 있네요.
남도의 골짝에서 하루를 보내고 오는 저녁답입니다.
집안 식구들이랑 모다 강가에 나가 향어회를 먹었더랬습니다.
“야아, 사우(사위)가 오니 대우가 달라지네.”
날이 추워지면 강가에 나가 향어회를 먹습니다.
바다가 멀지는 않다 해도 내륙이라
바다회보다는 민물회들을 먹지요.
어린 사람들이야 그저 초고추장 맛이라지만
민물회를 좋아하는 사람들은
민물회 먹다 바다회 싱거워서 못 먹는다 합디다.
향어회는 색이 붉어 맛도 진하다나요.
“아하, 그래서 횟집에서도 연한 색부터 먹으라는 구나...”
회가 차가운 음식이니 속을 데운다고 무채가 나오는데
회를 먹지 않는 사람에게도 좋은 반찬이 됩니다.
땅콩가루와 산초향이 나는 초고추장에
다른 야채랑 함께 비벼먹으면 맛이 일품이지요.
먹다 남은 회는 매운탕에 샤브샤브로 이어집니다.

딸년은 도둑이라더니...
그예 재봉틀을 실어옵니다.
공동체에 세 대나 있지만
제대로 작동하는 게 없어 늘 아쉬웠지요.
집에 갈 때만 써 오던 건데,
마침 이젠 예전처럼 집안에서 쓰는 이가 없답니다.
화장지 꾸러미며 건어물이며
이리저리 쟁여져 있는 물건들도 실려 옵니다.
등나무 하나도 파 왔네요.
국화시간에 바람에 흩날리는 등꽃을 그리며
몇 아이들이 더러 궁금타 궁금타 하던 나무였더랬지요.
오래전 실어갔던 두 그루도 있었으나
그 해 겨울을 넘기지 못하고 죽어버렸는데,
올해는 잘 키워보자 합니다.
나무를 심을 때는 절대 한 그루만 심지 말라던가요.
“세 그루를 심어라!”
한 그루는 그늘을 위해,
한 그루는 열매를 위해,
그리고 나머지 한 그루는 아름다움을 위해 심으라데요.
그렇게 숲이 되는 거겠지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4934 2008. 2.15.쇠날. 맑음 옥영경 2008-03-07 1213
4933 2008. 2.11.달날. 흐릿 옥영경 2008-03-05 1213
4932 2007. 9.19. 물날. 갬 옥영경 2007-10-05 1213
4931 2007. 5.18.쇠날. 맑다가 빗방울 옥영경 2007-06-03 1213
4930 2007. 3. 3.흙날. 흐림 옥영경 2007-03-10 1213
4929 108 계자 이틀째, 2006.1.3.불날.맑음 옥영경 2006-01-04 1213
4928 2005.12.28.물날.맑음 / 할아버지의 봄맞이처럼 옥영경 2005-12-29 1213
4927 11월 27일 흙날 맑음, 밥알 반짝모임 옥영경 2004-12-03 1213
4926 158계자 닷샛날, 2014. 8.14.나무날. 비 / 산오름 옥영경 2014-08-20 1212
4925 2012. 5. 4.쇠날. 맑음 옥영경 2012-05-12 1212
4924 149 계자 갈무리글 옥영경 2012-01-13 1212
4923 2011. 5.11.물날. 비 오며가며 옥영경 2011-05-23 1212
4922 2008.12. 1.달날. 맑음 옥영경 2008-12-21 1212
4921 2007. 8.31.쇠날. 비 옥영경 2007-09-21 1212
4920 2007. 4. 9.달날. 맑음 옥영경 2007-04-16 1212
4919 2006.5.4.나무날 / 잡지 '민들레', 정정·반론보도문을 내기로 하다 옥영경 2006-05-11 1212
4918 3월 20일 해날 모진 봄바람 옥영경 2005-03-21 1212
4917 9월 24일 쇠날 맑음, 령이의 통장 옥영경 2004-09-28 1212
4916 2017. 1.16~20.달~쇠날. 눈 내렸고, 맑았고, 몹시 추웠다 옥영경 2017-01-26 1211
4915 2013. 2. 5.불날. 잔비 내리더니 어둠과 함께 눈 옥영경 2013-02-21 1211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