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 2.12.불날. 맑으나

조회 수 1238 추천 수 0 2008.03.07 17:06:00
2008. 2.12.불날. 맑으나


영하권입니다.
바람도 여간 세지 않습니다.
얼어붙은 천지는
마치 흐린 날이기라도 한 양 먹먹합니다.
이런 날은 꼭 ‘금관의 예수’가 떠오르지요.
기독교인이 아니었어도
금관이 아닌 가시면류관을 쓰고 맨발로 누추한 이들 곁에 했던 예수는
혁명을 꿈꾸던 그 시절의 모든 이들의 추앙이었습니다.
같은 제목의 김지하의 희곡 들머리에 나오던 시를
김민기가 곡을 붙였더랬지요.
우리는 얼어붙은(?) 거리에서
어깨 겯고 목이 터져라 이 노래를 불렀습니다.
과에 노래패 하나쯤은 다 있던 그 시절
과방에서가 아니어도
종로 뒷골목 막걸리집에서, 명동 앞골목 찻집에서
‘가투’란 게 끝나고 상승됐던 분위기가 가라앉고 나면
마지막은 웅얼거리듯 불렀더랍니다.

얼어붙은 저 하늘
얼어붙은 저 벌판
태양도 빛을 잃어
아, 캄캄한 저 가난의 거리
어디서 왔나
얼굴 여윈 사람들
무얼 찾아 헤매이나
저 눈 저 메마른 손길

안되겠다 싶어 달골 달려가 온도 조절을 했지요.
창고동이 휑한 건물이다 보니
보일러가 얼지 않을까 늘 신경이 쓰입니다.
감기가 돌던 겨우내 까닥 없던 산골 아이도
날이 모지니 머리가 지끈거리나 봅니다.
오늘은 식구들이 모다 이른 저녁을 먹고
일찌감치 아랫목으로들 들어갔지요.

공동체식구가 되기 위한 과정을 밟고 있는 안인경님이
다시 방문하셨습니다.
지낼 집도 둘러보고
서로 눈을 보고 물어야할 것들도 하나 하나 챙겼지요.
“말은 말이지요.”
그러게요,
말은 말이지요.
사는 일은 또 다른 것일 겝니다.
일단 같이 뒹굴어보자 하였지요.
간디의 말을 떠올리며 그를 보냈답니다.
“나는 내 집 사방이 담으로 둘러싸이고 창문들이 닫히는 걸 원치 않는다. 나는 세상의 모든 문화가 내 집으로 최대한 자유로이 들어오길 바란다. 그러나 내가 쓸려 나가는 것은 거부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sort 조회 수
6594 2024. 2.10.해날. 힘찬 해 / 설 옥영경 2024-02-13 488
6593 2024. 2. 8~9.나무~쇠날. 맑음 옥영경 2024-02-13 429
6592 2024. 2. 7.물날. 어렴풋한 해 옥영경 2024-02-13 442
6591 2023학년도 2월 실타래학교(2.3~6) 갈무리글 옥영경 2024-02-13 394
6590 실타래학교 닫는 날, 2024. 2. 6.불날. 비, 그리고 밤눈 옥영경 2024-02-13 444
6589 실타래학교 사흗날, 2024. 2. 5.달날. 서설(瑞雪) 옥영경 2024-02-13 391
6588 실타래학교 이튿날, 2024. 2. 4.해날. 갬 / 상주 여행 옥영경 2024-02-11 399
6587 실타래학교 여는 날, 2024. 2. 3.흙날. 저녁비 옥영경 2024-02-11 407
6586 2024. 2. 2.쇠날. 맑음 옥영경 2024-02-11 400
6585 2024. 2. 1.나무날. 맑음 옥영경 2024-02-11 400
6584 2024. 1.31.물날. 안개 내린 것 같았던 미세먼지 / 국립세종수목원 옥영경 2024-02-11 384
6583 2024. 1.30.불날. 맑음 옥영경 2024-02-11 393
6582 2024. 1.29.달날. 맑음 / 그대에게 옥영경 2024-02-11 366
6581 2024. 1.28.해날. 구름 좀 옥영경 2024-02-11 378
6580 2024. 1.27.흙날. 흐림 / 과거를 바꾸는 법 옥영경 2024-02-08 397
6579 2024. 1.26.쇠날. 맑음 / '1001' 옥영경 2024-02-08 387
6578 2024. 1.25.나무날. 맑음 옥영경 2024-02-07 392
6577 2024. 1.24.물날. 맑음 / 탁류, 그리고 옥구농민항쟁 옥영경 2024-02-07 378
6576 2024. 1.23.불날. 눈 / 끊임없이 자기 해방하기 옥영경 2024-02-07 394
6575 2024. 1.22.달날. 맑음 / 포트락 옥영경 2024-02-07 385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