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 3. 1.흙날. 맑음

조회 수 1258 추천 수 0 2008.05.16 00:44:00

* 알아차리지 못하고 있었습니다, 써두고 올리는 걸 잊은 걸.
한꺼번에 며칠 씩을 올리고 있어 더욱 그랬네요.
게다 홈페이지 시스템에 문제가 생겨 글이 사라지기도 하는 요즘이라
글이 하루 빠진 걸 보고도 으레 같은 문제이겠거니 하고 있었지요.
오늘 관리하는 이의 말이, 글이 아예 올라가 있지 않다는 겁니다.


2008. 3. 1.흙날. 맑음


새 학년도를 앞두고
서류며 행정적인 일들을 정비하고 있습니다.
물꼬가 소유학고 있는 땅에 대한
등기문제도 정리를 좀 하려합니다.
달골은 생태공동체마을의 중심이 될 자리이지요.
지금 거긴 포도밭이 있고 콩밭이 있고
그리고 객사(한 때 기숙사 역할을 하기도 한 게스트 하우스)가 있고
갤러리(물꼬 박물관, 카페테리아 같은 역할을 하는 강당)가 있지요.
장차 콩밭 너머 숲에 명상센터(새벽의 집)를 들이려 합니다.
오랜 꿈을 한 발 한 발 펼쳐나가는 곳이지요.

역시 새 학년을 맞으며
자리이동이 있습니다.
내일부터 가마솥방지기가 들어오고
오랫동안 교무행정일을 보았던 이는 4년 동안 휴직을 합니다.
멀리 가는 건 아니고 마을 안에서
본격적으로 농사수업을 해보기로 하였지요.
한동안 빈자리가 될 것이지만
우선은 오며가며 되는 손이 해나갈 테지요.
그래서 이월이 한창입니다.

교무실 일들을 들여다보며
그것이 갖는 자잘하고 신경 쓰이는 일의 성질이 어려운 게 아니라
역시 매체가 문제가 되지요.
“안 터져.”
컴퓨터 앞에서 뭔가 망설이고 있으면 곁에 있는 이들이 툭 던지는 말처럼
그래요, 뭐 별 일이 일어나는 것도 아닌데,
도대체 뭘 해야 될지 모르겠고
어째얄지 모르겠고
우선 막막한 거지요.
그런데 오늘도 어떤 기능을 찾아 헤매고 있는데,
곁에 있던 아이가 건너다보며 그러데요.
“내가 해줄까?”
그러더니 와서 막 뭘 하는 겁니다.
영상세대라더니
딱히 배우지 않아도 아이들에겐 아주 자연스런 도구가 되고 있었지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sort 조회 수
6654 너무 건조하지 않느냐길래 옥영경 2003-11-04 4529
6653 완기의 어머니, 유민의 아버지 옥영경 2003-11-06 4630
6652 흙그릇 만들러 다니는 하다 신상범 2003-11-07 4581
6651 이불빨래와 이현님샘 옥영경 2003-11-08 4516
6650 민건협 양상현샘 옥영경 2003-11-08 5148
6649 뚝딱뚝딱 계절학교 마치고 옥영경 2003-11-11 4555
6648 가족학교 '바탕'의 김용달샘 옥영경 2003-11-11 4670
6647 대해리 바람판 옥영경 2003-11-12 4608
6646 출장 나흘 옥영경 2003-11-21 4379
6645 신길샘, 그리고 경옥샘과 윤희샘 옥영경 2003-11-27 3339
6644 아리샘 옥영경 2003-11-28 2899
6643 11월 17 - 23일 옥영경 2003-12-08 2864
6642 물꼬에 사는 아이들 옥영경 2003-12-08 2780
6641 물꼬 공동체 식구들 옥영경 2003-12-08 2867
6640 물꼬 식구들 숯가마 가던 날 옥영경 2003-12-08 2772
6639 용달샘네 갔던 날 옥영경 2003-12-08 2920
6638 대해리 바람판 12월 2일 불날 옥영경 2003-12-08 3212
6637 입학원서 받는 풍경 - 하나 옥영경 2003-12-08 2727
6636 새 노트북컴퓨터가 생기다 옥영경 2003-12-10 2667
6635 아이들 살림이 늘다 옥영경 2003-12-10 2818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