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 3. 1.흙날. 맑음

조회 수 1234 추천 수 0 2008.05.16 00:44:00

* 알아차리지 못하고 있었습니다, 써두고 올리는 걸 잊은 걸.
한꺼번에 며칠 씩을 올리고 있어 더욱 그랬네요.
게다 홈페이지 시스템에 문제가 생겨 글이 사라지기도 하는 요즘이라
글이 하루 빠진 걸 보고도 으레 같은 문제이겠거니 하고 있었지요.
오늘 관리하는 이의 말이, 글이 아예 올라가 있지 않다는 겁니다.


2008. 3. 1.흙날. 맑음


새 학년도를 앞두고
서류며 행정적인 일들을 정비하고 있습니다.
물꼬가 소유학고 있는 땅에 대한
등기문제도 정리를 좀 하려합니다.
달골은 생태공동체마을의 중심이 될 자리이지요.
지금 거긴 포도밭이 있고 콩밭이 있고
그리고 객사(한 때 기숙사 역할을 하기도 한 게스트 하우스)가 있고
갤러리(물꼬 박물관, 카페테리아 같은 역할을 하는 강당)가 있지요.
장차 콩밭 너머 숲에 명상센터(새벽의 집)를 들이려 합니다.
오랜 꿈을 한 발 한 발 펼쳐나가는 곳이지요.

역시 새 학년을 맞으며
자리이동이 있습니다.
내일부터 가마솥방지기가 들어오고
오랫동안 교무행정일을 보았던 이는 4년 동안 휴직을 합니다.
멀리 가는 건 아니고 마을 안에서
본격적으로 농사수업을 해보기로 하였지요.
한동안 빈자리가 될 것이지만
우선은 오며가며 되는 손이 해나갈 테지요.
그래서 이월이 한창입니다.

교무실 일들을 들여다보며
그것이 갖는 자잘하고 신경 쓰이는 일의 성질이 어려운 게 아니라
역시 매체가 문제가 되지요.
“안 터져.”
컴퓨터 앞에서 뭔가 망설이고 있으면 곁에 있는 이들이 툭 던지는 말처럼
그래요, 뭐 별 일이 일어나는 것도 아닌데,
도대체 뭘 해야 될지 모르겠고
어째얄지 모르겠고
우선 막막한 거지요.
그런데 오늘도 어떤 기능을 찾아 헤매고 있는데,
곁에 있던 아이가 건너다보며 그러데요.
“내가 해줄까?”
그러더니 와서 막 뭘 하는 겁니다.
영상세대라더니
딱히 배우지 않아도 아이들에겐 아주 자연스런 도구가 되고 있었지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5114 2007.10.19.쇠날. 비 지나다 옥영경 2007-10-29 1229
5113 2007. 6.10.해날. 맑음 옥영경 2007-06-22 1229
5112 6월 15일 물날 오후 비 옥영경 2005-06-19 1229
5111 2011.11.23.물날. 비와 해와 구름과 거친 바람과 옥영경 2011-12-05 1228
5110 2011.11.20.해날. 맑은 흐림 옥영경 2011-12-03 1228
5109 2009. 7. 9.나무날. 흐림 / <내 마음의 상록수> 옥영경 2009-07-16 1228
5108 2006.2.15.물날. 비였다가 눈이었다가 옥영경 2006-02-16 1228
5107 108 계자 열 이튿날, 2006.1.13.쇠날. 가랑비 옥영경 2006-01-15 1228
5106 2011. 6.25.흙날. 비 옥영경 2011-07-11 1227
5105 2009. 2. 9.달날. 맑음 / 정월대보름 옥영경 2009-02-24 1227
5104 2008. 3.30.해날. 비 옥영경 2008-04-12 1227
5103 105 계자 닷새째, 8월 5일 쇠날 참 맑은 날 옥영경 2005-08-13 1227
5102 5월 21일 흙날 흐리더니 개데요 옥영경 2005-05-27 1227
5101 2011. 9. 1.나무날. 맑음 옥영경 2011-09-10 1226
5100 2011 여름 청소년계자 갈무리글 옥영경 2011-08-01 1226
5099 2011. 5.30.달날. 회색 오후 옥영경 2011-06-09 1226
5098 2010. 9.12.해날. 밤새 내리던 비 개다 옥영경 2010-09-29 1226
5097 2008.10. 4.흙날. 꾸물럭 옥영경 2008-10-19 1226
5096 2008. 2.12.불날. 맑으나 옥영경 2008-03-07 1226
5095 2007. 5.15.불날. 맑음 옥영경 2007-05-31 1226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