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 3. 6.나무날. 맑음

조회 수 1230 추천 수 0 2008.03.23 19:09:00

2008. 3. 6.나무날. 맑음


봄입니다.
‘경칩 춘분 절기로다’로 시작하는 농가월령가 2월을 부르지요.
초엿샛날 좀생이로 풍흉을 안다던가요.
‘반갑다 봄바람이 변함없이 문을 여니
말랐던 풀뿌리는 힘차게 싹이 트고
개구리 우는 곳에 논물이 흐르도다.’
학교는 시작을 한 주 미루게 되었지만
들은 하늘 움직임에 따르는 일이라 발을 맞춰야 합니다.
달골에 거름을 올렸습니다.
올해는 퇴비를 50포대 준비했습니다.
기본 영양이 될 겝니다.

장편 <하루>를 쓴 한만수샘과 지난 학기 내내 함께 한 시간이 있었습니다.
누군가는 가장 현대적인 농촌소설을 마침내 만났다며
이제 더 이상 농촌은 휴머니즘의 공간이 아니라 경계에,
몰락과 아픔의 길에 있음을
아주 냉정하게 그리고 있다 했지요.

“오늘 당장 읍내 축협에 삼백만 원 갚을 돈은 어디서 나오는디? 그 돈은
대추 털듯 작대기만 휘두르믄 대추낭구에서 우수수 떨어지남? 아니면 둠벙
푸믄 솔솔 기어나오는 미꾸리맨치로 방구들만 두들기고 앉아 있으면
구들장 밑에서 솟아올라오능겨?”

오전 7시10분부터 밤 11시55분까지 오씨가 맞닥뜨린 예기치 않은 사건을 통해
오늘 우리 농촌이 직면한 왜곡되고 뒤틀린 현실을 압축하고 있습니다.
거기 오씨가 아내 길자와 언쟁을 벌이는데
신새벽에 일어나 포도밭에 거름을 경운기로 실어다놓고 들어온 뒤였지요.

“아침부터 쓰잘디읍는 소리 그만 지껄이고 어서 돈이나 내놔.”
“얼매나 줘유?”
“짬뽕 곱배기 삼천원에,쐬주 한병 삼천 원,차비가 천 원씩잉께
왕복으로 이천 원 혀서 딱 만 원만 있으면 될 끼구먼.”

말이 되든 안 되든
일이 되든 안 되든
우리도 포도밭에 거름을 내며 한 해 농사를 시작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5074 2011. 9. 1.나무날. 맑음 옥영경 2011-09-10 1228
5073 2011. 5.30.달날. 회색 오후 옥영경 2011-06-09 1228
5072 2009. 5. 2.흙날. 흐리다 비 오락가락 옥영경 2009-05-12 1228
5071 유설샘 미루샘의 혼례 주례사 file 옥영경 2009-03-07 1228
5070 2008. 3.27.나무날. 맑으나 춥네요 옥영경 2008-04-12 1228
5069 2008. 3.16.해날. 맑음 옥영경 2008-04-03 1228
5068 2007.11.13.불날. 맑음 옥영경 2007-11-21 1228
5067 2007. 3.21.물날. 흐림 옥영경 2007-04-06 1228
5066 2006. 9.26.불날. 아주 가끔 구름 옥영경 2006-09-29 1228
5065 2005.11.13.해날.맑음 / 중량(重量)초과(草果) 生 옥영경 2005-11-14 1228
5064 6월 6일 달날 의심없는 여름 옥영경 2005-06-09 1228
5063 2012. 2.15.물날. 맑음 옥영경 2012-02-24 1227
5062 2011. 6.25.흙날. 비 옥영경 2011-07-11 1227
5061 2010. 9.12.해날. 밤새 내리던 비 개다 옥영경 2010-09-29 1227
5060 2009. 4. 4.흙날. 바람 몹시 불고 천지 황사 옥영경 2009-04-14 1227
5059 2007. 4.15.해날. 맑음 옥영경 2007-04-24 1227
5058 2007. 3.22.나무날.맑음 옥영경 2007-04-06 1227
5057 2007. 3.10-11.흙-해날. 눈보라 / 달골에서 묵은 생명평화탁발순례단 옥영경 2007-03-28 1227
5056 2006.11.23.나무날. 아주 잠깐 진눈깨비 지나고 옥영경 2006-11-24 1227
5055 2006.4.30-5.4.해-나무날 / 자율학교였단다 옥영경 2006-05-09 1227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