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 3.18.불날. 흐려지는 오후

조회 수 1196 추천 수 0 2008.04.06 21:04:00

2008. 3.18.불날. 흐려지는 오후


스스로공부가 이번 학기에는 불날에 있습니다.
자신이 관심 있는 주제를 좇아
한 해 내내 연구해가는 시간입니다.
오전을 자신이 알아서 꾸려가지요.
먼저 해봤던 아이들이 뒤 아이에게 잘 안내를 해줍니다,
지나간 자료를 통해 어떻게 해나갈까 의논들도 하고.
‘스스로!’
얼마나 매력 있는 행위인지요.
궁극적으로 배움의 방식도 결국 그런 거 아니겠는지.
우리가 숱한 시간을 들여 배움터에서 익히려는 것도
결국 그런 자립의 힘이겠습니다.
아이들은 책방으로 들로
스스로공부 스케치북을 쥐고 뛰어다니고 있었습니다.

오늘도 포도밭에 들어 나무껍질을 벗기지요.
한 주 내내 할 듯합니다.
해질녘엔 국화시간이 이어졌네요.
올해도 미죽샘은 변함없이
아이들에게 한국화를 가르치러 오십니다.
올해 학교를 들어간 손주 혜송이도 같이 하지요.
가끔 할머니를 따라 오기도 했고,
지난 겨울 계자를 와서 한 주 머물다 가기도 했습니다.
아이 넷이 진도가 다 달랐네요.
이정이와 혜송이는 매화 꽃잎을,
종훈이는 해당화꽃을,
류옥하다는 먹으로 국화꽃을,
곁에서 아이들을 넘겨다보던 저는 난을 치기 시작했답니다.

학교에 대한 문의, 공동체에 대한 관심, 그리고 교사 지원, ...
간간이 이곳으로 오는 이메일과 전화의 내용들입니다.
대답을 하는 것도 참 일이네요.
아예 정리된 문건을 만들어놓고
바로 그걸 답으로 주어야겠습디다.
교무행정일을 비워두고 있으니
어떻게 하면 덜 힘을 쏟을까 이런 궁리를 하게 되는 거지요.
‘필요가 발명’이라더니,
그리고 ‘필요는 게으름이 출발’이라더니...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sort 조회 수
1554 2019.12. 3.불날. 흐림 / 해야 아는 것 옥영경 2020-01-13 402
1553 2019.12. 4.물날. 볕 옥영경 2020-01-13 449
1552 2019.12. 5.나무날. 맑음 옥영경 2020-01-13 397
1551 2019.12. 6.쇠날. 맑음 옥영경 2020-01-13 397
1550 2019.12. 7.흙날. 맑음 옥영경 2020-01-13 480
1549 2019.12. 8.해날. 맑음 옥영경 2020-01-13 440
1548 2019.12. 9.달날. 맑음 옥영경 2020-01-13 476
1547 2019.12.10.불날. 흐림 옥영경 2020-01-13 432
1546 2019.12.11.물날. 맑음 / 대체로 희망 쪽이기로 옥영경 2020-01-13 444
1545 2019.12.12.나무날. 흐림 옥영경 2020-01-14 462
1544 2019.12.13.쇠날. 흐림 옥영경 2020-01-14 411
1543 2019.12.14.흙날. 새벽 비 내린 대해리 옥영경 2020-01-14 368
1542 2019.12.15.해날. 맑음 옥영경 2020-01-14 399
1541 2019.12.16.달날. 맑음 / 오늘 마음은 오늘 수행에 기댔다 옥영경 2020-01-14 442
1540 2019.12.17.불날. 비 / 밥바라지, 오란 말인지 오지 말란 말인지 옥영경 2020-01-16 504
1539 2019.12.18.물날. 흐림 옥영경 2020-01-16 395
1538 2019.12.19.나무날. 맑음 옥영경 2020-01-16 516
1537 2019.12.20.쇠날. 흐림 옥영경 2020-01-16 426
1536 2019 겨울 청계 여는 날, 2019.12.21.흙날. 반쪽 맑음 옥영경 2020-01-16 453
1535 2019 겨울 청계 닫는 날, 2019.12.22.해날. 갬 옥영경 2020-01-16 443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