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 3.18.불날. 흐려지는 오후

조회 수 1219 추천 수 0 2008.04.06 21:04:00

2008. 3.18.불날. 흐려지는 오후


스스로공부가 이번 학기에는 불날에 있습니다.
자신이 관심 있는 주제를 좇아
한 해 내내 연구해가는 시간입니다.
오전을 자신이 알아서 꾸려가지요.
먼저 해봤던 아이들이 뒤 아이에게 잘 안내를 해줍니다,
지나간 자료를 통해 어떻게 해나갈까 의논들도 하고.
‘스스로!’
얼마나 매력 있는 행위인지요.
궁극적으로 배움의 방식도 결국 그런 거 아니겠는지.
우리가 숱한 시간을 들여 배움터에서 익히려는 것도
결국 그런 자립의 힘이겠습니다.
아이들은 책방으로 들로
스스로공부 스케치북을 쥐고 뛰어다니고 있었습니다.

오늘도 포도밭에 들어 나무껍질을 벗기지요.
한 주 내내 할 듯합니다.
해질녘엔 국화시간이 이어졌네요.
올해도 미죽샘은 변함없이
아이들에게 한국화를 가르치러 오십니다.
올해 학교를 들어간 손주 혜송이도 같이 하지요.
가끔 할머니를 따라 오기도 했고,
지난 겨울 계자를 와서 한 주 머물다 가기도 했습니다.
아이 넷이 진도가 다 달랐네요.
이정이와 혜송이는 매화 꽃잎을,
종훈이는 해당화꽃을,
류옥하다는 먹으로 국화꽃을,
곁에서 아이들을 넘겨다보던 저는 난을 치기 시작했답니다.

학교에 대한 문의, 공동체에 대한 관심, 그리고 교사 지원, ...
간간이 이곳으로 오는 이메일과 전화의 내용들입니다.
대답을 하는 것도 참 일이네요.
아예 정리된 문건을 만들어놓고
바로 그걸 답으로 주어야겠습디다.
교무행정일을 비워두고 있으니
어떻게 하면 덜 힘을 쏟을까 이런 궁리를 하게 되는 거지요.
‘필요가 발명’이라더니,
그리고 ‘필요는 게으름이 출발’이라더니...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sort 조회 수
4834 2009. 2. 3.불날. 맑음 옥영경 2009-02-13 1183
4833 2009. 2. 4.물날. 맑음 옥영경 2009-02-13 1149
4832 2009. 2. 5.나무날. 맑음 옥영경 2009-02-13 1232
4831 2009. 2. 6.쇠날. 맑음 옥영경 2009-02-13 1106
4830 2009. 2. 7.흙날. 흐림 옥영경 2009-02-13 1372
4829 2009. 2. 8.해날. 맑음 옥영경 2009-02-24 1115
4828 2009. 2. 9.달날. 맑음 / 정월대보름 옥영경 2009-02-24 1291
4827 2009. 2.10.불날. 흐리고 바람 많은 옥영경 2009-02-24 1119
4826 2009. 2.11.물날. 맑음 옥영경 2009-02-24 1080
4825 2009. 2.12.나무날. 심한 바람, 흐린 하늘이 간간이 열리고 해 옥영경 2009-02-24 1144
4824 2008. 1.28.물날. 맑음 물꼬 2009-03-06 1024
4823 2009. 2.13.쇠날. 봄비, 그리고 드센 바람 옥영경 2009-03-06 1135
4822 2009. 2.14.흙날. 구름 옥영경 2009-03-06 1082
4821 2009. 2.15.해날. 흐림 옥영경 2009-03-06 1061
4820 유설샘 미루샘의 혼례 주례사 file 옥영경 2009-03-07 1269
4819 2009. 2.16.달날. 다시 얼고 고래바람 옥영경 2009-03-07 1289
4818 2009. 2.17.불날. 맑음 옥영경 2009-03-07 1337
4817 2009. 2.18.물날. 맑음 옥영경 2009-03-07 1304
4816 2009. 2.19.나무날. 흐리더니 눈, 그것도 묻힐 만큼 옥영경 2009-03-07 1264
4815 2월 빈들 여는 날, 2009. 2.20.쇠날. 눈 내리다 멎더니 다시 눈 옥영경 2009-03-07 1412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