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 3.19.물날. 맑음

조회 수 1235 추천 수 0 2008.04.06 21:05:00

2008. 3.19.물날. 맑음


이번 학기 국선도 첫 시간입니다.
대학에서 국선도를 전공하는 박진숙엄마가 진행합니다.
그동안은 영동대 국선도학과 김기영교수님과
그 제자들이 함께 왔더랬지요.
이제 3학년이 되는 박진숙엄마이니
사범노릇 해주셔도 되지 않겠느냐 여쭈었고,
흔쾌히 당신 가진 걸 나누겠다셨네요.
곧잘 좇아가는 녀석이 있는가 하면
둘이 죽이 맞아 들썩이는 녀석도 있습니다.
틀어놓은 ‘청산선사’의 안내 CD에 따라 하는데,
기존에 하던 것보다 흐름이 조금 빠릅디다,
물론 선도주라고 하는 호흡부분은 다르지 않았지만.
전에는 아이들에 대한 배려로도 좀 더디게 했을 테지요.
게다 1시간 20분짜리 국선도 수련 과정을 1시간을 줄여서 했는데,
온전하게 시간을 다 해서 하니
수련의 강도가 만만찮습니다.
어른들이 일터로 돌아간 뒤
아이들은 단전호흡만 따로 떼서 수련을 더 이어가기도 했지요.
단전호흡법은 산중 수도자의 기본적 수련법이었고,
옛적 수많은 인재들이 국선의 단법 수련을 통해
초인적인 지혜와 용기를 얻고 국난극복에 기여했다 들었습니다.
영적으로나 신체적으로도 건강한 우리들이 되기를 서원합니다.

오후 한땀두땀 시간에는 감을 맞대어 잇는 걸 했습니다.
지난 주엔 바늘이 나왔다 들어갔다 하는 땀 익히기만 했는데
오늘은 정말 바느질로 들어가는 거지요.
제법 해봤던 아이는 박음질을 하고
다른 아이들은 홈질을 했습니다.
잘 안될 것 같던 종훈이도 재미를 느끼기 시작했지요.
간단한 소품을 만들어나가고
나중엔 간단한 수선도 가르쳐보려 한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sort 조회 수
4874 2008.12.23.불날. 갬 옥영경 2008-12-29 1160
4873 2008.12.24.물날. 꾸물딱거리는 하늘 옥영경 2008-12-29 1199
4872 2008.12.25.나무날. 눈발 날리다가 옥영경 2008-12-29 1252
4871 2008.12.26.쇠날. 맑음 옥영경 2008-12-30 1382
4870 2008.12.27.흙날. 맑음 / 미리모임 옥영경 2008-12-30 1397
4869 128 계자 여는 날, 2008.12.28.해날. 맑음 옥영경 2008-12-31 1494
4868 128 계자 이튿날, 2008.12.29.달날. 구름 걷어내며 해가, 그러다 싸락비 옥영경 2009-01-02 1671
4867 128 계자 사흗날, 2008.12.30.불날. 눈 옥영경 2009-01-07 1438
4866 128 계자 나흗날, 2008.12.31.물날. 맑음 옥영경 2009-01-07 1376
4865 128 계자 닷샛날, 2009. 1. 1.나무날. 맑음 / 아구산 옥영경 2009-01-08 1469
4864 128 계자 닫는 날, 2009. 1. 2.쇠날. 맑음. 맑음 / 아이들 갈무리글 옥영경 2009-01-08 2112
4863 2009. 1. 3.흙날. 맑음 / 129 계자 미리모임 옥영경 2009-01-09 1334
4862 129 계자 여는 날, 2009. 1. 4.해날. 맑음 옥영경 2009-01-09 1311
4861 129 계자 이튿날, 2009. 1. 5. 달날. 꾸물럭 옥영경 2009-01-09 2101
4860 129 계자 사흗날, 2009. 1. 6. 불날. 눈이라도 내려주려나 옥영경 2009-01-21 1405
4859 129 계자 나흗날, 2009. 1. 7. 물날. 맑음 옥영경 2009-01-22 1533
4858 129 계자 닷샛날, 2009. 1. 8.나무날. 맑음 옥영경 2009-01-23 1439
4857 129 계자 닫는 날, 2009. 1. 9. 쇠날 / 갈무리글들 옥영경 2009-01-24 1751
4856 2009. 1.9-10.쇠-흙날. 맑다가 눈발 / 129-1 계자? 옥영경 2009-01-24 1365
4855 놓쳤던 몇 가지 옥영경 2009-01-27 1200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