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 3.25.불날. 한 차례 눈발

조회 수 1252 추천 수 0 2008.04.12 20:10:00

2008. 3.25.불날. 한 차례 눈발


“미나리다!”
아이들이 마당가의 풀을 매고 있었습니다.
“돌미나리네.”
날마다 우리들이 그냥 디디고 다니는 땅이나
얼마나 많은 생명들과 얼마나 많은 사연들이 얽혀있을라나요.
우리 눈에 띄지도 않은 채
무수한 것들이 나고 죽을 테지요,
사람 발에 채이는 풀 몇 포기가
개미들에게는 숲이고 온 세상이기도 한,
마치 방 하나가 갓난아기에게 온 우주이기도 한,
풀을 매면서 그 작고 여린 것들의 세계로 아이들이 다가갑니다.
“이 벌레 유충은 뭐야?”
“언제 이게 났어?”
그때 눈이 나렸습니다,
풀풀풀거렸습니다.
논밭에 든 사람들은 연장을 챙기고 집에 들지요.
아이들도 호미를 걸고 가마솥방 난롯가로 돌아옵니다.
하다가 종훈이랑 이정이를 수레에 태우고 달려서 옵니다.
얼마 전 종대샘이 수리해준 리어카라지요.

마을에서 감자 종자와 포도나무 30그루를 얻었습니다.
씨감자를 다 털어먹어 어쩌나 했는데,
읍내 장에 나가서 사야겠네 했는데,
또 이렇게 준비가 됩니다.
고마울 일입니다.

4월 26일의 학교문연날 잔치 준비가 서서히 시작됩니다.
만만한 게 선배들이지요.
물꼬의 큰 그늘인 논두렁님들이기도 합니다.
공연을 부탁하지요.
좋은 뜻으로 시작한 일에 마음을 보태는 그들이고,
적어도 한 해 한번은 잔치를 빌미로 모여
물꼬의 살아있음을 확인하기도 하고
젊은 날 우리가 꿈꾸었던 세상에 대한
지지 않는 희망을 만나기도 하는 자리랍니다.

군청에서 농정과와 산림과 사람들과 만납니다.
무엇을 같이 할 수 있을까,
물꼬를 어떻게 도울 수 있을까,
찾고 의논합니다.
꼭 올해 어떤 성과를 내자고 하는 게 아닙니다.
공식적인 만남을 여러 차례 먼저 가져가다보면
같이 할 수 있는 사업도 수월해져가지 않겠느냐,
서로의 생각이 그러합니다.


공동체를 시작하면서, 혹은 공동체에 준하는 모임을 하면서
조언을 구하는 이들이 있습니다.
좀 친해지면
얼굴 한 번 본 적 없는 그 공동체 구성원들을 다 알만치 이야기가 깊어져
있는 얘기 없는 얘기 다 듣게 되지요.
대학 후배 하나가 수년 전 물꼬 계자 비슷한 프로그램을 꾸리고 있는데,
어디나 늘 사람이 문제이지요,
사람 관계에 대해 자주 물어옵니다.
그런데 그게 참 해줄 말이 없단 말입니다.
오래 했다고 익숙해지고 나아지고 하는 게 아니더란 말이지요.
그런데 재미난 건 또 어디나 비슷한 문제들이란 겁니다.
거기도 새로 온 사람들이 늘 있고
그때마다 후배는 어려움을 호소합니다.
새로운 이가 등장하면 기존의 관계들에 변화가 있기 마련이지요,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그런데 기존에 있던 식구들은
마치 새 인물의 등장으로 인한 파란이라고 여겨 언짢아하기도 하는데,
처음 합류한 사람 편에서 보자면 또 얼마나 힘든 일이겠는지요.
어쨌든 그곳 소식을 들으며
흔히 공동체에 모이는 이들에 대해서 또 생각해보게 됩니다.
그 후배의 말대로 아예 시작을 말았으면 하는 이들이 있지요.
다음과 같은 경우에 자신이 속한다면
공동체에 발을 들이는 일을 다시 생각해봐야지 않을까 싶데요.

첫째, 자기 욕구가 큰 사람.
‘자기를 잃지 않아야겠다’는 생각,
자기가 묻혀버리지 않나 끊임없이 강박처럼 여기는 이라면 분명 힘들 것입니다.
둘째, 끊임없이 계산하려 드는 사람.
마음을 내는 일은 계산의 범주에 포함된 게 아니지요.
셋째, 자신이 잘났다는 생각이 강한 사람.
어느 누구도 호락호락하지 않습니다.
못 나서 이런 곳에 오고 못 나서 이 산골로, 말하자면 밀려드는 게 아닙니다.
그냥 나를 써보는 태도가 필요하지요.
잘난 자신을 내보일 곳이 필요하면 그런 곳으로 가야 마땅합니다.
‘나도 만만찮은 사람이거든.’
이런 생각이 강하다면 그렇게 싸울 수 있는 데로 가야겠지요.
넷째, 모이는 에너지를 헤치는 사람.
대개 공동체는 규모가 크지 않습니다.
얼마 되지도 않으면서(물론 규모가 적으니 개별의 특성이 두드러지기도 하겠지요)
마음이 여러 갈래면 그 공동체가 어디로 가겠는지요.
애정으로 살아야할 것입니다.
다섯째, 공동체의 나아가는 바에 대해 잘 알고 있어야 합니다.
공동체를 들어가기 전
그곳에 대한 충분한 설득과 동의가 자신에게 있어야겠지요.
어줍잖게 대충 맞는 것 같고 당장 자기 구미에 당기는 것만 보고 가면
분명 후회하고 돌아 나올 것입니다.
자신에게도 상처고 남아있는 사람들에게 못할 짓이지요.
여섯째, 그 공동체에서 가장 우위, 혹은 중심이 무언지 보고 가야 합니다.
가령 물꼬 같으면 학교, 그러니까 아이들이지요.
아이들을 못견뎌하는 사람이라면 오려는 생각을 재고해봐야겠지요.
그 공동체의 중심에 있는 사상이라면 사상, 그런 걸 못견뎌하면서
다른 이익 때문에 들어간다면
역시 다시 떠나올 수밖에 없을 것입니다.
그것도 그 공동체 욕을 하면서 말이지요.

공동체 혹은 대안학교 혹은 비스무레한 어떤 공간으로
끊임없이 사람이 오고 그리고 떠납니다.
자연스럽게 볼 일입니다.
아프게 헤어지는 일이란 게 결코 익숙해지지 않는 일일지라도
아픔을 아픈 대로 바라볼 줄도 아는 지혜가 생겨나기를...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1554 2019. 9.10.불날. 해, 더운 속에 가끔 선선한 바람 옥영경 2019-10-26 564
1553 2019. 6. 5.물날. 맑음 옥영경 2019-08-03 564
1552 2019. 5.23.나무날. 맑음 옥영경 2019-07-24 564
1551 2019. 9.18.물날. 맑음 / NVC 옥영경 2019-10-30 563
1550 2020. 2.29.흙날. 맑음 옥영경 2020-04-01 561
1549 2020. 1.20.달날. 아침에도 밤에도 눈발 옥영경 2020-02-20 561
1548 173계자 닫는 날, 2024. 1.12.쇠날. 맑음 옥영경 2024-01-15 560
1547 172계자 사흗날, 2023. 8. 8.불날. 소나기, 입추 옥영경 2023-08-10 559
1546 2020. 3.20.쇠날. 맑음 옥영경 2020-04-17 559
1545 2019. 8.26.달날. 맑음 옥영경 2019-10-10 559
1544 2019. 7.15.달날. 억수비 한 시간 다녀간 옥영경 2019-08-17 559
1543 2019. 8.30.쇠날. 갬 옥영경 2019-10-12 558
1542 2019. 8.10.흙날. 맑음 / 복사 통조림 옥영경 2019-09-17 558
1541 2019. 7.22.달날. 갬 / 별일들 옥영경 2019-08-22 558
1540 2022. 4.16.흙날. 맑음 / 달골 대문 쪽 울타리 옥영경 2022-05-07 557
1539 2020 여름, 166 계자(8.9~14) 갈무리글 옥영경 2020-08-20 556
1538 2020. 4. 5.해날. 맑음 옥영경 2020-05-28 556
1537 2019. 8.15.나무날. 갬 옥영경 2019-09-19 556
1536 2022. 4.19.불날. 맑음 / 물꼬에 처음 왔던 그대에게 옥영경 2022-05-16 554
1535 산마을 책방➁ 여는 날, 2019. 8.24.흙날. 맑음 옥영경 2019-10-10 554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