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 3.29.흙날. 흐리다 저녁에 비

조회 수 1347 추천 수 0 2008.04.12 20:16:00

2008. 3.29.흙날. 흐리다 저녁에 비


마을이 내려다보이는 달골에 올라
역시 마을이 가장 잘 보이는 곳에
사과나무와 배나무를 심습니다.
2009학년도 기념식수인 게지요.
학교로 돌아와서는 셈놀이를 합니다.
나눔셈과 곱셈을 잘하는 토끼나라 과일가게 형아 얘기를 들려주며
수개념을 같이 익히고
저마다 제 진도에 맞춰 풀이에 들어갔지요.

손말을 하고 피아노를 친 뒤
마지막 시간이 텃밭에 나가는 오후이지요.
그런데 날이 흐려
비 내려오기 전 서둘러 나가자 했습니다.
감자를 놓았지요.
아이들이 만들어놓았던 두둑입니다.
간장집 남새밭을 다 채우고도 씨감자가 남았네요.
뒤란에 길게 두 줄 다시 두둑을 올리고
마저 다 심었습니다.
“감자씨는 묵은 감자 칼로 썰어 심는다.
토막토막 자른 자리 재를 묻혀 심는다...”
씨감자 노래를 부르며 잘 자라라 마음 모으고 돌아왔지요.

저녁엔 도마령 고개 너머 용화에 갔지요.
자계예술촌에 공연 보러갔습니다.
인사겸 간 게지요.
얻은 게 많아 갚을 일도 많은 그곳입니다.
쌀자루와 포도즙을 메고 갔습니다.
박창호님 전은영님 박정림님 박중식님,
오랜만에 그곳 식구들 만나 인사 나눕니다.
“여기 오니 다 보네.”
양강의 종훈 종혁이네, 용화의 하람이네, 새 귀농인들도 만나
즐거운 시골이야기 나누다 돌아옵니다.

감고을국악관현악단 단장님께 전화 넣었습니다.
오는 4월 잔치에서 공연 한 자락 펼쳐달란 부탁이지요.
이미 총무님께도 며칠 전 말씀 드렸댔습니다.
세상 좁습니다.
의사인 선배의 동기가 영동으로 왔다 했는데,
영동 읍내에서 약국을 하고 계신다는 그분,
2004년 물꼬가 상설학교로 문 열던 날 선배랑 다녀가셨더랬습니다.
그분이 마침 관현악단 단장님이시네요.
올 사정이 안 된다신다면 오십사 떼쓰기도 쉽겠다고 혼자 웃는다지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sort 조회 수
5154 2020. 1.23.나무날. 비, 축축하게 옥영경 2020-03-02 440
5153 2020. 1.22.물날. 오후 짤끔거리다 저녁비 옥영경 2020-02-21 511
5152 2020. 1.21.불날. 맑음 옥영경 2020-02-20 728
5151 2020. 1.20.달날. 아침에도 밤에도 눈발 옥영경 2020-02-20 580
5150 2020. 1.19.해날. 아침 이슬비 옥영경 2020-02-20 499
5149 2020. 1.18.흙날. 맑음 옥영경 2020-02-20 531
5148 2019학년도 겨울, 165 계자(2020. 1.12~17) 갈무리글 옥영경 2020-01-28 830
5147 165 계자 닫는 날, 2020. 1. 17.쇠날. 맑음 옥영경 2020-01-28 667
5146 165 계자 닷샛날, 2020. 1.16.나무날. 맑음 / ‘저 너머 누가 살길래’-마고산 옥영경 2020-01-28 2599
5145 165 계자 나흗날, 2020. 1.15.물날. 맑음 옥영경 2020-01-27 940
5144 165 계자 사흗날, 2020. 1.14.불날. 맑음 옥영경 2020-01-26 654
5143 165 계자 이튿날, 2020. 1.13.달날. 눈발 날리다 해난 옥영경 2020-01-24 729
5142 165 계자 여는 날, 2020.1.12.해날. 맑음 옥영경 2020-01-23 699
5141 2020. 1.11.흙날. 맑음 / 165 계자 미리모임 옥영경 2020-01-22 539
5140 2020. 1.10.쇠날. 맑음 옥영경 2020-01-20 485
5139 2020. 1. 9.나무날. 해 옥영경 2020-01-20 530
5138 2020. 1. 8.물날. 비, 밤엔 긋고 옥영경 2020-01-20 723
5137 2020. 1. 7.불날. 비, 장맛비처럼 질기게 많이도 종일 옥영경 2020-01-20 822
5136 2020. 1. 6.달날. 비 옥영경 2020-01-20 513
5135 2020. 1. 5.해날. 맑음 / 계자 준비위 옥영경 2020-01-20 527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