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 3.31.달날. 흐림

조회 수 1392 추천 수 0 2008.04.12 20:18:00

2008. 3.31.달날. 흐림


“알아요.”
“봤어요.”
봄이 오면 아이들 입이 바쁩니다,
봄 들 소식을 전하느라(하기야 어디 이 즈음만 그럴까요).
산마을의 봄은 부산합니다.
냉이 꽃다지 쑥들을 따라 제비꽃 피고
꽃마리 광대나물 제비꽃 별꽃 산괴불주머니 괭이눈
우르르 달려옵니다.
꽃밭은 눈에 띄게 수선화가 피어대더니
오늘은 할미꽃들이 아이들 발길을 붙들었지요.

아이들이 돌아가면서 도움꾼을 해보며,
반장 같은 거지요,
서로를 이해하는 지점이 생기고
그런 만큼 도와주는 일도 많아집니다.
처음으로 도움꾼을 맡은 막내는
도중하차하며 형에게 좀 다소곳해지기까지 했지요.
서로의 처지에 있어보는 것,
참 중요한 일이겠습니다.

시를 함께 왼 뒤
아이들에게 힐러리 루벤의 장편을 읽어주기 시작합니다.
아침마다 들려주는 동화를 선정하는데
이번 학기가 좀 늦었네요.
검은 대륙 어느 모퉁이에서 들을 달리며 살아가는 부족과
그 속의 아이들을 통해
우리들이 살고픈 모습을 그려 나가봅니다.

“얘야, 마법사가 왜 여인에게서 아이들을 다시 빼앗아 갔을까?”
“감사할 줄 몰랐기 때문이에요. 그리고 받은 것을 소중히 여길 줄 몰랐기 때문이지요. 그래서
신이 벌을 준 거예요.”

이런 대목에서 우리 아이들은 무슨 생각을 하며
저리 귀를 기울이고 있을까요?

오후에는 아이들이 풀을 매러 나갔습니다.
이 봄에는 자주 맵니다.
지난해는 웃자란 풀로 고생을 했는데,
몇 해 살아본 지혜로,
그리고 아이들의 일상 안에서
일은 이제 너무나 자연스러운 것이어 알아서들 챙기고 있습니다.
감사할 일입니다.
그리 키우고 싶었더랬습니다.

“뭐 하셔요?”
“쑥 캐지.”
마을 할머니들이 꼭 우리 논둑에 가서 쑥을 캐십니다.
무슨 이상한 농법으로 별 희한하게 농사를 짓느냐 핀잔을 하시면서도
그래도 결국 우리 논에 농약 안치는 것 아니까
거기 가서 캐고 앉아계신답니다.
물론 우리 논둑엔 제초제도 뿌리지 않았지요.
그대도 쑥 캐러 오신다구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754 12월 21일, 2004학년도 갈무리 글 두 편 옥영경 2005-01-02 1383
753 2월 7일 달날 아침에 잠시 다녀간 싸락눈 옥영경 2005-02-11 1383
752 예비중 계자 갈무리글 옥영경 2011-03-07 1383
751 7월 22-25일, 김문이님 머물다 옥영경 2004-07-28 1384
750 119 계자 닷샛날, 2007. 8. 2.나무날. 맑음 / 1,242m 민주지산 옥영경 2007-08-10 1384
749 2007. 9.15.흙날. 비 / 포도따기 이튿날 옥영경 2007-10-01 1384
748 2008.11.22.흙날. 맑음 / 산오름 옥영경 2008-12-06 1384
747 2011. 6.24.쇠날. 비 / 이동학교 자전거여행 첫날 옥영경 2011-07-09 1384
746 11월 21일 해날 맑음 옥영경 2004-11-26 1386
745 6월 18일 흙날 시원찮게 맑고 더운 뒤 비 조금 옥영경 2005-06-22 1386
744 7월 15일, 창대비 속에서 피를 뽑고 옥영경 2004-07-27 1388
743 11월 8일 달날 맑음 옥영경 2004-11-19 1389
742 6월 17일 쇠날 찌뿌찌뿌 옥영경 2005-06-19 1389
741 9월 15-6일, 지리산 천왕봉 1915m - 하나 옥영경 2005-09-24 1389
740 2006.4.9.해날. 밤, 그예 비 쏟아지다 옥영경 2006-04-11 1389
739 7월 12일, 다시쓰기 옥영경 2004-07-20 1390
738 7월 17일, 성학이 나간 날 옥영경 2004-07-28 1391
737 115 계자 나흗날, 2007. 1. 3.물날. 는개 옥영경 2007-01-06 1391
736 2007. 6.13.물날. 흐리다 비 옥영경 2007-06-26 1391
735 2월 빈들 여는 날, 2009. 2.20.쇠날. 눈 내리다 멎더니 다시 눈 옥영경 2009-03-07 1391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