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 5.31.흙날. 맑음

조회 수 1243 추천 수 0 2008.06.09 13:42:00

2008. 5.31.흙날. 맑음


으악, ...
지나는 고양이도 불러 세워 호미를 맡긴다는 농번기입니다.
여기라고 다를까요.
이렇게 말하면 무슨 대단한 농사를 짓고 있는 줄 알겠습니다만
손에 익은 일이 아니니 남새밭만해도 몇 천 평 농사 같을 밖에요.
더구나 최소의 식구로 사는 요즘입니다.
일은 너무나 널려 있어
여기 간 걸음에 주저앉아 풀을 매고
저기 간 길로 밭을 매고
마을길 가다 논에 내려가 둑을 살피고...
늘 작정했던 것보다 일 진척은 턱없습니다.
쇠날부터 주말이면 이른 새벽에 시작하여 어둠 드리우기 전까지 일을 좇아다니고,
흙투성이로 잠이 들고 새소리에 또 깨어 달려 나갑니다.
그래도 여기가 좋습니다.
이렇게 살아서 참 좋습니다.
책상에서의 ‘생각’은 일을 방해한다면
들에서 하는 ‘생각’은 마치 곁에서 흐르는 강물 같습니다, 무심하게.
그래서 책상에서는 생각이 일을 흩어지게 하지만
들에선 자신을 둘러싼 여러 상황들을 그냥 잘 바라보게 하지요,
자신의 일도 남의 일처럼.
명상이 따로 없습니다.
치유가 다른 데 있지 않습니다.
그래서! 여기가 좋습니다.
이렇게 살아서 참 좋습니다.

오늘은 점심 뒤 학교 마당가에 있는 열매들을 올려다보았습니다.
“아...”
어느새 앵두가 빠알갛게 물이 들어가고
보리수열매가 굵습니다.
밭딸기는 또 얼마나 바글바글한지요.
한 움큼씩 따 먹고 오후 일을 시작했지요.
교무실에도 들러 메일들에 답변도 달았습니다.

날이 무섭게 갑니다.
누가 “이렇게 살다 죽겠구나.(죽어가겠구나)” 하더니...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5134 2006. 9.29.쇠날. 맑음 옥영경 2006-10-02 1248
5133 2월 10일 나무날 맑음 옥영경 2005-02-16 1248
5132 2011. 8.24.물날. 비 옥영경 2011-09-08 1247
5131 146 계자 여는 날, 2011. 8. 7.해날. 비 잠시, 그리고 밤 창대비 옥영경 2011-08-25 1247
5130 2010 가을 몽당계자 갈무리글 옥영경 2010-11-06 1247
5129 2008. 3. 6.나무날. 맑음 옥영경 2008-03-23 1247
5128 2008. 3. 5.물날. 맑음 옥영경 2008-03-23 1247
5127 2007.10.15.달날. 밤 빗방울 잠깐 옥영경 2007-10-26 1247
5126 2007.10. 7.해날. 비 옥영경 2007-10-17 1247
5125 117 계자 닷샛날, 2007. 1.26.나무날. 흐리다 눈 / 노박산 옥영경 2007-02-03 1247
5124 2006학년도 ‘6-7월 공동체살이’ 아이들 움직임 옥영경 2006-09-15 1247
5123 7월 13일 물날 맑음 옥영경 2005-07-20 1247
5122 4월 29일 쇠날 뿌연 하늘, 산불 때문에? 옥영경 2005-05-08 1247
5121 5월 빈들모임 닫는 날, 2012. 5.27.해날. 맑음 옥영경 2012-06-02 1246
5120 2008.10. 5.해날. 흐리다 그예 비 옥영경 2008-10-19 1246
5119 2008. 4. 9.물날. 비 옥영경 2008-04-20 1246
5118 2008. 4. 2.물날. 맑으나 바람 많은 옥영경 2008-04-18 1246
5117 2007.11. 4.해날. 맑은 날 옥영경 2007-11-13 1246
5116 2006.12.25.달날. 맑음 옥영경 2006-12-26 1246
5115 2006.11.27. -12. 3.달-해날 / 낙엽방학, 그리고 입양 계획 옥영경 2006-12-05 1246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