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 6.21.흙날. 비

조회 수 1367 추천 수 0 2008.07.06 17:14:00

2008. 6.21.흙날. 비


장관입니다.
저 작은 꽃들도 모아 놓으니 그러합니다.
퍼레이드가 따로 없지요.
바위취 이야기입니다.
운동장 가 돌계단에 사람 대신 더러 더러 앉았기 몇 해,
이제 아주 저들이 빼곡이 다 앉았습니다.
그리고 일제히 꽃을 피워냈지요.
다섯 장의 꽃잎 중 밑에 있는 아주 길고 큰 두 장은
봐도 봐도 신비스러움을 자아냅니다.
때로는 혹부리 영감은 두 쪽 혹 같기도 하고
지팡이 같기도 하며
유치환의 깃발 같은 느낌을 주기도 하답니다.
그 작은 꽃잎들이 불러일으키는 감흥이
이리 여러 가지라니까요.
여름날에 아이들은 그 잎을 찧어
모기에 물린 팔다리에 열심히 문지르지요.

흙집을 짓는 제비골 양석님도 하룻밤을 묵어가셨고
황토샘이 흙집 짓는 이들 모임에 다니러 갔으며
종대샘은 청도 한옥 일터에 급히 달려갔습니다.
저는 옥천에서 하는 수화통역반 특강을 갔다가
농아인교회의 목사님이 ‘뿌리 깊은 나무’라는 강가 까페에 초대해 주어
좋은 구경도 하고 돌아왔네요.
저녁답엔 한남대 사회복지학과 대학원 사람들이 잠시 다녀가기도 했습니다.
대구에서 한 사회학대회에 다녀오느라
기락샘이 이번 주에도 대해리에 들었지요.

학교를 지키던 하다랑 젊은 할아버지는
올해부터 굵게 매달린 교무실 뒤란의 앵두를
잠깐 비 그친 틈에 다 따냈습니다.
“하다가 다 했어요.”
하다가 장대를 들고 와 가지를 내려주어
벌레들을 위해 남긴 몇 알만 빼고
다 따낼 수 있었다지요.
이것도 낼 효소로 담그려구요.
앵두는 한 주 만에 걸러서 다시 봉한다고도 하는데,
그냥 매실처럼 석 달 뒤 같이 걸러내려 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sort 조회 수
5054 2008. 6.19.나무날. 비 옥영경 2008-07-06 1252
5053 2008. 6.20.쇠날. 비 옥영경 2008-07-06 1234
» 2008. 6.21.흙날. 비 옥영경 2008-07-06 1367
5051 2008. 6.22.해날. 비 잠시 개다 옥영경 2008-07-06 1574
5050 2008. 6.23.달날. 잠깐 볕 옥영경 2008-07-11 1120
5049 2008. 6.24.불날. 볕 쨍쨍 옥영경 2008-07-11 1181
5048 2008. 6.25.물날. 맑음 옥영경 2008-07-11 1212
5047 2008. 6.26.나무날. 맑음 옥영경 2008-07-11 1456
5046 2008. 6. 27.쇠날. 맑음 옥영경 2008-07-11 1218
5045 2008. 6.28.흙날. 비, 억수비 옥영경 2008-07-11 1297
5044 2008. 6.29.해날. 가랑비 뒤 옥영경 2008-07-11 1487
5043 2008. 6.30.달날. 맑음 옥영경 2008-07-21 1136
5042 2008. 7. 1.불날. 흐림 옥영경 2008-07-21 1095
5041 2008. 7. 2.물날. 갬 옥영경 2008-07-21 1319
5040 2008. 7. 3. 나무날. 아침비 옥영경 2008-07-21 1291
5039 2008. 7. 4.쇠날. 맑음, 무지 더울세 옥영경 2008-07-21 1242
5038 2008. 7. 5.흙날. 폭염주의보 옥영경 2008-07-21 1166
5037 2008. 7. 6.해날. 맑음 옥영경 2008-07-21 1372
5036 2008. 7. 7.달날. 맑음 옥영경 2008-07-24 1122
5035 2008. 7. 8.불날. 맑음 옥영경 2008-07-24 1214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