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 7. 3. 나무날. 아침비

조회 수 1287 추천 수 0 2008.07.21 18:13:00

2008. 7. 3. 나무날. 아침비


땅에 묻어둔 김장김치를 아직 들여다보지도 못하고
그만 7월이 되었습니다.
쉬기 전에 얼려두어야 올 김장을 할 때까지 잘 먹을 텐데,
나중에는 애들 오길 기다렸지요,
같이 할라고.
쉬면 쉰대로 좋은 반찬거리가 되는 게 또 김치이지요.
예년에 견주어 턱없다 해도 150포기를 했더랬는데,
그것도 역시 상주하는 이들이 많지 않으니
절반이나 겨우 먹었나요.
아이들과 묵은지를 꺼내고
다시 몇 포기씩 묶어 냉동실에 넣습니다.
한 항아리는 묻어둔 부엌 곁 항아리로 옮겨
쟁여 넣습니다.
한 해 더 묵혀 보려구요.
별미가 될 겝니다.

아이들의 ‘보글보글’시간이 이어집니다.
저들이 김치볶음밥으로 점심을 준비해준다 하였습니다.
오후에는 읍내 나갔지요.
국선도 도장에 갔습니다.
오랜 기간 수련으로 잘 닦여진 곳에서 해보는 전통수련은
더욱 새로울 테지요.
“가서 하면 이상하게 더 잘돼요.”
그래서 다시 가게 된 그곳이랍니다.

돌아오는 길엔 외식을 합니다.
물꼬 식구들이 아주 가끔 나들이를 하는 곳이기도 한데
지난 ‘대해리 봄날’에선 하필 정기휴일이라 가지 못했던 곳이지요.
아이들은 읍내에서 황간으로,
식구들은 대해리에서 그곳으로 와서 모였더랍니다.

목수샘과 황토샘은 익산에 다녀왔습니다.
자작나무숲님이 나눠주시는 매트리스를 가지고 왔지요.
며칠 전 양양의 구들연구소 무운샘이 알려주신 소식이었댔습니다.
바닥 난방이 되지 않는 고래방에 잘 쓰일 것입니다.
쌓아두니 답답은 합니다만
겨울 한 때를 위해서라면 또 그리 불편할 일도 아니겠습니다.
유리아저씨가 와서 비어있던 창을 다 끼웠고,
흙집 자원봉사자로 춘천에서 진접샘이 오셨습니다.
얼마쯤을 머물며 손을 보탤 참이시랍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1214 2006.11.14.불날. 큰 바람 옥영경 2006-11-20 1287
1213 2007. 6.20.물날. 맑음 옥영경 2007-06-28 1287
1212 2008.10.19.해날. 가라앉아가는 하늘 옥영경 2008-10-28 1287
1211 2009. 1. 3.흙날. 맑음 / 129 계자 미리모임 옥영경 2009-01-09 1287
1210 10월 10일, 가을소풍 옥영경 2004-10-14 1288
1209 2006.12. 4.달날. 맑음 옥영경 2006-12-07 1288
1208 2007.10.30.불날. 맑음 옥영경 2007-11-09 1288
» 2008. 7. 3. 나무날. 아침비 옥영경 2008-07-21 1287
1206 2008. 7.21.달날. 갬 옥영경 2008-07-30 1288
1205 2월 빈들 닫는 날, 2009. 2.22.해날. 눈 옥영경 2009-03-07 1288
1204 2009. 3.15.해날. 맑음 옥영경 2009-03-28 1288
1203 2012. 4.11.물날. 비 옥영경 2012-04-17 1288
1202 9월 25일 흙날 맑되 어스름에는 흐려진 옥영경 2004-09-28 1289
1201 7월 27일 물날 꺾이지 않는 더위 옥영경 2005-08-01 1289
1200 2007. 4. 2.달날. 옅어진 황사 옥영경 2007-04-16 1289
1199 2008. 4.25.쇠날. 맑음 옥영경 2008-05-11 1289
1198 [바르셀로나 통신 4] 2018. 3.19.달날. 잔비 내리는 밤 옥영경 2018-03-20 1289
1197 12월 22일 물날 흐림 옥영경 2005-01-02 1290
1196 2006.11.25-26.흙-해날 / ‘찾아가는 하우스예술파티’ 워크샵 옥영경 2006-12-05 1290
1195 2009. 1.29.나무날. 흐림 옥영경 2009-02-06 1290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