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 8.21.나무날. 종일 비

조회 수 1295 추천 수 0 2008.09.13 23:54:00

2008. 8.21.나무날. 종일 비무날. 종일 비


서울 다녀왔습니다, 오전에 나갔다가 늦은 밤.
한 해 한 차례는 교육연수를 다녀오면 좋겠다 늘 생각하지요.
단 하루일지라도 다른 공간에서 다른 이들과 만나며 받는 자극들이
산골에서 혹 고여 있기 쉬운 우리를 잘 또 바라볼 수 있게 하지 않겠는지요.
하지만 갈 짬이 나긴 나려나 머뭇거리는 속에
그만 여름 계자 끝나도록 결정을 못하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학교 메일로 오는 비영리단체를 위한 교육안내들 가운데
하나 눈에 든 게 있었지요,
사실 날짜가 젤 마음에 들었지만.
겨우 2시간을 위해 거기까지 가는 길이 너무 멀구나 싶었지만
또 뭘 기대할 수 있을까 회의적이기도 했지만,
하지도 않은 일을 미리 너무 단정할 것은 아니겠다 싶데요.
더구나 ‘갈등’을 다루는 주제가 참 좋았습니다.
꼭 무슨 조직이 아니더라도 우리 사는 일이 늘 갈등 안에 놓이게 되니까요.
서로 얽혀있고 화가 나고
잘잘못을 따지고 일에 문제를 일으켜 손해를 보게 하는 ‘갈등’이란 걸
힘과 권력으로 해결하지 않고 어떻게 건설적인 것으로 전환시키며 해결할까,
그런 지혜를 나누는 거라 하니
퍽 쓸모 있는 연수겠구나 싶었습니다.

그런데 아는 게 많다는 게 꼭 잘 전달한다는 뜻은 아니지요.
아는 것과 가르치는 게 다른 문제란 걸 우린 잘 압니다.
무슨 짱짱한 이력이
꼭 그 분야에서의 전문성을 정말, 꼭, 대변하는 것도 아니지요.
학문적으로 어떤 업적이 될지는 모르지만
삶의 영역은 때로 전혀 이질적인 어떤 것이기도 하지 않던가요.
아쉬움이 많은 연수였습니다.
어차피 개론을 찾아 온 사람들은 아니었을 것인데
애초 2시간에 그 주제를 다루겠다는 발상에 문제가 있었겠다 싶었습니다.

그러나, 분명 또 긍정성이 있었지요.
물론 강의 내용이란 게 이미 다 아는 얘기들이었지요.
하지만 몰라서 우리가 못하나요?
새롭게 다시 보고, 알았으되 한편 모르는 걸 발견하는 게 또 연수 아니던가요.
갈등의 문제를 개인성향적문제로 보아서는 안 된다(결국 구조의 문제로),
결국 자신의 내부의 갈등,
그러니까 내가 어떤 사람인가를 아는 게 갈등을 푸는데 도움이 된다,
객관적으로 보면 90%는 해결된 거다,
“너는 불공정한 사람이야.”가 아니라
“네가 한 그 문제가 불공정했어.”라고 분명히 해야 한다,
새로운 것인지 이전의 상처인지 명확하게 알아야 한다,
나와 다름도 단체를 위해 필요하다는 교육이 돼야 한다, ...
맞아요, 어디 모르는 얘기인가요.
내가 잠시 짬을 내 이 주제를 한 번 생각해보는 계기가 되는구나,
그러니까 귀한 시간이 됩디다.

사람들의 기대치가 커서 그랬던지,
아니면 주제가 잘 흡수되지 못해서 그랬던지
것도 아니면 강사가 너무 욕심이 많아 주제를 잘 다루지 못했던지
적잖이 실망스런 빛들이 있었고
시간이 끝나기도 전에 자리에서 일어나 나가는 이들도 있었지요.
뭐 그거야 시간 사정이 그럴 수도 있었겠다 아주 이해 못할 것도 아니었지만
날마다 듣는 수업도 아니고 특정 주제로 어렵게들 낸 시간일 텐데,
그런데 같이 앉아있던 사람들이 강의 중간에도 휴대폰을 받고 있는가 하면
(그럴 때의 낮은 목소리는 얼마나 크게 들리는지요),
듣는 자가 갖춰야할 최소한의 예의가 되어있지 않아 그게 더 걸렸습니다.
큰 강의실의 맨 가운데 줄에 나란히 앉은,
같은 종교단체에서 왔음직하게 보였던 세 사람의,
나이도 적지 않은 두 분과 좀은 젊었던 친구가,
가서 뒤통수 한 대 때려주고 싶을 만치 거슬렸습니다.
하기야 것도 자기 몫일 테지요...

밖에서 경복궁을 들린 기락샘과 류옥하다를 만나
기락샘 지내는 오피스텔에 들러 밥 한 끼 해먹고
아이랑 다시 기차를 타고 내려왔습니다.
아이랑 타고 오는 밤기차는 참 좋았습니다.
엄마 곤하다고 자기는 의자 앞에 내려앉아 책을 보고
두 의자에 옆으로 앉아 다리를 쭈욱 뻗고 자게 해주었습니다.
배려 받는 일은 기분 좋지요.
스스로를 더욱 귀하게 합니다.
내가 대접받기를 바라는 대로 타인에게도 그러라던가요.
배려가 그 대표적 예이겠습니다.
아이로부터 배웁니다.
마음을 내는 법, 참는 법, 배려하는 법.
아이 덕분에 곤하기가 준(줄어든)서울행이 되었지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1694 2014. 9.16.불날. 맑음 옥영경 2014-10-15 671
1693 2013.10.15.불날. 흐리고 비 좀 옥영경 2013-11-06 671
1692 2015. 8.25.불날. 비 옥영경 2015-09-16 670
1691 2015. 4.23.나무날. 맑음 옥영경 2015-05-30 670
1690 2015. 4. 5.해날. 부슬비 옥영경 2015-04-29 670
1689 2014.10.18.흙날. 흐림 옥영경 2014-10-31 670
1688 2015. 5.11.달날. 흐릿한 하늘, 저녁, 먼 태풍, 그리고 비 옥영경 2015-06-25 669
1687 2014. 5. 9.쇠날. 맑음 옥영경 2014-05-31 669
1686 2014. 5. 6.불날. 맑음 옥영경 2014-05-31 669
1685 2015. 9.10.나무날. 흐림 옥영경 2015-10-07 668
1684 165 계자 닫는 날, 2020. 1. 17.쇠날. 맑음 옥영경 2020-01-28 667
1683 2023.10.21(흙날) ~ 22(해날). 흐리다 맑음 / 10월 집중수행 옥영경 2023-10-30 666
1682 169계자 사흗날, 2022. 1.11.불날. 눈발 흩날리는 아침 / 우리도 저런 시절이 있었다 [1] 옥영경 2022-01-15 665
1681 2019. 5.16.나무날. 맑음 / 버들치 마을 옥영경 2019-07-19 665
1680 2015. 6.22.달날. 밤 비 옥영경 2015-07-23 665
1679 2014.12.20.흙날. 맑음 옥영경 2014-12-31 664
1678 2019. 7. 1.달날. 아주 잠깐 빗방울 두엇 / 풀매기 원정 옥영경 2019-08-14 663
1677 2015. 9.17.나무날. 맑음 옥영경 2015-10-16 663
1676 169계자 닷샛날, 2022. 1.13.나무날. 눈 내린 아침, 그리고 볕 좋은 오후 / ‘재밌게 어려웠다’, 손님들의 나라 [1] 옥영경 2022-01-15 662
1675 2015. 5.23.흙날. 맑음 옥영경 2015-07-06 662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