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 9.19.쇠날. 맑음

조회 수 1108 추천 수 0 2008.10.04 12:52:00

2008. 9.19.쇠날. 맑음


한국토지공사 사보에서 이명철님과 정라희님이 찾아오셨습니다.
계간지 여름호를 준비하면서도 연락을 해오셨더랬고,
가을호를 만들면서 다시 전화왔더랬지요.
영상매체는 한 차례만, 종이매체는 두 차례만,
한 해에 그렇게만 언론을 만나자는 내부원칙이 있다며
꽃피는 봄날에 뵙자 했고
대신에 다른 공동체 하나를 소개해 드렸는데,
그게 또 여의치 않아 이러저러 오게 되었지요.
어차피 기사야 알려진 재료들로 쓰면 되잖을까 싶었고
좋은 곳에서 오후 한 때를 보내고 가십사한 것입니다,
사진도 찍고.

지난 초여름에 담아둔 매실과 앵두효소를 걸러 내렸습니다.
겨울 계자에 아이들이 먹을 맛난 음료수가 될 것이지요.
몇 해 묵힌 것은 묵힌 대로의 농익은 맛이 있고
이렇게 그 해 거른 건 그것대로 상큼한 맛이 있데요.
다음은 포도알을 으깨 술을 담았습니다.
그리 많은 양은 아니지만
겨울 한 철 요긴한 먹을거리 하나 될 것입니다.
고추 따고 파 뽑아 부침개도 부쳐 먹습니다.
손님 둘도 메모해가며 하는 취재가 아니라
자연스레 머물러온 방문자들마냥 자연스레 잘 녹아져있었지요.
그리고는 달골로 호두를 따러 식구들이 다 올라갔습니다.
호두나무를 통해 보는 하늘은 맨 하늘과 또 다르고
대해리 골짝에 걸린 가을은 세상의 여느 곳과는 또 다른 계절입니다.
참 좋은 이곳입니다.

저녁 버스를 타고 손님들도 돌아가고,
기락샘도 서울 가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1714 2016. 3.14.달날. 맑음 옥영경 2016-03-31 659
1713 2015. 6.21.해날. 소나기 한 줄기 옥영경 2015-07-23 659
1712 2015. 6. 2.불날. 맑음 옥영경 2015-07-08 659
1711 2015. 4.16.나무날. 거친 모래 바람 옥영경 2015-05-13 659
1710 2014.10.12.해날. 맑음 옥영경 2014-10-31 659
1709 2014. 2. 7.쇠날. 흐리다 저녁부터 눈 옥영경 2014-02-28 659
1708 2019. 5.21.불날. 맑음 옥영경 2019-07-24 658
1707 2015. 4.23.나무날. 맑음 옥영경 2015-05-30 658
1706 2015. 4. 5.해날. 부슬비 옥영경 2015-04-29 658
1705 2014. 1.25.흙날. 비 옥영경 2014-02-18 658
1704 2015. 2. 7~8.흙~해날. 맑음, 이튿날 바람 몹시 거셌던 옥영경 2015-03-10 657
1703 2014. 5. 6.불날. 맑음 옥영경 2014-05-31 656
1702 169계자 사흗날, 2022. 1.11.불날. 눈발 흩날리는 아침 / 우리도 저런 시절이 있었다 [1] 옥영경 2022-01-15 654
1701 2015. 9.17.나무날. 맑음 옥영경 2015-10-16 654
1700 2015. 9.10.나무날. 흐림 옥영경 2015-10-07 654
1699 2015. 5.11.달날. 흐릿한 하늘, 저녁, 먼 태풍, 그리고 비 옥영경 2015-06-25 654
1698 2014. 9.15.달날. 맑음 옥영경 2014-10-15 654
1697 2014. 9.16.불날. 맑음 옥영경 2014-10-15 654
1696 2017.11. 6.달날. 맑음 옥영경 2018-01-06 653
1695 2014.12.20.흙날. 맑음 옥영경 2014-12-31 652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