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 9.22.달날. 맑음

조회 수 1195 추천 수 0 2008.10.04 12:53:00

2008. 9.22.달날. 맑음


고구마밭을 갈아엎었습니다.
풀 무성했더랬지요.
밭이랑을 만들고
모종포드에 있던 배추 170포기 가운데 절반을 옮겨 심었습니다.
무밭도 들여다보았지요.
제법 올랐습니다.
그런데 두어 포기씩 쓰러져있습니다.
아무래도 수상합니다.
혹시 하여 땅을 파보았지요.
아니나 다를까 거기 벌레들 들었습니다.
그것들이 뿌리를 갉아먹었던 거지요.
어떤 약을 만들어볼까 궁리해봅니다.

낼부터 한 대학의 축제입니다.
마침 학술제의 부스 하나를 쓰게 되었지요.
거기서 ‘한반도의 화해와 평화를 위한 백만인 서명운동’을 하려합니다.
저녁답에 가서 자리를 확인하고
대충 어떻게 꾸릴까 그림을 그려보았지요.
그리고 돌아오는 길이었습니다.
어둑해오는데, 아이가 책을 들여다보고 있었습니다.
“얘야, 자네 눈 나빠지겄다.”
“엄마, 얘기 했잖아요.
어두운 데서 책을 보는 게 꼭 시력을 저하시키는 게 아니라니까요.
그런 연구결과가 있어요.”
“그렇지만 적당한 조명이 눈을 보호한다는 여러 이론들도 있잖아.”
“엄마, ‘大’ 반대편이 꼭 ‘小’는 아니야.
'中'일 수도 있고 '太'일 수도 있고.”
“태?”
“클 태! 몰라요?”
그러니까 눈을 보호한다는 것의 ‘반대’가
눈을 나쁘게 한다는 건 아니라는 거지요.
과학적인 근거는 모르겠지만 일면 맞는 말이기도 하겠습니다.
‘이게 그렇다’는 것의 반대편이 꼭 ‘그게 그렇지 않다’는 말은 아니지요.
아이가 오늘 가르쳐주었답니다.
말이 좀 어려웠나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4754 2006.12. 6.물날. 흐릿 옥영경 2006-12-11 1191
4753 2012 겨울 청소년계자 여는 날, 2012.12.22.흙날. 갬 옥영경 2012-12-28 1190
4752 2012. 2.13.달날. 눈 내리다 흐림 옥영경 2012-02-24 1190
4751 144 계자(봄 몽당계자) 닫는 날, 2011. 4.24.해날. 비 두어 방울 옥영경 2011-05-05 1190
4750 2011. 1.24.달날. 눈 나리는 아침 옥영경 2011-02-05 1190
4749 2009. 1.30.쇠날. 비 옥영경 2009-02-06 1190
4748 2006. 9.23.흙날. 높은 하늘 옥영경 2006-09-26 1190
4747 2008.12.13.흙날. 겨울황사 옥영경 2008-12-26 1189
4746 2009. 3. 5.나무날. 비 / 경칩 옥영경 2009-03-17 1188
4745 2010. 2. 8.달날. 비에 젖다 옥영경 2010-02-22 1187
4744 2007.10. 1.달날. 먹구름 지나다 옥영경 2007-10-13 1187
4743 2016 여름, 162 계자(8.7~12) 갈무리글 옥영경 2016-08-19 1186
4742 147 계자 나흗날, 2011. 8.17.물날. 빗방울 몇 옥영경 2011-09-05 1185
4741 2012. 4.22.해날. 갬 옥영경 2012-04-30 1184
4740 2008. 3. 4.불날. 흐려지는 하늘 옥영경 2008-03-23 1183
4739 2006.4.17.달날. 맑음 옥영경 2006-04-21 1183
4738 2006.1.27.쇠날. 맑음 옥영경 2006-01-31 1183
4737 2008. 9.28.해날. 맑음 옥영경 2008-10-10 1182
4736 2009. 2.24.불날. 시원찮게 맑은 옥영경 2009-03-11 1181
4735 2007. 1.30.불날. 거친 저녁 바람 / 왜냐하면... 옥영경 2007-02-03 1181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