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 9.22.달날. 맑음

조회 수 1193 추천 수 0 2008.10.04 12:53:00

2008. 9.22.달날. 맑음


고구마밭을 갈아엎었습니다.
풀 무성했더랬지요.
밭이랑을 만들고
모종포드에 있던 배추 170포기 가운데 절반을 옮겨 심었습니다.
무밭도 들여다보았지요.
제법 올랐습니다.
그런데 두어 포기씩 쓰러져있습니다.
아무래도 수상합니다.
혹시 하여 땅을 파보았지요.
아니나 다를까 거기 벌레들 들었습니다.
그것들이 뿌리를 갉아먹었던 거지요.
어떤 약을 만들어볼까 궁리해봅니다.

낼부터 한 대학의 축제입니다.
마침 학술제의 부스 하나를 쓰게 되었지요.
거기서 ‘한반도의 화해와 평화를 위한 백만인 서명운동’을 하려합니다.
저녁답에 가서 자리를 확인하고
대충 어떻게 꾸릴까 그림을 그려보았지요.
그리고 돌아오는 길이었습니다.
어둑해오는데, 아이가 책을 들여다보고 있었습니다.
“얘야, 자네 눈 나빠지겄다.”
“엄마, 얘기 했잖아요.
어두운 데서 책을 보는 게 꼭 시력을 저하시키는 게 아니라니까요.
그런 연구결과가 있어요.”
“그렇지만 적당한 조명이 눈을 보호한다는 여러 이론들도 있잖아.”
“엄마, ‘大’ 반대편이 꼭 ‘小’는 아니야.
'中'일 수도 있고 '太'일 수도 있고.”
“태?”
“클 태! 몰라요?”
그러니까 눈을 보호한다는 것의 ‘반대’가
눈을 나쁘게 한다는 건 아니라는 거지요.
과학적인 근거는 모르겠지만 일면 맞는 말이기도 하겠습니다.
‘이게 그렇다’는 것의 반대편이 꼭 ‘그게 그렇지 않다’는 말은 아니지요.
아이가 오늘 가르쳐주었답니다.
말이 좀 어려웠나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1714 2014. 4. 4.쇠날. 맑음 옥영경 2014-04-26 663
1713 2014.10.18.흙날. 흐림 옥영경 2014-10-31 662
1712 2014. 8.20.물날. 나흘째 비 옥영경 2014-09-20 662
1711 2015. 9.20.해날. 시원하게 맑지는 않으나 옥영경 2015-10-16 661
1710 2015. 4.23.나무날. 맑음 옥영경 2015-05-30 661
1709 2015. 4.16.나무날. 거친 모래 바람 옥영경 2015-05-13 661
1708 2014.10.12.해날. 맑음 옥영경 2014-10-31 661
1707 2014. 5. 6.불날. 맑음 옥영경 2014-05-31 661
1706 2015. 4. 5.해날. 부슬비 옥영경 2015-04-29 660
1705 2014. 2. 7.쇠날. 흐리다 저녁부터 눈 옥영경 2014-02-28 660
1704 164 계자 닷샛날, 2019. 8. 8.나무날. 소나기 / 민주지산(1,242m) 산오름 옥영경 2019-09-10 658
1703 2017.11. 6.달날. 맑음 옥영경 2018-01-06 658
1702 2015. 9.10.나무날. 흐림 옥영경 2015-10-07 658
1701 2015. 5.11.달날. 흐릿한 하늘, 저녁, 먼 태풍, 그리고 비 옥영경 2015-06-25 658
1700 2015. 2. 7~8.흙~해날. 맑음, 이튿날 바람 몹시 거셌던 옥영경 2015-03-10 658
1699 2014. 1.25.흙날. 비 옥영경 2014-02-18 658
1698 172계자 이튿날, 2023. 8. 7.달날. 맑음 옥영경 2023-08-09 657
1697 2015. 9.17.나무날. 맑음 옥영경 2015-10-16 657
1696 2019. 9. 9.달날. 비 추적이는 밤 / 향낭 옥영경 2019-10-23 656
1695 2014. 9.15.달날. 맑음 옥영경 2014-10-15 656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