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 9.27.흙날. 맑음 / 한살림 강연

조회 수 1419 추천 수 0 2008.10.10 18:01:00

2008. 9.27.흙날. 맑음 / 한살림 강연


서울 장충동의 한살림 교육장에서 강연이 있었습니다.
50여 명 한살림 조합원 교사들이
무려 네 시간 반 동안이나 함께 달린 시간이었지요.
오래전엔 슬라이드를 준비하기도 했고
요새는 더러 파워보인트로 강의를 하기도 했는데,
미리 이번 강연에선 어떤 시각매체도 쓰지 않겠다 했습니다,
강의록도 따로 내지 않는다 했고.
“사례중심이 될 거라...”
현장 워크샵처럼 진행하겠다 했지요.
그래서 걱정들이었다나요,
‘아니, 네 시간을 말로 혼자’ 끌고 가겠다고 해서 말입니다.
“자기 사는 얘기가 제일 쉽지요,
그걸 또 젤 잘할 수 있구요.”
물꼬 사는 이야기이고 아이들 얘기이고
그리고 십오 년은 족히 되는 계자이야기이니 무에 어려울라구요.
끝나고 참을 먹는 자리에서들 그러셨습니다.
“하루 종일도 하시겠데요.”
그러게 말입니다.
어디 하룻밤만 하겠는지요.
그런데 얘기하는 제가 아니라
듣는 그들이 정말 대단했습니다.
어찌나 귀기울이시던지요.
그게 또 한살림의 힘이겠다 싶습디다.
생명학교를 십여 년 꾸려오며 했던 시간들을 놓고
(교사와 학생 사이, 교사와 교사 사이, 학생과 학생 사이, 프로그램,...)
치열하게 고민하고 길을 함께 찾았지요.
고마운 시간이었습니다.

참, 그런데 한살림 안에 있는 연구소에서
한 선배의 이름자를 보았습니다.
제 나이 스물 무렵 시민단체에서 같이 공부했던 선배고
오래 곁을 지켜주기도 했던,
그리고 지금은 같은 길을 걷는 선배쯤 되려나요.
더러 소식을 모르지야 않았지만 거기가 거긴 줄은 몰랐던 게지요.
“그렇잖아도 선생님 오신다는 말씀 듣고는 반갑다시며...”
마침 괴산으로 농활을 가서 보지는 못했는데,
그찮아도 안부를 남겨주었다 합니다.
공해추방운동연합시절부터 환경연 일을 했고
공동체운동센터에서도 일하다 지금은 거기 있는 거죠.
다 끼리끼리란 생각이 새삼 들었네요.
젊은 날을 거리에서 보냈던 마흔대의 나이들이
이제 다들 자기 자리들을 찾아 이리 뿌리내려가고 있답니다.

강연이 끝나고 제자들을 만났습니다.
시간 맞춰 기다리고 있던 영수랑 승윤이가 먼저 얼굴을 비쳤지요.
서울에서 몇 해를 같이 공부했던 친구들입니다.
‘솔개’모둠, ‘겨울은 지나가고’모둠.
글쓰기를 하고 논술을 하던 모둠들이랍니다.
대웅 영수 승윤 민수 보배는
학교 선생이 되어있거나 아직 대학에 남아있거나 연구원이 되거나
스물 예닐곱의 나이들이 되어있었습니다.
송희는 주말이면 하는 일이라 양평으로 가 있고
세온이는 멀리 거제도에 있는 병원에서 인턴과정에 있다지요.
동대 앞에서 같이 밥 먹고
주점으로 옮겼습니다.
이제 커서 같이 술집도 들어가게 되데요.
보배는 중학교 수학교사 3년차였고
대웅이는 막 현장으로 갔습니다.
알까요, 그가 내민 공무원증을 보며 울컥 했단 걸?
제가 키운 것도 아닌데, 어찌나 고맙던지요.
그예 교사가 되었더라구요.
달포 전이던가 통화했던 날 제대했다 하였으니
막 2학년 담임이 된 신출내기인 거지요.

우리는 모둠활동을 하던 때처럼
북한 아사문제를 다루게 되었습니다.
생각이야 제각각이었지요,
저는 그 다양함이 좋았습니다.
서로 적당히 옛날의 즐거운 날을 추억하고 곱씹는 것만 아니라
지금 우리를 둘러싼 현실을 논할 수 있어 기뻤지요.
동창회같은 모임을 썩 내켜하지 않는 것도
그저 좋은 옛기억을 우리고 또 우리며
불편할 수 있는 현실의 문제는 적당히 피해가는,
그 과거 회귀가 달갑지 않은 까닭이었습니다.
그런데 우리는 첨예할 수 있는 문제들을 잘 다루고 있었지요.
관건은 우리가 서로 얼마나 잘 수용할 수 있느냐 하는 것 아니겠는지요.
서로 열심히 생각을 끄집어내고, 그리고 나누는 것,
퍽 귀한 일입니다.
(왜냐하면 사람들은 생각이 다르면 언성을 높이거나,
아니면 피해 가기 일쑤니까요.)
그러다가 서로가 어떤 변화들을 겪을 수도 있겠지요.
아름다운 아이들이었고,
여전히 아름다운 청년이었답니다.
잘들 컸데요, 고맙습디다, 자랑스럽고.
이제 우리들은 대성리 갈 일 쉬 없을 겝니다, 이곳이 있으니.
중고등학생이던 녀석들이랑
해마다 2월이면 대성리로 모꼬지로 갔더랬지요,
해를 어찌 살았나 돌아보고 어찌 살까,
날밤을 새웠더랬지요.

“선생님 빨간 내복 사드려야 되는데...”
대웅이는 첫 월급을 꼭 그리 쓰고 싶었다며 술값을 냈고
아이들은 저마다 추렴을 해서 대접을 해주었더랬지요.
컸다고 저들이 저를 멕이고 태우고 그럽디다.
“올해 안에는 다 모여서 내려갈게요.”
“그래, 그래, 서로 손 붙잡고 오고...”
그러다 여자 남자 잡고 오고,
어느 날 아이 손을 잡고 오고...
오래 그리 보고 싶습니다.
이 골짝을 잘 지켜야겠다 싶었지요.
“건강해라, 그리고 유쾌하게 살고.
두루 안부 전해다고, 아, 어머님께도.
그리고 함께 하지 못했던 송희와 세온이랑도.”

아이들이, 고맙습니다, 참 고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6534 자유학교 물꼬 2004학년도 입학 절차 2차 과정 - 가족 들살이 신상범 2004-02-10 2072
6533 2월 9-10일 옥영경 2004-02-12 2071
6532 3월 15일주, 꽃밭 단장 옥영경 2004-03-24 2069
6531 126 계자 나흗날, 2008. 8. 6.물날. 맑음 옥영경 2008-08-24 2067
6530 계자 네쨋날 1월 8일 옥영경 2004-01-09 2064
6529 3월 30일, 꽃상여 나가던 날 옥영경 2004-04-03 2063
6528 돌탑 오르기 시작하다, 3월 22일 달날부터 옥영경 2004-03-24 2063
6527 97 계자 첫날, 8월 9일 달날 옥영경 2004-08-11 2062
6526 작은누리, 모래실배움터; 3월 10-11일 옥영경 2004-03-14 2062
6525 125 계자 닫는 날, 2008. 8. 1.쇠날. 맑음 옥영경 2008-08-10 2061
6524 6월 2일 나무날 여우비 오락가락 옥영경 2005-06-04 2061
6523 5월 4일, KBS 2TV 현장르포 제3지대 옥영경 2004-05-07 2061
6522 3월 8일 불날 맑음, 굴참나무 숲에서 온다는 아이들 옥영경 2005-03-10 2060
6521 4월 1일 연극 강연 가다 옥영경 2004-04-03 2050
6520 99 계자 이틀째, 10월 30일 흙날 맑음 옥영경 2004-10-31 2047
6519 111계자 이틀째, 2006.8.1.불날. 계속 솟는 기온 옥영경 2006-08-02 2046
6518 98 계자 이틀째, 8월 17일 불날 비 오락가락 옥영경 2004-08-18 2045
6517 128 계자 닫는 날, 2009. 1. 2.쇠날. 맑음. 맑음 / 아이들 갈무리글 옥영경 2009-01-08 2035
6516 시카고에서 여쭙는 안부 옥영경 2007-07-19 2035
6515 마지막 합격자 발표 2월 20일 쇠날 옥영경 2004-02-23 2031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