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11. 2.해날. 꾸물럭

조회 수 1251 추천 수 0 2008.11.14 12:23:00

2008.11. 2.해날. 꾸물럭


오전에도 볏짚을 거두고
오후에도 볏짚을 거두지요.
아이가 그 사이 또 틈을 내어
먹을 갈더니 화선지를 꺼내 펼쳐놓았습니다.
거기 새우를 그려넣대요.
요새 익히고 있는 문인화입니다.
곧잘 그립니다.
글도 씁니다.
공을 어찌나 들이던지요.
저리 하려드는데 늘지 싶데요.

오늘은 교원임용 1차 시험이 있습니다.
올해부터는 3차까지 있다지요.
품앗이 샘들 가운데도 몇이 시험을 봅니다.
특수교육공부를 같이 하는 친구들도
시험장에 갔습니다.
교원 정원을 동결키로 했다는데,
마음들이 퍽 어렵겠습니다.
정년퇴직이나 명예퇴직 등으로 줄어드는 교원만 충원한다는 겁니다.
교원이 증가되지 않는 것은 처음이라나요.
특히 특수교육에 대해서는 마음이 더 무겁습니다.
장애인교육법이 통과는 했지만 그 실질 시행은 쉽지가 않은 거지요.
학생 4명당 특수교사 1명,
그러니까 2008년 기준 특수교사 법정정원이 64.5% 불과하니
최소 5천여 명의 더 필요한데도
정부는 공무원 정원동결 방침에 따라 특수교원도 그리 한답니다.
특수교사 증원 없이는 특수교육기관의 신ㆍ증설이 불가능하고,
학급당 학생 수 감축으로 인한 개별학습이 이뤄질 수 없으며,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전담인력배치가 불가능해진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장애아들도 국민이다.
교육은 국민의 기본권임을 인식하고 기본권을 보장하라.”
관련 단체들이 이리 촉구하고 나섰지만
그 길이 수월해보이지는 않습니다.
장애아들을 교육시켜 뭐하겠느냐,
국가에 필요한 고급두뇌인력자원을 키워 국가경쟁력을 높이겠다,
국제중학교 설립에 들이는 공에 견주면
참 기가 막힐 노릇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1794 2011. 9.21.물날. 맑음 옥영경 2011-10-04 1209
1793 2012. 6. 9.흙날. 갬 옥영경 2012-06-12 1209
1792 2008. 7.20.해날. 비 오락가락 옥영경 2008-07-27 1210
1791 2008.11.20.나무날. 진눈깨비 옥영경 2008-12-06 1210
1790 4월 빈들 이튿날 / 2009. 4.25.흙날. 비 오다가다 옥영경 2009-05-10 1210
1789 133 계자 이튿날, 2009. 8.10.달날. 흐림 옥영경 2009-08-22 1210
1788 2011. 2.12.흙날. 맑으나 바람 찬 옥영경 2011-02-26 1210
1787 2월 빈들 여는 날, 2012. 2.24.쇠날. 흐림 옥영경 2012-03-04 1210
1786 152 계자 닷샛날, 2012. 8. 2.나무날. 흐리다 갠 뒤 소나기, 그리고 휘영청 달 옥영경 2012-08-04 1210
1785 2005.12.1.나무날.흐림 / 포항행 옥영경 2005-12-06 1211
1784 2005.12.26.달날.맑음 / 자리를 털고 옥영경 2005-12-26 1211
1783 2008. 2.14.나무날. 맑음 옥영경 2008-03-07 1211
1782 2011. 4.25.달날. 바람 바람 옥영경 2011-05-07 1211
1781 147 계자 이튿날, 2011. 8.15.달날. 흐림 옥영경 2011-09-01 1211
1780 2012. 2. 6.달날. 맑으나 뚝 떨어지는 기온 옥영경 2012-02-21 1211
1779 2016. 9.21.물날. 가끔 해 / 히터봉 갈다! 옥영경 2016-10-04 1211
1778 [바르셀로나 통신 1] 2018. 1. 7.해날. 비 갠 뒤 메시는 400번째 경기에 출전하고 옥영경 2018-03-12 1211
1777 ’2019 물꼬 연어의 날; Homecoming day’(6.22~23) 갈무리글 옥영경 2019-08-12 1211
1776 2006. 9.27.물날. 볕 좋은 가을 오후 옥영경 2006-09-29 1212
1775 119 계자 나흗날, 2007. 8. 3.물날. 맑음 옥영경 2007-08-07 1212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