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11. 2.해날. 꾸물럭

조회 수 1242 추천 수 0 2008.11.14 12:23:00

2008.11. 2.해날. 꾸물럭


오전에도 볏짚을 거두고
오후에도 볏짚을 거두지요.
아이가 그 사이 또 틈을 내어
먹을 갈더니 화선지를 꺼내 펼쳐놓았습니다.
거기 새우를 그려넣대요.
요새 익히고 있는 문인화입니다.
곧잘 그립니다.
글도 씁니다.
공을 어찌나 들이던지요.
저리 하려드는데 늘지 싶데요.

오늘은 교원임용 1차 시험이 있습니다.
올해부터는 3차까지 있다지요.
품앗이 샘들 가운데도 몇이 시험을 봅니다.
특수교육공부를 같이 하는 친구들도
시험장에 갔습니다.
교원 정원을 동결키로 했다는데,
마음들이 퍽 어렵겠습니다.
정년퇴직이나 명예퇴직 등으로 줄어드는 교원만 충원한다는 겁니다.
교원이 증가되지 않는 것은 처음이라나요.
특히 특수교육에 대해서는 마음이 더 무겁습니다.
장애인교육법이 통과는 했지만 그 실질 시행은 쉽지가 않은 거지요.
학생 4명당 특수교사 1명,
그러니까 2008년 기준 특수교사 법정정원이 64.5% 불과하니
최소 5천여 명의 더 필요한데도
정부는 공무원 정원동결 방침에 따라 특수교원도 그리 한답니다.
특수교사 증원 없이는 특수교육기관의 신ㆍ증설이 불가능하고,
학급당 학생 수 감축으로 인한 개별학습이 이뤄질 수 없으며,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전담인력배치가 불가능해진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장애아들도 국민이다.
교육은 국민의 기본권임을 인식하고 기본권을 보장하라.”
관련 단체들이 이리 촉구하고 나섰지만
그 길이 수월해보이지는 않습니다.
장애아들을 교육시켜 뭐하겠느냐,
국가에 필요한 고급두뇌인력자원을 키워 국가경쟁력을 높이겠다,
국제중학교 설립에 들이는 공에 견주면
참 기가 막힐 노릇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4934 2012. 2.28.불날. 흐린 하늘 옥영경 2012-03-07 1214
4933 2011. 7.29.쇠날. 소나기 옥영경 2011-08-03 1214
4932 143 계자 닷샛날, 2011. 1.13.나무날. 맑음 / 노박산 옥영경 2011-01-18 1214
4931 2009.11.19.나무날. 맑음 / 단식 첫날 옥영경 2009-11-27 1214
4930 2008. 3.21.쇠날. 맑음 옥영경 2008-04-06 1214
4929 2008. 2.11.달날. 흐릿 옥영경 2008-03-05 1214
4928 2007. 9.19. 물날. 갬 옥영경 2007-10-05 1214
4927 2007. 8.30.나무날. 비 옥영경 2007-09-21 1214
4926 2007. 3. 3.흙날. 흐림 옥영경 2007-03-10 1214
4925 2007. 1.14.해날. 맑음 옥영경 2007-01-19 1214
4924 2006.5.4.나무날 / 잡지 '민들레', 정정·반론보도문을 내기로 하다 옥영경 2006-05-11 1214
4923 2005.12.28.물날.맑음 / 할아버지의 봄맞이처럼 옥영경 2005-12-29 1214
4922 2017. 1.16~20.달~쇠날. 눈 내렸고, 맑았고, 몹시 추웠다 옥영경 2017-01-26 1213
4921 2012. 4.26.나무날. 맑으나 태풍 같은 바람 옥영경 2012-04-30 1213
4920 2011.11. 8.불날. 입동, 안개 자욱한 아침 옥영경 2011-11-17 1213
4919 2011. 5.11.물날. 비 오며가며 옥영경 2011-05-23 1213
4918 2008.12. 2.불날. 맑음 옥영경 2008-12-26 1213
4917 2008. 7.12.흙날. 맑음 옥영경 2008-07-24 1213
4916 2008. 6. 27.쇠날. 맑음 옥영경 2008-07-11 1213
4915 2008. 6.15.해날. 맑음 옥영경 2008-07-06 1213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