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11.23.해날. 흐려가는 오후

조회 수 1307 추천 수 0 2008.12.06 16:55:00
2008.11.23.해날. 흐려가는 오후


인삼을 썰어 꿀에 쟀습니다.
지난 번 인삼밭에 가서 일하고 얻어온 인삼입니다.
사실 밥만 축냈다 싶습니다만
그래도 두루기계 좇아다니며
놉들이 놓친 인삼을 열심히 줍기는 하였지요.
선배가 한 자루 챙겨준 것을
농사샘으로 오래 일했던 열택샘 다녀가는 편에 좀 나누고 남겼습니다.
식구들 건강을 도울 것이지요.
미삼은 따로 챙겨 끓여냈습니다.

모과차도 담았습니다.
기침 약재로 그만이라 하였습니다.
향은 또 얼마나 맛난지요.
계자의 겨울 아침 우리 아이들이 마을길을 걸은 뒤 먹기도 할 것입니다.
담홍색 꽃이 곱기도 한 흙담 뒤란의 모과나무이지요.
우리 것은 아니고 앞집에서 자라는 나무인데
주인 할머니는 거들떠도 보지 않는 걸
이제나 저제나 기다려 떨어지기 무섭게 주워오는 것이지요.
모과를 볼 때마다 ‘모과나무 심사(心思)’란 말을 꼭 생각게 됩니다.
심술궂고 성깔이 순순하지 못할 때 그리 일컫지요.
고운 호박꽃만큼이나 억울한 일이다 싶습니다.
생김이 참 다가 아니라는 것을 생각하게 하는 과일이랍니다.

이엉도 엮습니다.
김치오가리 지붕에 쓰일 것이지요.
여유가 되면 상상아지트 지붕에도 얹힐 것입니다.
그리고 주말의 영화(?)를 보았습니다.
<울학교 EㆍT>
좀 신파조이며 가볍긴 했으나
‘교사’를 생각해볼 수 있는 영화이기도 했습니다.
화장실 명언이 젤 오래 남지 싶기도...

A sudden, bold, and unexpected question doth many times surprise a man and lay him open.
- Franeis Bacon
갑작스럽고 예상 못한 질문은 사람을 수도 없이 당황케 만들고,
그 사람의 본질을 보게 만든다.

한 주가 또 이렇게 성큼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
6614 2024. 3.23.흙날. 살짝 비 옥영경 2024-04-10 292
6613 2024. 3.22.쇠날. 흐림 / 오늘도 그대들로 또 산다 옥영경 2024-04-10 299
6612 2024. 3.21.나무날. 맑음 옥영경 2024-04-10 318
6611 2024. 3.20.물날. 맑음 옥영경 2024-04-09 308
6610 2024. 3.19.불날. 진눈깨비 날린 이른 아침 옥영경 2024-04-09 303
6609 2024. 3.18.달날. 맑음 / 그대에게 옥영경 2024-04-09 305
6608 2024. 3.17.해날. 맑음 옥영경 2024-04-09 301
6607 2024. 3.16.흙날. 맑음 옥영경 2024-04-03 383
6606 2024. 3.15.쇠날. 맑음 옥영경 2024-04-02 358
6605 2024. 3.14.나무날. 맑음 옥영경 2024-04-02 350
6604 2024. 3.13.물날. 맑음 옥영경 2024-04-02 302
6603 2024. 3.12.불날. 흐리다 비 옥영경 2024-04-02 315
6602 2024. 3.11.달날. 맑음 옥영경 2024-04-02 297
6601 2024. 3.10.해날. 맑음 옥영경 2024-04-02 315
6600 2024. 3. 9.흙날. 맑음 / 사과 한 알 1만 원 옥영경 2024-03-28 304
6599 2024. 3. 8.쇠날. 오후 구름 걷히다 옥영경 2024-03-28 296
6598 2024. 3. 7.나무날. 맑음 옥영경 2024-03-28 312
6597 2024. 3. 6.물날. 흐림 옥영경 2024-03-28 296
6596 2024. 3. 5.불날. 비 그치다 / 경칩, 그리고 ‘첫걸음 예(禮)’ 옥영경 2024-03-27 311
6595 2024. 2.11.해날 ~ 3. 4.달날 / '물꼬에선 요새'를 쉽니다 옥영경 2024-02-13 599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