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12.18.나무날. 맑음

조회 수 1207 추천 수 0 2008.12.29 03:14:00

2008.12.18.나무날. 맑음


방아를 찧었습니다.
햅쌀로 찧는 두 번째입니다.
정미기가 문제가 생겨
지난 여름 막바지는 면소재지 나가서 찧던 쌀입니다.
그런데 햅쌀 거두고
종대샘이 정미기를 뜯어 이 곳 저 곳 털고 닦고 했더니
잘만 돌아가는 것이었습니다.
“청소가 잘 안돼서...”
물건을 잘 쓰는 법의 첫째는 역시 쓰고 닦아두는 것이겠습니다.

덜커덩 방아나 찧어, 히여
거친 밥이나 찧어, 히여
아버님 어머님께 드리옵고, 히야해
남기시면 내 먹으리, 히야해
(방아노래)

기계로 돌리는 것이긴 하나
내 집에서 하는 방아는
디딜방아 연자방아 같은 느낌이 묻어나는 것만 같습니다.
참새가 지나치지 않는 그 방앗간,
사랑이 일던 바로 그 물레방앗간,
물푸레마을 외딴집 연자방아를 돌리던 그림책도 떠오르고...

방아 방아 물방아야
쿵쿵 찧는 물방아야
네 힘이 장하구나
네 힘이 장하구나

덜덜거리며 껍질을 벗겨내는 정미기 앞에서
기억은 풀풀 어린 날로 넘어갑니다.
반듯하게 누워 다리를 굽히고
정강이에 아이를 앉혀 들었다 놓았다 하며 부르던 노래,
어느 가정이고 그렇게 아이방아찧기를 했을 것입니다.
제 어릴 적도 어르신들이 그러하셨습니다.
그리고 저 역시 그러하였지요.
아이는 기억을 하려나요?
강원도 산골 어드메 아직 디딜방아를 찧는 곳이 있다하였는데
아이랑 길 한 번 떠나지 싶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1814 8월 22일 달날 비 옥영경 2005-09-11 1209
1813 2008. 3.18.불날. 흐려지는 오후 옥영경 2008-04-06 1209
1812 2011. 7. 9.흙날. 대해리도 창대비 옥영경 2011-07-18 1209
1811 131 계자 여는 날, 2009. 7.26.해날. 바짝 마른 날은 아니나 옥영경 2009-07-31 1210
1810 142 계자 사흗날, 2011. 1. 4.불날. 맑음 옥영경 2011-01-09 1210
1809 2011. 4.21.나무날. 맑음 옥영경 2011-05-02 1210
1808 2011. 9.21.물날. 맑음 옥영경 2011-10-04 1210
1807 2011.12.23.쇠날. 맑음, 어제부터 연이어 한파 기승이라는데 옥영경 2011-12-29 1210
1806 152 계자 닷샛날, 2012. 8. 2.나무날. 흐리다 갠 뒤 소나기, 그리고 휘영청 달 옥영경 2012-08-04 1210
1805 2006. 9.30.흙날. 참 좋은 가을날 옥영경 2006-10-02 1211
1804 2007. 2. 4.해날. 맑음 옥영경 2007-02-08 1211
1803 133 계자 이튿날, 2009. 8.10.달날. 흐림 옥영경 2009-08-22 1211
1802 2011. 2.12.흙날. 맑으나 바람 찬 옥영경 2011-02-26 1211
1801 2011. 4.25.달날. 바람 바람 옥영경 2011-05-07 1211
1800 2011.12. 3.흙날. 비 내리다 갬 옥영경 2011-12-16 1211
1799 2012. 6. 9.흙날. 갬 옥영경 2012-06-12 1211
1798 9월 1일 나무날 맑음 옥영경 2005-09-14 1212
1797 2005.12.26.달날.맑음 / 자리를 털고 옥영경 2005-12-26 1212
1796 2006. 9.15.쇠날. 흐림 옥영경 2006-09-20 1212
1795 2008. 6.25.물날. 맑음 옥영경 2008-07-11 1212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