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12.18.나무날. 맑음

조회 수 1231 추천 수 0 2008.12.29 03:14:00

2008.12.18.나무날. 맑음


방아를 찧었습니다.
햅쌀로 찧는 두 번째입니다.
정미기가 문제가 생겨
지난 여름 막바지는 면소재지 나가서 찧던 쌀입니다.
그런데 햅쌀 거두고
종대샘이 정미기를 뜯어 이 곳 저 곳 털고 닦고 했더니
잘만 돌아가는 것이었습니다.
“청소가 잘 안돼서...”
물건을 잘 쓰는 법의 첫째는 역시 쓰고 닦아두는 것이겠습니다.

덜커덩 방아나 찧어, 히여
거친 밥이나 찧어, 히여
아버님 어머님께 드리옵고, 히야해
남기시면 내 먹으리, 히야해
(방아노래)

기계로 돌리는 것이긴 하나
내 집에서 하는 방아는
디딜방아 연자방아 같은 느낌이 묻어나는 것만 같습니다.
참새가 지나치지 않는 그 방앗간,
사랑이 일던 바로 그 물레방앗간,
물푸레마을 외딴집 연자방아를 돌리던 그림책도 떠오르고...

방아 방아 물방아야
쿵쿵 찧는 물방아야
네 힘이 장하구나
네 힘이 장하구나

덜덜거리며 껍질을 벗겨내는 정미기 앞에서
기억은 풀풀 어린 날로 넘어갑니다.
반듯하게 누워 다리를 굽히고
정강이에 아이를 앉혀 들었다 놓았다 하며 부르던 노래,
어느 가정이고 그렇게 아이방아찧기를 했을 것입니다.
제 어릴 적도 어르신들이 그러하셨습니다.
그리고 저 역시 그러하였지요.
아이는 기억을 하려나요?
강원도 산골 어드메 아직 디딜방아를 찧는 곳이 있다하였는데
아이랑 길 한 번 떠나지 싶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sort 조회 수
4458 2010. 2.14.해날. 맑음 옥영경 2010-02-27 947
4457 2010. 2.15.달날. 맑음 옥영경 2010-02-27 994
4456 2010. 2.16.불날. 맑음 옥영경 2010-02-28 907
4455 2010. 2.17.물날. 맑음 옥영경 2010-02-28 809
4454 2010. 2.18.나무날. 맑음 옥영경 2010-02-28 1004
4453 2010. 2.19-21.쇠-해날. 맑음 / 빈들모임 옥영경 2010-02-28 1004
4452 2월 빈들모임 갈무리글 옥영경 2010-02-28 958
4451 2010. 2.22.달날. 맑음 옥영경 2010-03-09 824
4450 2010. 2.23.불날. 맑음 옥영경 2010-03-09 890
4449 2010. 2.24.물날. 흐려지는 오후 옥영경 2010-03-09 877
4448 2010. 2.25.나무날. 비 옥영경 2010-03-16 820
4447 2010. 2.26.쇠날. 잔비 옥영경 2010-03-16 964
4446 2010. 2.27.흙날. 저녁 잔비 / 정월대보름이 낼 옥영경 2010-03-17 940
4445 2010. 2.28.해날. 보름달 오르다 옥영경 2010-03-17 1026
4444 2010. 3. 1.달날. 비, 그리고 안개 옥영경 2010-03-18 1020
4443 2010. 3. 2.불날. 흐림 옥영경 2010-03-21 914
4442 2010. 3. 3.물날. 아침 비 내리다 갬, 그리고 거칠은 바람 옥영경 2010-03-21 920
4441 2010. 3. 4.나무날. 비 옥영경 2010-03-21 899
4440 2010. 3. 5.쇠날. 비 옥영경 2010-03-21 944
4439 2010. 3. 6.흙날. 비 옥영경 2010-03-21 881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