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12.23.불날. 갬

조회 수 1132 추천 수 0 2008.12.29 16:45:00

2008.12.23.불날. 갬


여긴 눈이 오네 마네 하며 하늘만 조금 뿌žR는데
당진이던가는 눈이 제법 내려 길 나서기가 불편했다 합니다.
지역에 계신 어르신들 틈에서 아이는
지난 한 해 붓을 잡았더랬습니다.
오늘 그 곳 어른 몇 분이랑 읍내에서 점심을 먹자 하였는데,
정작 선생님이 움직이시질 못하게 되어 아쉬웠지요.
먹이랑 함께 하는 시간은 산오름 만큼이나
이곳에서 중요하게 여기는 공부입니다.
먹을 갈며 흰 종이 위로 검은 점과 선을 긋는 것이
바깥으로 자주 뛰쳐 내달리는 마음을
안으로 들이는 훌륭한 길이 되기도 합디다.
“먹을 갈고 붓을 들고 있는 동안은
용서와 사랑의 감정이 인다.”
그리 표현하신 분도 계시지요.
먹을 갈면 숨이 가다듬어지지요,
무수한 동그라미를 그리며 마음 호수도 잔잔해지지요.
어른들 틈에서 차를 타고 먹을 갈고 글씨를 쓰면서
아이도 한층 자랐답니다.
손주뻘 아이랑 세상 얘기도 하고
당신들 살아오신 날들도 전하신다 들었습니다.
그렇게 어르신들이 아이를 같이 키워주고 계십니다.

“종대샘, 우리 샤워 같이 해요.”
며칠 동안 남자 식구들은 흙집 목욕탕을 쓰는 일에 재미 붙였습니다.
아이도 저녁이면 어른을 붙들지요.
“젊은 할아버지도 해보세요.”
“물이 어찌나 뜨끈뜨근한 지... 옥샘도 해봐요.
여자 욕실도 개시해야지!”
하여 드디어 써봅니다.
아이들이 오기 전 점검도 해두어야 하고.
도시같이 하지 않겠다고 문 아래 위로 바깥 바람도 잘 오가게 하였는데,
그런 만큼 좀 춥기도 하다 싶었지만
건물이 두꺼운 흙벽인 만큼 바닥 온돌까지 돌면 훈훈하겠데요.
무엇보다 건물의 기운이 참 좋습니다.
훗날 용도를 좀 바꾸어 해우소 칸을 빼고
아이들 놀이찜질방을 만들면 어떨까 상상해보고 있지요.
가난한 산골살림은 으레 익숙하게 써왔던 모든 것에
고마움과 감사함을 갖게 합니다.
이 겨울 난로가 그러하고 아궁이불이 그러하고
따뜻한 물이 더욱 그러하지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1834 2011.10.11.불날. 띄엄띄엄 안개, 그래도 보름달이 옥영경 2011-10-21 1204
1833 2008. 2.19.불날. 맑음 옥영경 2008-03-08 1205
1832 2009. 4.16.나무날. 흐림 옥영경 2009-04-25 1205
1831 2009. 5. 5.불날. 덥더니 저녁답 소나기 뿌리다 옥영경 2009-05-13 1205
1830 2011. 6. 6.달날. 맑음 / 단식 1일째 옥영경 2011-06-14 1205
1829 3월 10일 나무날 흐림 옥영경 2005-03-13 1206
1828 8월 22일 달날 비 옥영경 2005-09-11 1206
1827 2007. 4.13.쇠날. 맑다가 빗방울 옥영경 2007-04-24 1206
1826 2008. 3.18.불날. 흐려지는 오후 옥영경 2008-04-06 1206
1825 2008. 7.25.쇠날. 비 옥영경 2008-07-30 1206
1824 2009. 2. 1.해날. 맑음 옥영경 2009-02-13 1206
1823 2011.10.22.흙날. 비 옥영경 2011-10-31 1206
1822 150 계자 나흗날, 2012. 1.11.물날. 바람 매워지는 옥영경 2012-01-19 1206
1821 예비 실타래학교 닫는 날, 2013. 1.18.쇠날. 맑음 옥영경 2013-02-01 1206
1820 2013 여름 청소년계자(7/20~21) 갈무리글 옥영경 2013-07-28 1206
1819 8월 28일 해날, 달골 아이들 집 첫 삽 옥영경 2005-09-12 1207
1818 2007. 2. 4.해날. 맑음 옥영경 2007-02-08 1207
1817 2008. 3.15.흙날. 맑음 옥영경 2008-04-03 1207
1816 2011.12.11.해날. 흐리나 푹한, 그러다 해도 반짝 옥영경 2011-12-20 1207
1815 2012. 3.29.나무날. 상쾌한 바람 뒤 저녁 비 / 류옥하다 옥영경 2012-04-07 1207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