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12.23.불날. 갬

조회 수 1153 추천 수 0 2008.12.29 16:45:00

2008.12.23.불날. 갬


여긴 눈이 오네 마네 하며 하늘만 조금 뿌žR는데
당진이던가는 눈이 제법 내려 길 나서기가 불편했다 합니다.
지역에 계신 어르신들 틈에서 아이는
지난 한 해 붓을 잡았더랬습니다.
오늘 그 곳 어른 몇 분이랑 읍내에서 점심을 먹자 하였는데,
정작 선생님이 움직이시질 못하게 되어 아쉬웠지요.
먹이랑 함께 하는 시간은 산오름 만큼이나
이곳에서 중요하게 여기는 공부입니다.
먹을 갈며 흰 종이 위로 검은 점과 선을 긋는 것이
바깥으로 자주 뛰쳐 내달리는 마음을
안으로 들이는 훌륭한 길이 되기도 합디다.
“먹을 갈고 붓을 들고 있는 동안은
용서와 사랑의 감정이 인다.”
그리 표현하신 분도 계시지요.
먹을 갈면 숨이 가다듬어지지요,
무수한 동그라미를 그리며 마음 호수도 잔잔해지지요.
어른들 틈에서 차를 타고 먹을 갈고 글씨를 쓰면서
아이도 한층 자랐답니다.
손주뻘 아이랑 세상 얘기도 하고
당신들 살아오신 날들도 전하신다 들었습니다.
그렇게 어르신들이 아이를 같이 키워주고 계십니다.

“종대샘, 우리 샤워 같이 해요.”
며칠 동안 남자 식구들은 흙집 목욕탕을 쓰는 일에 재미 붙였습니다.
아이도 저녁이면 어른을 붙들지요.
“젊은 할아버지도 해보세요.”
“물이 어찌나 뜨끈뜨근한 지... 옥샘도 해봐요.
여자 욕실도 개시해야지!”
하여 드디어 써봅니다.
아이들이 오기 전 점검도 해두어야 하고.
도시같이 하지 않겠다고 문 아래 위로 바깥 바람도 잘 오가게 하였는데,
그런 만큼 좀 춥기도 하다 싶었지만
건물이 두꺼운 흙벽인 만큼 바닥 온돌까지 돌면 훈훈하겠데요.
무엇보다 건물의 기운이 참 좋습니다.
훗날 용도를 좀 바꾸어 해우소 칸을 빼고
아이들 놀이찜질방을 만들면 어떨까 상상해보고 있지요.
가난한 산골살림은 으레 익숙하게 써왔던 모든 것에
고마움과 감사함을 갖게 합니다.
이 겨울 난로가 그러하고 아궁이불이 그러하고
따뜻한 물이 더욱 그러하지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4874 2006. 9.15.쇠날. 흐림 옥영경 2006-09-20 1219
4873 8월 25일 나무날 맑음 옥영경 2005-09-11 1219
4872 2017. 1.16~20.달~쇠날. 눈 내렸고, 맑았고, 몹시 추웠다 옥영경 2017-01-26 1218
4871 2월 빈들 여는 날, 2012. 2.24.쇠날. 흐림 옥영경 2012-03-04 1218
4870 2012. 2. 6.달날. 맑으나 뚝 떨어지는 기온 옥영경 2012-02-21 1218
4869 149 계자 갈무리글 옥영경 2012-01-13 1218
4868 2008.12.13.흙날. 겨울황사 옥영경 2008-12-26 1218
4867 2007. 8.30.나무날. 비 옥영경 2007-09-21 1218
4866 2005.12.26.달날.맑음 / 자리를 털고 옥영경 2005-12-26 1218
4865 5월 8일 해날 날도 좋지요 옥영경 2005-05-14 1218
4864 2015.12.17~20.나무~해날 / 제주 올레길 나흘 옥영경 2015-12-29 1217
4863 2013. 2. 5.불날. 잔비 내리더니 어둠과 함께 눈 옥영경 2013-02-21 1217
4862 2012. 4.26.나무날. 맑으나 태풍 같은 바람 옥영경 2012-04-30 1217
4861 2011. 7.29.쇠날. 소나기 옥영경 2011-08-03 1217
4860 2011. 5. 8.해날. 맑음 옥영경 2011-05-23 1217
4859 2008. 7.25.쇠날. 비 옥영경 2008-07-30 1217
4858 2007. 3.15.나무날. 흐림 옥영경 2007-04-02 1217
4857 2005.11.14.달날.희뿌연 하늘 / 싸움법 옥영경 2005-11-17 1217
4856 2016. 9.21.물날. 가끔 해 / 히터봉 갈다! 옥영경 2016-10-04 1216
4855 2008. 9. 5. 쇠날. 맑음 옥영경 2008-09-21 1216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