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12.23.불날. 갬

조회 수 1114 추천 수 0 2008.12.29 16:45:00

2008.12.23.불날. 갬


여긴 눈이 오네 마네 하며 하늘만 조금 뿌žR는데
당진이던가는 눈이 제법 내려 길 나서기가 불편했다 합니다.
지역에 계신 어르신들 틈에서 아이는
지난 한 해 붓을 잡았더랬습니다.
오늘 그 곳 어른 몇 분이랑 읍내에서 점심을 먹자 하였는데,
정작 선생님이 움직이시질 못하게 되어 아쉬웠지요.
먹이랑 함께 하는 시간은 산오름 만큼이나
이곳에서 중요하게 여기는 공부입니다.
먹을 갈며 흰 종이 위로 검은 점과 선을 긋는 것이
바깥으로 자주 뛰쳐 내달리는 마음을
안으로 들이는 훌륭한 길이 되기도 합디다.
“먹을 갈고 붓을 들고 있는 동안은
용서와 사랑의 감정이 인다.”
그리 표현하신 분도 계시지요.
먹을 갈면 숨이 가다듬어지지요,
무수한 동그라미를 그리며 마음 호수도 잔잔해지지요.
어른들 틈에서 차를 타고 먹을 갈고 글씨를 쓰면서
아이도 한층 자랐답니다.
손주뻘 아이랑 세상 얘기도 하고
당신들 살아오신 날들도 전하신다 들었습니다.
그렇게 어르신들이 아이를 같이 키워주고 계십니다.

“종대샘, 우리 샤워 같이 해요.”
며칠 동안 남자 식구들은 흙집 목욕탕을 쓰는 일에 재미 붙였습니다.
아이도 저녁이면 어른을 붙들지요.
“젊은 할아버지도 해보세요.”
“물이 어찌나 뜨끈뜨근한 지... 옥샘도 해봐요.
여자 욕실도 개시해야지!”
하여 드디어 써봅니다.
아이들이 오기 전 점검도 해두어야 하고.
도시같이 하지 않겠다고 문 아래 위로 바깥 바람도 잘 오가게 하였는데,
그런 만큼 좀 춥기도 하다 싶었지만
건물이 두꺼운 흙벽인 만큼 바닥 온돌까지 돌면 훈훈하겠데요.
무엇보다 건물의 기운이 참 좋습니다.
훗날 용도를 좀 바꾸어 해우소 칸을 빼고
아이들 놀이찜질방을 만들면 어떨까 상상해보고 있지요.
가난한 산골살림은 으레 익숙하게 써왔던 모든 것에
고마움과 감사함을 갖게 합니다.
이 겨울 난로가 그러하고 아궁이불이 그러하고
따뜻한 물이 더욱 그러하지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
6534 2023.12.12.불날. 비 개고 흐린 옥영경 2023-12-24 374
6533 2023.12.11.달날. 비 옥영경 2023-12-24 381
6532 2023.12.10.해날. 맑음 옥영경 2023-12-21 371
6531 2023.12. 9.흙날. 흐림 옥영경 2023-12-21 396
6530 2023.12. 8.쇠날. 봄바람 부는 저녁 같은 옥영경 2023-12-21 405
6529 2023.12. 7.나무날. 흐림 옥영경 2023-12-20 398
6528 2023.12. 6.물날. 맑다가 저녁 비 옥영경 2023-12-20 412
6527 2023.12. 5.불날. 어둡지 않게 흐린 옥영경 2023-12-20 383
6526 2023.12. 4.달날. 옅은 해 / ‘삼거리집’ 옥영경 2023-12-13 437
6525 2023.12. 3.해날. 맑음 옥영경 2023-12-13 391
6524 2023.12. 2.흙날. 보슬비 내린 아침 옥영경 2023-12-13 419
6523 2023.12. 1.쇠날. 맑음 옥영경 2023-12-13 398
6522 2023.11.30.나무날. 맑음 옥영경 2023-12-12 463
6521 2023.11.29.물날. 맑음 옥영경 2023-12-12 379
6520 2023.11.28.불날. 맑음 옥영경 2023-12-12 366
6519 2023.11.27.달날. 비 내리다 갬 옥영경 2023-12-12 400
6518 2023.11.26.해날. 저녁비 / 김장 이튿날 옥영경 2023-12-05 412
6517 2023.11.25.흙날. 맑음 / 김장 첫날 옥영경 2023-12-05 492
6516 2023.11.18.흙날 ~ 11.24.쇠날 옥영경 2023-12-04 430
6515 2023.11.17.쇠날. 첫눈 옥영경 2023-11-25 484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