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 1.17.흙날. 맑음

조회 수 1107 추천 수 0 2009.01.31 12:52:00

2009. 1.17.흙날. 맑음


가뭄이 깊더니 물을 얻어먹기가 어렵습니다.
어제는 온 마을에 물이 아주 끊겼지요.
혹 물이 없어 어려운 집은 없나
아이를 살펴보라 보내기도 합니다.
그래도 물꼬는 젊은 사람이라도 있으니,
달골도 있고 뒤란 허드렛물 쓸 우물도 있으니...

“있어?”
막 점심 밥상을 차리러 부엌에 들어섰는데
장순이가 짖고 현관에서 누가 부릅니다.
“물 없으면 갖다 먹어.”
학교 앞 몇 집 건너 사시는 할머니십니다.
“어제 아들이 영동에서 세 통이나 길어왔어.”
언제 나올지도 모르는 물인데
그래도 쟁여두면 좋겠다 싶기도 할 걸
물 때문에 곤란할까 싶어 찾아오셨습니다.
홀로 사시며 거둔 들깨 무를
늘 그리 얻어먹고 살지요.
늦게 심고 덜 자라고 늦게 거두는 논밭살림을
그리 채워들 주십니다.

날까지 차서 이곳저곳 물이 업니다.
길어다 둔 커다란 물통물이 부엌에서조차 얼었습니다.
마을 이장님이며 제법 젊은 축의 아저씨들이
물탱크에 다녀오셨습니다.
저녁답에는 물이 나올 수 있겠다셨지요.
“한 집에 수도 하나씩만 틀도록 하고...”
안내방송이 나오고 정말 물이 나오기 시작했네요,
한번에들 틀고 있어 그런지
수압이 좀 낮기는 하였습니다만.
언제 또 끊길지 모르니 집집이 채워두느라 더 그럴 테지요.

계자 때마다 즐겨 부르는 노래들 가운데
‘가뭄’이라는 곡이 있었지요.
“이 가뭄 언제나 끝나~”
그러게 말입니다.
하늘 쳐다봅니다.
하늘 고마운 줄 알고 사는 삶이어
산골살이가 더욱 귀하지 않나 싶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1854 2월 17일 나무날 옥영경 2005-02-26 1201
1853 2007. 2. 5.달날. 봄날 같은 옥영경 2007-02-08 1201
1852 2008.10.22.물날. 비 옥영경 2008-11-02 1201
1851 153 계자 닫는 날, 2012. 8.10.쇠날. 비 옥영경 2012-08-13 1201
1850 2008. 9. 5. 쇠날. 맑음 옥영경 2008-09-21 1202
1849 2010. 4. 8.나무날. 맑음 옥영경 2010-04-18 1202
1848 2011. 8.21.해날. 갬 옥영경 2011-09-08 1202
1847 7월 6일 물날 장마 가운데 볕 옥영경 2005-07-16 1203
1846 2005.11.21.달날.흐리다 진눈깨비 / '나눔'이 '있다'고 되던가 옥영경 2005-11-23 1203
1845 8월 26일 쇠날 맑음 옥영경 2005-09-11 1204
1844 9월 3일 흙날 빗방울 오가고 옥영경 2005-09-14 1204
1843 2007. 3.15.나무날. 흐림 옥영경 2007-04-02 1204
1842 2009. 2. 5.나무날. 맑음 옥영경 2009-02-13 1204
1841 2011. 5.19.나무날. 맑음 옥영경 2011-06-04 1204
1840 2011. 9. 4.해날. 빗방울 옥영경 2011-09-10 1204
1839 2011. 9.13.불날. 찌는 늦더위 옥영경 2011-09-30 1204
1838 2011.10.11.불날. 띄엄띄엄 안개, 그래도 보름달이 옥영경 2011-10-21 1204
1837 2012. 4.16.달날. 맑음 옥영경 2012-04-23 1204
1836 12월 23일 물날 맑음 옥영경 2005-01-02 1205
1835 2005.11.20.해날.맑음 / 어른을 돌보는 아이들 옥영경 2005-11-22 1205
XE Login

OpenID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