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빈들 이튿날, 2009. 2.21.흙날. 눈 내리다 갬

조회 수 1177 추천 수 0 2009.03.07 12:02:00

2월 빈들 이튿날, 2009. 2.21.흙날. 눈 내리다 갬


포도나무 가지치기 뿐 아니라 바깥 일은 통 못하겠다 싶더니
다행히 날이 바짝 개줍니다.

달골 햇발동에서 묵었지요.
아침 7시에 초등학생들은 구들장을 더 지라 하고
나머지 사람들은 엊저녁처럼 창고동으로 다시 건너갑니다.
‘수행-3’이네요.
절명상을 하였습니다,
세상의 평화를 원하면 내가 먼저 평화가 되자고.

오전에는 눈썰매를 타러갑니다,
비료포대에 짚을 채워 하나씩 끌고.
경사져 얼어붙은 마을 건너 물꼬 눈썰매장은
쌓인 눈으로 한결 훌륭한 미끄럼틀이 되고 있었습니다.
어른들은 아이들이 혹여 튕겨져 나가기라도 할까
아래에서 울타리들이 되어 주지요.
둘씩 짝을 지어 타기도 합니다.
위쪽은 중급 코스로 속도가 여간 세지 않았고
아래쪽은 초급 코스로 그만이었다나요.

더러는 장독을 하나 하나 닦아내기도 하고
장독대에 흘러 든 마른 잎들이며를 훑어내기도 하고
겨우내 쓸 일 없던 가마솥단지도
돼지기름으로 박박 닦아냈지요.

오후엔 우리가락으로 놀았습니다.
손말도 익히고
패를 나눠 흥겨이 노래들을 불렀지요.
얼마나 신나라 소리를 질렀는지
밖에서 일하던 어른들도 따라 흥겹더라나요.

저녁버스로 부천에서 온 새끼일꾼 넷이 먼저 나가고,
기락샘이 들어오고,
진주에서 눈 길 헤치고
하창완님 문저온님 그리고 수민이와 지윤이가 닿았습니다.
창고동에서 봄을 맞이하는 춤명상을 하고
무쇠 난로에 둘러 앉아 고구마도 구워냈지요.
다음은 아이들은 잠자리로 가고
어른들 ‘말나눔’이 있었습니다.
지리산 아래 중산리 쪽에서 실어온 막걸리와
유기농 손두부가 푸지게 상에 올랐더랍니다.
서울을 떠나는 이들과 다시 서울로 돌아가는 이들이
이 시대를 살아가는 것에 대해 얘기 깊었네요.
어머니 계신 곳과 함께 물꼬가 자신에게 고향 같은 곳이 아닐까 싶다든가
물꼬가 지닌 미덕(위로와 위안?)에 대해 덕담을 나누기도 하였습니다.

그런데, 보일러가 애를 좀 먹였지요.
한 해 한 차례쯤 일어나는 현상이 꼭 이참에 일어납니다.
간밤을 설치고 보일러를 손봤는데
다시 시원찮아 긴장하며 들락거리는 밤,
다행히 야삼경 지나고 원활해졌지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수sort
6594 눈비산마을 가다 옥영경 2004-01-29 2380
6593 노래자랑 참가기 옥영경 2003-12-26 2374
6592 주간동아와 KBS 현장르포 제 3지대 옥영경 2004-04-13 2367
6591 '서른 즈음에 떠나는 도보여행'가 박상규샘 옥영경 2003-12-26 2359
6590 가마솥방 옥영경 2003-12-20 2356
6589 계자 열 이틀째 1월 16일 쇠날 옥영경 2004-01-17 2346
6588 [2018.1.1.해날 ~ 12.31.달날] ‘물꼬에선 요새’를 쉽니다 옥영경 2018-01-23 2342
6587 3월 15-26일, 공연 후원할 곳들과 만남 옥영경 2004-03-24 2339
6586 KBS 현장르포 제3지대랑 옥영경 2004-03-24 2333
6585 1대 부엌 목지영샘, 3월 12-13일 옥영경 2004-03-14 2330
6584 대해리 마을공동체 동회 옥영경 2003-12-26 2329
6583 입학원서 받는 풍경 - 둘 옥영경 2003-12-20 2329
6582 계자 열쨋날 1월 14일 물날 옥영경 2004-01-16 2313
6581 물꼬 미용실 옥영경 2003-12-20 2302
6580 6월 17일, 쌀과 보리 옥영경 2004-06-20 2299
6579 4월 21일 문 열던 날 풍경 - 넷 옥영경 2004-04-28 2294
6578 계자 다섯쨋날 1월 9일 옥영경 2004-01-10 2280
6577 4월 10일 흙날, 아이들 이사 끝! 옥영경 2004-04-13 2279
6576 3월 2일 예린네 오다 옥영경 2004-03-04 2276
6575 3월 4일 포도농사 시작 옥영경 2004-03-04 2275
XE Login

OpenID Login